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 대수의 표현

리 대수의 표현(Lie代數-表現, 영어: representation of a Lie algebra)은 주어진 리 대수벡터 공간선형 변환의 리 대수의 부분대수로 나타내는 준동형이다. 군의 표현과 유사한 개념이다. 특히, 대응되는 리 군의 표현과 밀접한 관계를 지닌다.

정의 편집

가환환   위의 리 대수   위의 표현  은 다음과 같은 데이터로 주어진다.

  •    위의 가군이다.
  •  는 리 대수 준동형이다. 여기서    -가군 자기 사상들로 구성된 단위 결합 대수리 대수이다.

이는  보편 포락 대수   위의 가군과 같은 개념이다.

위 정의를 풀어 쓰면, 다음과 같다. 함수  는 다음 조건들을 모두 만족시켜야 한다.

  • (쌍선형성)  는 쌍선형 함수이다. 즉, 다음이 성립한다.
    • (스칼라곱) 임의의    에 대하여  
    • ( 에 대한 선형성) 임의의   에 대하여  
    • ( 에 대한 선형성) 임의의   에 대하여  
  • (리 괄호의 보존) 임의의  에 대하여,  

무게 편집

표현  무게(영어: weight)는 카르탕 부분대수의 (표현에 따른 행렬로서의) 어느 한 공통적 고유벡터고윳값들의 모임이다. 즉, 카르탕 부분대수 로 쓰면, 그 대수적 쌍대공간의 원소인  의 무게  는 적어도 하나의 0이 아닌  가 모든  에 대하여  를 만족한다.

딸림표현의 무게의 집합은 근계를 이룬다. 통상적으로 "리 대수의 근"이라는 것은 그 딸림표현의 근계의 원소를 일컫는다.

연산 편집

가환환   위의 리 대수   위의 두 표현  ,  이 주어졌다고 하자.

  • 가군의 직합   위에 자연스럽게  -표현의 구조가 존재한다. 이를 두 표현의 직합이라고 한다.
  • 가군의 텐서곱   위에도 자연스럽게  -표현의 구조가 존재한다. 이를 두 표현의 텐서곱이라고 한다.

편집

자명한 표현 편집

가환환   위의 리 대수   -가군  이 주어졌을 때, 상수 함수

 
 

 의 표현을 이룬다. 이를 자명한 표현(영어: trivial representation)이라고 한다.

딸림표현 편집

가환환   위의 리 대수  가 주어졌을 때,

 
 

로 정의하면,  는 스스로의 표현을 이룬다. 이를 리 대수의 딸림표현이라고 한다. 이는 리 군  의, 스스로의 리 대수   위의 군의 표현딸림표현의 무한소 형태이다.

아벨 리 대수 편집

가환환   위의 가군  아벨 리 대수로 생각하자. 임의의  -가군 준동형  가 주어졌을 때,

 
 

로 정의하면 이는  의 표현을 이룬다.

같이 보기 편집

참고 문헌 편집

  • J.Humphreys, Introduction to Lie algebras and representation theory, Birkhäuser,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