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 특별보좌관
대통령 특별보좌관(大統領特別補佐官)은 대통령을 보좌하는 특별 보좌관이다. 대통령 보좌관 외에 대통령이 임의로 지정할 수 있으며 정원과 편제는 존재하지 않았으며, 복수 임명이 가능하였다. 장관급 또는 차관급으로 보한다.
대통령 비서실이나 대통령 보좌관과는 별도로 임명, 운영되며 대한민국 정부의 인사적체 해소 및 외부인사 영입 목적으로 설치되었다. 약칭으로는 대통령 특보 혹은 각 해당분야 직무를 넣어 OO담당 특보로도 불린다.
설치 배경
편집대통령 특보는 대통령의 각종 비서관, 보좌관 외에 특별히 대통령을 보좌하던 자문기구였다. 1970년 12월 대학교수 출신의 청와대 식구는 대통령 특별보좌관 제도가 생겨남으로써 더 늘어났다. 특별보좌관 제도는 박정희 대통령의 개인적인 구상이었다. 한반도를 둘러싼 국제환경의 급속한 변화, 1년 앞으로 다가선 대통령 및 국회의원 선거, 남북문제에 관한 새로운 정책제시 등 70년대의 과제를 앞두고 그 무렵 박대통령은 미국 백악관을 본뜬 스페셜 어시스턴트 제도의 도입을 생각하고 있었다.[1]
백악관 특별보좌관 보다는 강력하지 못하였지만, 그러나 청와대에 상근하면서 중, 장기적인 정책수립과 대통령의 자문을 전담하는 특별보좌관제도는 1970년 12월 10일 채택되어 인선되었다.[1] 새로 인선된 특별보좌관은 장관급 3명, 차관급 6명으로 그 가운데 6명이 저명한 대학교수들로 보해졌다. 인선은 약 1개월에 걸쳐 모 대학교 총장 등 대통령이 개인적으로 유지하고 있던 2,3개의 채널을 통해 80~90명의 인사를 추천받아 그 가운데서 학문적으로 권위가 있고 또 대통령의 정치노선에 동조하는 비교적 젊은 교수가 선정되었다.[1]
역대 특별 보좌관
편집경제담당 특별보좌관
편집- 박진환[2], 1970년 12월 10일 ~ 1979년 12월 17일,
- 김명윤(金命潤), 1970년 12월 10일 ~ 1973년 5월 3일, 경제과학심의회의상임위원(장관급)
- 김용환(金龍煥), 1973년 5월 3일, 재경부 차관
- 신병현(申秉鉉), 1975년 5월 29일 ~ , IBRD 세계은행 이사
- 남덕우, 1979년 1월 12일 ~ 1979년 12월 17일, 국무총리
- 이기호, 2002년 4월 15일[3] ~ , 청와대 경제수석에서 전임, 복지,노동담당 특보 겸임
- 조윤제, 2003년 2월 27일 ~ 2004년 1월 6일, 서강대 교수
- 김혁규, 2004년 1월 6일 ~ 2008년 2월, 경상남도지사&국회의원
- 강만수, 2009년 8월 31일, 관세청장&통상산업부 차관&재정경제원 차관&기획재정부 장관
사정담당 특별보좌관
편집- 홍종철(洪鍾哲), 1971년 6월 3일 ~ 1974년 6월 9일, 문화공보부장관&문교부장관, 재직 중 덕소 한강에서 익사
- 신두영(申斗泳), 1974년 6월 21일 ~ ,
- 김영준(金永駿), 1976년 8월 17일 ~ 1979년 12월 16일, 대통령 사정담당비서관에서 승진
- 김영준(金永駿), 1979년 12월 17일 ~ 1980년 8월 2일,
민생담당 특별보좌관
편집정무담당 특별보좌관
편집- 함병춘(咸秉春)[5], 1970년 12월 10일 ~ 1974년 12월 31일, 주미국대사
- 장위돈(張偉敦)[6], 1970년 12월 10일 ~ 1974년 4월 3일, 주 카이로 대사
- 윤치영[7], 1971년 7월 1일 ~ 1979년 12월 9일, 내무부장관&대통령 특사&주프랑스 공사&공화당 의장서리&공화당 총재고문&서울특별시장&국정자문회의 자문위원&국정자문회의 운영위원
- 이용희(李用熙)[8], 1975년 5월 29일 ~ 1976년 5월, 서울대 교수&통일원장관
- 이홍구(李洪九), 1990년 3월 ~ 1991년 2월 28일, 서울대정치과교수&통일원장관&주영국공사
- 최영철(崔永喆), 1990년 ~ 1992년
- 서동권(徐東權), 1992년 6월 ~ 1993년 2월, 안기부장
- 김광일(金光一)
- 이강철(李康哲) 2003년 3월 25일 ~
- 김원기(金元基) 2004년 2월 3일 ~ 2004년 6월, 국회의장
- 문희상(文喜相) 2004년 3월 7일 ~ 2004년 6월, 열린우리당 의장&국회부의장
- 김두관(金斗官) 2005년 5월 16일 ~ 2006년 1월 28일, 남해군수, 경상남도지사
- 이강철(李康哲) 2006년 3월 23일 ~ 2006년 10월 26일, 청와대 시민사회수석
- 이해찬, 2006년 10월 27일 ~ , 전 국무총리
- 오영교, 2006년 10월 27일 ~ , 전 행정자치부 장관
- 조영택, 2006년 10월 27일 ~ , 전 국무조정실장
- 문재인, 2006년 10월 27일 ~ , 전 청와대 민정수석
- 주호영(朱豪英), 2015년 2월 27일 ~ 2015년 5월, 현직 국회의원
- 김재원(金在原), 2015년 2월 27일 ~ 2016년 4월, 현직 국회의원
- 윤상현(尹相現), 2015년 2월 27일 ~ 2015년 10월, 현직 국회의원
정책담당 특별보좌관
편집- 이정우 2006년 ~ 2006년 10월 26일
- 김병준 2006년 10월 27일 ~ 2008년 2월
- 강석훈 2022년 3월 16일 ~
- 김현숙 2022년 3월 16일 ~ 2022년 5월 16일
국제정치담당 특보
편집- 김경원(金瓊元)[9], 1975년 5월 29일 ~ 1979년 12월 16일, 국제정치담당, 대통령비서실장,주UN대사
- 김경원(金瓊元), 1979년 12월 17일 ~ 1980년 8월 27일, 국제정치담당, 대통령비서실장,주UN대사,
법률담당 특별보좌관
편집대외협력 특별보좌관
편집교육, 문화, 체육담당 특별보좌관
편집교육문화담당 특보
편집- 박종홍, 1970년 12월 10일 ~ 1976년 3월 17일, 한양대문리대학장
- 안호상, 1970년 12월 10일 ~ 1981년 4월 20일, 문교부장관 재건국민운동 중앙회 회장&사회정화 대책위원회 회장&마을금고연합회 회장&대구보건전문대학 이사장
- 최문환(崔文煥)
- 이선근(李瑄根)
- 이은상(李恩相)
문화담당 특별보좌관
편집문화체육 특별보좌관
편집외교, 안보, 통일 특별보좌관
편집외교안보 특별보좌관
편집외교담당 특별보좌관
편집- 김용식(金溶植), 1970년 12월 10일 ~ 1971년 6월 5일, UN대사&외무부장관
- 최규하(崔圭夏), 1971년 6월 6일 ~ , 외무부차관&외무부장관대리&외무부장관고문&외무부장관&국무총리서리&국무총리&대통령권한대행&대통령
- 김동조 1976년 4월 22일 ~ 1978년 6월 24일, 전 외교부장관
- 함병춘(咸秉春)[11], 1979년 1월 12일 ~ , 아웅산 묘소에서 순국
- 반기문, 2003년~2004년, 외교통상부 장관&UN대사&UN 사무총장
안보담당 특별보좌관
편집- 김성은(金聖恩), 1968년 3월 16일 ~ , 국방부장관
- 유재흥(劉載興), 1970년 9월 2일 ~ 1970년 12월 10일, 국방담당특보
- 서종철(徐鐘喆), 1972년 9월 4일 ~ 1976년, 육군참모총장
- 박원근(朴元根), 1974년 12월 17일 ~ , 11사단20연대장&5사단장&6둔단장&합참의장&2군사령관
- 박세직(朴世直), 1976년 ~ ?, 국방부장관 비서관으로 전출
- 서종철(徐鐘喆), 1978년 4월 17일 ~ 1979년 12월 17일, 육군참모총장
- 최규선, 1998년 ~ 1999년,
- 이희원, 2010년 5월
사이버안보 특별보좌관
편집외교안보통일 특별보좌관
편집특임 외교특별보좌관
편집사회담당 특별보좌관
편집- 장동환(張東煥)[12], 1970년 12월 10일 ~ 1979년 12월 17일,
- 임방현(林芳鉉)[13], 1970년 12월 10일 ~ 1975년 12월 19일, 한국일보논설위원&청와대대변인
- 박진환[14], 1970년 12월 10일 ~ 1976년, 경제담당특보 겸임
- 장동환
국방담당 특별보좌관
편집정무담당 특별보좌관
편집- 이효상(李孝祥),
- 정동채(鄭東采)
- 김두관, 2005년 ~ 2006년, 남해군수&경상남도지사
- 이강철,
- 이해찬[15], 2006년 10월 27일, , 서울시 부시장&교육부장관&국무총리
- 오영교[15], 2006년 10월 27일, , 행정자치부 장관
- 조영택[15], 2006년 10월 27일, , 국무조정실장
- 문재인[15], 2006년 10월 27일, , 청와대 민정수석
정책담당 특별보좌관
편집- 이홍구(李洪九) 1990년 3월 18일 ~ 1991년 3월, 통일부장관&주영국 대사&주미국 대사
- 박지원(朴智元), ? ~ 2002년 4월 15일[3], 대통령비서실장&국회의원&문화관광부장관
- ?
- 이정우,
- 김병준[15], 2006년 10월 27일 ~ 2008년 2월, 정책기획위원회 위원장
- ?
- ?
- 백용호, 2012년 2월 ~ 2013년 2월, 대통령실 정책실장&국세청 청장
- 박현숙, 2022년 3월 16일
정보담당 특별보좌관
편집과학기술 특별보좌관
편집- 박찬모 2008년 7월 ~ 2009년 6월, 한국연구재단 이사장
- 이현구, 2009년 8월 31일 ~ , 서울대 교무처장&제이자동화시스템공학회장&한국화학공학회장
- 김창경, 2022년 5월 27일 ~ 2022년 6월 7일[16], 대통령비서실 과학기술비서관&교육과학기술부 제2차관&한양대 창의융합교육원 교수
경제과학 특별보좌관
편집언론담당 특별보좌관
편집- 정순균(鄭順均),
보건복지 특별보좌관
편집국민통합 특별보좌관
편집한미 자유무역협정(FTA) 특보
편집통일정책특별보좌관
편집- 현인택, 2009년 ~ 2011년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가 나 다 이상우, 《비록 박정희 시대(2)》 (중원문화사, 1984) 223페이지
- ↑ 차관급
- ↑ 가 나 비서실장 박지원씨 임명… 경제부총리 전윤철―경제특보 이기호씨
- ↑ 윤 대통령, 신설 민생특별보좌관 주기환 임명 KBS 2024.03.22.
- ↑ 차관급
- ↑ 차관급
- ↑ 장관급
- ↑ 장관급
- ↑ 차관급
- ↑ 尹대통령, 문체특보 신설…MB정부 문체장관 출신 유인촌 임명(종합) 연합뉴스 2023.07.06.
- ↑ 차관급
- ↑ 차관급
- ↑ 차관급
- ↑ 차관급
- ↑ 가 나 다 라 마 바 “靑, 이해찬 前총리 등 특별보좌관 내정(상보)”. 2014년 2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6월 18일에 확인함.
- ↑ 김창경 대통령 교육과학기술 특보, 건강 문제로 사의 한겨레 2022.06.07.
- ↑ 전화 전윤철경제부총리임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