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상대수학에서, 대응 정리(영어: correspondence theorem)는[1][2][3][4][5][6][7][8] 또는 제4 동형 정리(영어: fourth isomorphism theorem)[9] 또는 격자 정리(영어: lattice theorem)는 몫 대수 구조합동 관계들을 묘사하는 정리이다.

정의 편집

대수 구조  와 그 위의 합동 관계  가 주어졌다고 하자. 대응 정리에 따르면, 다음 두 격자동형이다.[10]:49, Theorem 6.20

  • 몫 대수 위의 합동 관계들의 격자  
  •  합동 관계들 가운데,  에 의하여 함의되는 것들의 격자  . 이는  의 합동 관계 격자  의 부분 격자를 이룬다.

두 격자 사이의 동형 사상은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여기서  은 다음과 같은   위의 이항 관계다.

 

즉, 대응 정리에 따르면, 다음 명제들이 성립한다.

  • 만약   을 포함하는   위의 합동 관계라면,    위의 합동 관계이다.
  •   위의 모든 합동 관계는 어떤  을 포함하는   위의 합동 관계  에 대하여  의 꼴로 나타낼 수 있다.
  •  을 포함하는   위의 합동 관계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   를 함의하는 것과   를 함의하는 것은 서로 필요충분조건이다.
    •  . 여기서    로 생성되는 합동 관계이다.
    •  . 여기서   로 정의된다.

편집

대응 정리는 모든 종류의 대수 구조에 적용할 수 있다. , , 가군 등 일부 대수 구조의 경우, 합동 관계가 특별한 부분 대수와 일대일 대응하며, 대응 정리에 등장하는 동형 사상을 몫 대수의 부분 대수에 대하여 확장할 수 있다.

편집

 정규 부분군  에 대하여,  을 포함하는  부분군의 격자와 몫군의 부분군들의 격자 사이의 함수

 
 

를 생각하자. 그렇다면, 다음이 성립한다.

  •  은 격자의 동형 사상이다. 즉,
    • 임의의  에 대하여,  
    • 임의의  에 대하여,   가 존재한다.
    • 임의의  에 대하여,
      •  필요충분조건 이다.
      •  . 여기서   로 생성된 부분군이다.
      •  
  •  필요충분조건 이다.

편집

 아이디얼  에 대하여,  를 포함하는 부분군의 격자와 몫환의 부분환 격자 사이의 함수

 
 

를 생각하자. 그렇다면, 다음이 성립한다.

  •  는 격자의 동형 사상이다. 즉,
    • 임의의 부분환  에 대하여,   의 부분환이다.
    • 임의의 부분환  에 대하여,  인 부분환  가 존재한다.
    • 임의의 부분환  에 대하여,
      •  필요충분조건 이다.
      •  . 여기서   로 생성된 부분환이다.
      •  
  •   아이디얼필요충분조건  의 아이디얼인 것이다.

가군 편집

  위의 왼쪽 가군   및 부분 가군  에 대하여,  을 포함하는 부분 가군의 격자와 몫 가군의 부분 가군 격자 사이의 함수

 
 

는 격자의 동형 사상이다. 즉, 다음이 성립한다.

  • 임의의 부분 가군  에 대하여,   의 부분 가군이다.
  • 임의의 부분 가군  에 대하여,  인 부분 가군  가 존재한다.
  • 임의의 부분 가군  에 대하여,
    •  필요충분조건 이다.
    •  
    •  

같이 보기 편집

참고 문헌 편집

  1. Derek John Scott Robinson (2003). 《An Introduction to Abstract Algebra》. Walter de Gruyter. 64쪽. ISBN 978-3-11-017544-8. 
  2. J. F. Humphreys (1996). 《A Course in Group Theory》. Oxford University Press. 65쪽. ISBN 978-0-19-853459-4. 
  3. H.E. Rose (2009). 《A Course on Finite Groups》. Springer. 78쪽. ISBN 978-1-84882-889-6. 
  4. J.L. Alperin; Rowen B. Bell (1995). 《Groups and Representations》. Springer. 11쪽. ISBN 978-1-4612-0799-3. 
  5. I. Martin Isaacs (1994). 《Algebra: A Graduate Course》. American Mathematical Soc. 35쪽. ISBN 978-0-8218-4799-2. 
  6. Joseph Rotman (1995). 《An Introduction to the Theory of Groups》 4판. Springer. 37–38쪽. ISBN 978-1-4612-4176-8. 
  7. W. Keith Nicholson (2012). 《Introduction to Abstract Algebra》 4판. John Wiley & Sons. 352쪽. ISBN 978-1-118-31173-8. 
  8. Steven Roman (2011). 《Fundamentals of Group Theory: An Advanced Approach》.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113–115쪽. ISBN 978-0-8176-8301-6. 
  9. Jonathan K. Hodge; Steven Schlicker; Ted Sundstrom (2013). 《Abstract Algebra: An Inquiry Based Approach》. CRC Press. 425쪽. ISBN 978-1-4665-6708-5. 
  10. Burris, Stanley N.; Sankappanavar, Hanamantagouda P. (1981). 《A course in universal algebra》. Graduate Texts in Mathematics (영어) 78. Springer. ISBN 978-1-4613-8132-7. ISSN 0072-5285. MR 0648287. Zbl 0478.08001. 2022년 7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8월 8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