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외교부 장관
대한민국의 외국과의 교섭에 관한 사무를 담당하는 최고 책임자
외교부 장관(外交部 長官)은 외교부를 대표하는 직위로, 국무위원으로 보한다.
![]() | |
---|---|
관저 | 외교부장관공관 |
임명자 | 대통령 |
초대 | 윤병세 |
설치일 | 2013년 |
임명편집
- 국무위원 중에서 국무총리의 제청으로 대통령이 임명하며, 국무총리는 해임을 건의할 수 있다.
- 국회는 임명에 대한 인사청문회를 실시한다.
역할편집
- (정부조직법 제7조제1항) 각 행정기관의 장은 소관사무를 통할하고 소속공무원을 지휘·감독한다.
- (정부조직법 제30조제1항) 외교부장관은 외교, 경제외교 및 국제경제협력외교, 국제관계 업무에 관한 조정, 조약 기타 국제협정, 재외국민의 보호·지원, 재외동포정책의 수립, 국제정세의 조사·분석에 관한 사무를 관장한다.
역대 장관편집
외무부 장관편집
정부 | 대수 | 이름 | 임기 | 비고 |
---|---|---|---|---|
제1공화국 | 초대 | 장택상(張澤相) | 1948년 8월 3일 ~ 1948년 12월 24일 | 국무총리 역임 |
2대 | 임병직(林炳稷) | 1949년 1월 31일 ~ 1951년 4월 15일 | ||
3대 | 변영태(卞榮泰) | 1951년 4월 16일 ~ 1955년 7월 28일 | 국무총리 역임 | |
서리 | 조정환(曺正煥) | 1955년 7월 29일 ~ 1956년 12월 31일 | ||
4대 | 1956년 12월 31일 ~ 1959년 12월 21일 | |||
- | 최규하(崔圭夏) | 1959년 12월 22일 ~ 1960년 4월 24일 | 대통령 & 국무총리 역임 & 직무대행 | |
5대 | 허정(許政) | 1960년 4월 25일 ~ 1960년 8월 19일 | 이승만 대통령 사임 이후 두 차례 권한대행을 역임[1] 국무총리 역임 | |
제2공화국 | 6대 | 정일형(鄭一亨) | 1960년 8월 23일 ~ 1961년 5월 20일 | |
7대 | 김홍일(金弘壹) | 1961년 5월 21일 ~ 1961년 7월 21일 | ||
8대 | 송요찬(宋堯讚) | 1961년 7월 22일 ~ 1961년 10월 10일 | ||
9대 | 최덕신(崔德新) | 1961년 10월 11일 ~ 1963년 3월 15일 | 훗날 미국으로 갔다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으로 망명[2] | |
- | 이원경(李源京) | 1962년 3월 16일 ~ 1962년 3월 17일 | 임시 서리[3] | |
10대 | 김용식(金溶植) | 1963년 3월 16일 ~ 1963년 12월 16일 | ||
제3공화국 | 11대 | 정일권(丁一權) | 1963년 12월 17일 ~ 1964년 7월 24일 | 국무총리 역임 |
12대 | 이동원(李東元) | 1964년 7월 25일 ~ 1966년 12월 26일 | ||
13대 | 정일권(丁一權) | 1966년 12월 27일 ~ 1967년 6월 29일 | 국무총리 역임 | |
14대 | 최규하(崔圭夏) | 1967년 6월 30일 ~ 1971년 6월 3일 | 대통령 & 국무총리 역임 | |
15대 | 김용식(金溶植) | 1971년 6월 4일 ~ 1973년 12월 2일 | ||
제4공화국 | ||||
16대 | 김동조(金東祚) | 1973년 12월 3일 ~ 1975년 12월 18일 | ||
17대 | 박동진(朴東鎭) | 1975년 12월 19일 ~ 1980년 9월 1일 | ||
18대 | 노신영(盧信永) | 1980년 9월 2일 ~ 1982년 6월 1일 | 국무총리 역임 | |
제5공화국 | ||||
19대 | 이범석(李範錫) | 1982년 6월 2일 ~ 1983년 10월 9일 | 아웅산 테러 사건으로 순국[4] | |
20대 | 이원경(李源京) | 1983년 10월 15일 ~ 1986년 8월 26일 | ||
21대 | 최광수(崔侊洙) | 1986년 8월 26일 ~ 1988년 12월 5일 | ||
노태우 정부 | ||||
22대 | 최호중(崔浩中) | 1988년 12월 5일 ~ 1990년 12월 27일 | ||
23대 | 이상옥(李相玉) | 1990년 12월 27일 ~ 1993년 2월 26일 | ||
김영삼 정부 | 24대 | 한승주(韓昇洲) | 1993년 2월 26일 ~ 1994년 12월 24일 | |
25대 | 공로명(孔魯明) | 1994년 12월 24일 ~ 1996년 11월 7일 | ||
26대 | 유종하(柳宗夏) | 1996년 11월 7일 ~ 1998년 3월 3일 |
외교통상부 장관편집
정부 | 대수 | 이름 | 임기 | 비고 |
---|---|---|---|---|
김대중 정부 | 1대 | 박정수(朴定洙) | 1998년 3월 3일 ~ 1998년 8월 4일 | 주한 러시아 대사관 직원을 강제 추방한 사건의 책임을 지고 퇴임[5] |
2대 | 홍순영(洪淳瑛) | 1998년 8월 4일 ~ 2000년 1월 14일 | ||
3대 | 이정빈(李廷彬) | 2000년 1월 14일 ~ 2001년 3월 26일 | ||
4대 | 한승수(韓昇洙) | 2001년 3월 26일 ~ 2002년 2월 4일 | 국무총리 역임 | |
5대 | 최성홍(崔成泓) | 2002년 2월 4일 ~ 2003년 2월 27일 | ||
노무현 정부 | 6대 | 윤영관(尹永寬) | 2003년 2월 27일 ~ 2004년 1월 17일 | |
7대 | 반기문(潘基文) | 2004년 1월 17일 ~ 2006년 11월 10일 | 유엔 사무총장 역임 | |
8대 | 송민순(宋旻淳) | 2006년 11월 10일 ~ 2008년 2월 29일 | ||
이명박 정부 | 9대 | 유명환(柳明桓) | 2008년 2월 29일 ~ 2010년 9월 4일 | 공무원 시험에서 딸의 단독 채용으로 인한 특혜 논란으로 불명예 퇴임[6] |
직무대리 | 신각수(申珏秀) | 2010년 9월 4일 ~ 2010년 10월 8일 | 1차관 겸 장관 직무대행 | |
10대 | 김성환(金星煥) | 2010년 10월 8일 ~ 2013년 3월 11일 | ||
임시 직무대리 | 김규현(金奎顯) | 2013년 3월 11일 ~ 2013년 3월 13일 | 차관보 겸 임시 장관 직무대행 |
외교부 장관편집
정부 | 대수 | 이름 | 임기 | 비고 |
---|---|---|---|---|
박근혜 정부 | 1대 | 윤병세(尹炳世) | 2013년 3월 13일 ~ 2017년 6월 18일 | |
문재인 정부 | ||||
2대 | 강경화(康京和) | 2017년 6월 18일 ~ 2021년 2월 8일 | 최초의 여성 외교부 장관 | |
3대 | 정의용(鄭義溶) | 2021년 2월 9일 ~ 2022년 5월 9일 | ||
윤석열 정부 | 4대 | 박진(朴振) | 2022년 5월 12일~ | 국회의원 겸임 |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 ↑ 김병구 (2009년 4월 8일). “[역사속의 인물] 4.19 과도정부 수반 허정”. 《매일신문》. 2017년 2월 19일에 확인함.
- ↑ 이계성 (2016년 11월 25일). “[지평선] 류미영과 최덕신”. 《한국일보》. 2017년 2월 19일에 확인함.
- ↑ 동아일보 (1962년 3월 17일). “美『해리만』氏 着韓”. 《동아일보》. 2017년 2월 19일에 확인함.
- ↑ 윤광제 (2016년 3월 7일). “[그때 그 사건 7] 아웅산 테러 前, 北화물선이 양곤항에...”. 《일요서울》. 2017년 2월 19일에 확인함.
- ↑ 이숙현 (2004년 9월 21일). “러와 마찰로 외교장관 3명 줄줄이 낙마”. 《내일신문》. 2017년 2월 19일에 확인함.
- ↑ “유명환 장관 사퇴.. "李 대통령 사의 수용"”. 《한국경제TV》. 2010년 9월 4일. 2017년 2월 19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 위키미디어 공용에 대한민국의 외교부 장관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역대 장관 - 외교부(보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