단순 리 초대수

리 초대수 이론에서, 단순 리 초대수(單純Lie超代數, 영어: simple Lie superalgebra)는 자명하지 않은 아이디얼을 갖지 않는 리 초대수이다.

정의

편집

가환환   위의 리 초대수  아이디얼 의 부분 리 초대수   가운데

 

인 것이다.

표수 0 위의 리 초대수  가 정확히 두 개의 리 초대수 아이디얼을 가질 경우, 이를 단순 리 초대수라고 한다. (이 경우, 아이디얼은    전체이다.  인 경우는 아이디얼이 1개이므로 해당되지 않으며, 이는 1을 소수로 간주하지 않는 것과 마찬가지다.)

표수 0 위의 단순 리 초대수  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킬 경우, 고전 리 초대수(古典Lie超代數, 영어: classical Lie superalgebra)라고 한다.

  •  의,   위의 리 대수의 표현이 완전 분해 가능 표현이다.

고전 리 초대수가 아닌 단순 리 초대수를 카르탕형 대수(Cartan型代數, 영어: Cartan-type algebra) 또는 초고전적 대수(超古典的代數, 영어: hyperclassical algebra)라고 하며,  ,  ,  ,  이 있다.

분류

편집

복소수 단순 리 초대수

편집

표수 0대수적으로 닫힌 체 위의 단순 리 초대수들은 모두 분류되었으며, 그 목록은 다음과 같다.[1]:45, Theorem 2

이름 기호 조건 보손 부분 대수 보손 차원 페르미온 표현 페르미온 차원
특수 선형            
사영 특수 선형            
직교-심플렉틱    ,          
이상한            
페리플렉틱            
예외       9   8
예외     24   16
예외     17   14
카르탕형     (복잡함)   (복잡함)  
카르탕형 특수     (복집함)   (복잡함)  
카르탕형 특수     (복잡함)   (복잡함)  
해밀턴형     (복잡함)   (복잡함)  

위 표에서   의 대칭 성분이고,   의 반대칭 성분이다.

이들 가운데 다음과 같은 동형이 존재한다.

 
 
 
 
 
 

이 밖에 단순 리 초대수 사이의 다른 동형은 없다.

실수체 위의 고전 단순 리 초대수

편집

실수체 위의 고전 리 초대수 역시 분류되었다.[1]:59, Theorem 9, §3[2]

복소화 실수 형태 조건 보손 부분 대수
       
   ,    
   ,  ,    
     
     
     
(이름 없음)  
       
     
       
       
     
  (이름 없음)  
(이름 없음)  
       
   
       
     
   

일반·특수 선형 초대수

편집

  초행렬은 다음과 같은 꼴의 행렬이다.

 

여기서   이고,   이다.   초행렬의 모임을 일반 선형 리 초대수(一般線型Lie超代數, 영어: general linear Lie superalgebra)  이라고 쓰자. 초행렬의 초대각합(超對角合, 영어: supertrace)은 다음과 같다.[3]:§25

 

특수 선형 리 초대수(特殊線型Lie超代數, 영어: special lienar Lie superalgebra)  는 초대각합이 0인 초행렬들로 구성된 리 초대수이다.[3]:§25

 

단위 행렬  의 경우  이므로,  필요 충분 조건 이다. 이 경우, 사영 특수 선형 리 초대수(射影特殊線型Lie超代數, 영어: projective special linear Lie superalgebra)  는 다음과 같은, 중심에 대한 몫이다.

 

직교-심플렉틱 초대수

편집

직교-심플렉틱 리 초대수(直交symplectic Lie超代數, 영어: orthosymplectic Lie superalgebra)  는 다음과 같은 초행렬들로 구성된 리 초대수이다.[3]:§25

 

여기서

 

이다.

페리플렉틱 초대수와 이상한 초대수

편집

페리플렉틱 리 초대수(periplectic Lie超代數, 영어: periplectic Lie superalgebra)  는 다음과 같다.[3]:§25[4]:9, (1.14)

 

 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자.

 

이 리 초대수는 단위 행렬로 생성되는 중심을 갖는데, 이에 대한 몫을 이상한 리 초대수(異常한Lie超代數, 영어: queer Lie superalgebra)  이라고 한다.[3]:§25

 

𝔬𝔰𝔭(4|2;α)

편집

  또는  는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다.[3]:§20 이 리 초대수의 보손 리 대수 이며, 이에 대한 페르미온 표현은  이다. 이에 따라, 지표

  •   ( 의 정의 표현의 지표)
  •   (  지표)
  •   ( 의 정의 표현의 지표)

를 사용하면, 보손 생성원   및 페르미온 생성원  에 대한 리 초괄호는 다음과 같다.

 
 
 

이다. 여기서  파울리 행렬이며,

 

는 3차원 스피너의 전하 켤레 행렬이다.

페르미온-페르미온 리 초괄호에 등장하는 세 개의 복소수 계수  는 야코비 항등식에 의하여

 

을 만족시켜야 하며, 또한

 

이다. 즉,  은 3차원 복소수 사영 평면  동차 좌표를 이루며, 그 속에서 가능한 값은

 

으로 정의되는 사영 직선 에 대한 몫 오비폴드이다.

이에 따라,

 

로 좌표를 잡으면, 그 위의 대칭군  작용은 다음과 같다.

 

이 경우,  인 점은  에 해당한다.

실수 계수의 경우, 가능한 보손 리 대수는 다음과 같다.[2]:694–695, §5B

보손 리 대수 대칭  의 조건  동치 관계  의 표준 영역
         
      (없음)  
         

이 경우, 복소수 계수  의 가능한 값은 실수 조건을 통해 제한되며, 그   대칭 또한 위와 같이 깨지게 된다. 이 경우, 가능한  의 동치 관계는 위 표와 같으며, 이 동치 관계의 동치류들은 위 표준 영역의 원소와 일대일 대응한다.

카르탕형 리 초대수

편집

  위의 벡터 공간   위의 외대수   위의  -등급 미분들, 즉  -선형 변환

 

가운데

 

를 만족시키는 것들의 벡터 공간 라고 하자.  기저  를 잡았을 때,  는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등급으로부터, 이는   위에  -등급을 정의한다. 그 위의 리 초괄호는 단순히

 

이며, 여기서 ± 부호는   등급에 의하여 결정된다.

만약  가 2 이상의 유한 차원 벡터 공간이라면, 이는 단순 리 초대수를 이룬다. 이를  로 표기한다.

특수 카르탕형 리 초대수(영어: special Cartan-type Lie superalgebra)   해밀턴형 리 초대수(영어: Hamilton-type Lie superalgebra)  은 모두  의 부분 리 초대수이다.

역사

편집

단순 리 초대수의 분류는 빅토르 카츠가 1975년에 완성하였다.[5][1][6]

각주

편집
  1. Kac, Victor G. (1977년 2월). “A sketch of Lie superalgebra theory”. 《Communications in Mathematical Physics》 (영어) 53 (1): 31–64. Bibcode:1977CMaPh..53...31K. doi:10.1007/BF01609166. ISSN 0010-3616. MR 0442049. Zbl 0359.17009. 
  2. Parker, Monique (1980). “Classification of real simple Lie superalgebras of classical type”. 《Journal of Mathematical Physics》 (영어) 21: 689. doi:10.1063/1.524487. 
  3. Frappat, L.; Sciarrino, A.; Sorba, P. (1996년 7월). “Dictionary on Lie superalgebras” (영어). arXiv:hep-th/9607161. Bibcode:1996hep.th....7161F. 
  4. Cheng, Shun-Jen; Wang, Weiqiang (2013). 《Dualities and Representations of Lie Superalgebras》 (영어). Graduate Studies in Mathematics 144.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ISBN 978-0-8218-9118-6. MR 3012224. Zbl 1271.17001. 
  5. Кац, Виктор Гершевич (1975년 2월 19일). “Классификация простых супералгебр Ли”. 《Функциональный анализ и его приложения》 (러시아어) 9 (3): 91–92. 
  6. Kac, Victor G. (1977년 10월). “Lie superalgebras”. 《Advances in Mathematics》 (영어) 26 (1): 8–96. doi:10.1016/0001-8708(77)90017-2. ISSN 0001-8708. MR 0486011.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