롬어
유럽에서 쓰이는 언어 중에서는 유일하게 데바나가리 문자를 사용하는 언어이다.
(로마니어에서 넘어옴)
롬어(Romani)는 인도유럽어족 인도아리아어군의 언어로 인도에서 서아시아, 북아프리카, 유럽으로 이주한 소수 민족인 롬인이 사용하는 언어다. 인도유럽어족에 속하지만, 유랑하는 민족이 쓰는 만큼 여기저기의 언어들[1]로부터 차용했다. 하지만 거꾸로 다른 언어에 영향을 주기도 했다.[2]
사용 지역 | 세계 각지; 주로 유럽, 아시아 |
---|---|
사용 민족 | 롬인 |
언어 인구 | 480만 명 |
언어 계통 | 인도유럽어족 인도이란어파 인도아리아어군 중부 인도아리아어군 롬어 |
언어 부호 | |
ISO 639-2 | rom
|
ISO 639-3 | 다수: rom – Romani (generic)rmn – Balkan Romanirml – Baltic Romanirmc – Carpathian Romanirmf – Kalo Finnish Romanirmo – Sinte Romanirmr – Caló (Spanish Romani)rmy – Vlax Romanirmw – Welsh Romani
|
문자
편집원래부터 표기하는 문자가 없었기 때문에 오늘날에는 라틴 문자, 키릴 문자, 아랍 문자, 그리스 문자 등이 쓰인다.
정서법
편집오랫동안 구어로 쓰였기 때문에 20세기에 들어서야 정서법의 표준화가 이루어지기 시작했다.[3] 대체로 롬인들이 사는 곳에서 쓰이는 언어의 정서법을 준용할 때가 많다. (예를 들어 미국 롬어가 영어 정서법을, 루마니아 롬어가 루마니아어 정서법을, 헝가리 롬어가 헝가리어 정서법을 따르는 것처럼)
라틴 문자 기반 정서법
편집범 블락스 라틴 문자를 기준으로 한다.
문자소 | 발음 |
---|---|
A a | /a/ |
B b | /b/ |
C c | /ts/ |
Č č | /tʃ/ |
Čh čh | /tʃʰ/ |
D d | /d/ |
Dž dž | /dʒ/ |
E e | /e/ |
F f | /f/ |
G g | /ɡ/ |
H h | /h/ |
Ch ch | /x/ |
I i | /i/ |
J j | /j/ |
K k | /k/ |
Kh kh | /kʰ/ |
L l | /l/ |
M m | /m/ |
N n | /n/ |
O o | /o/ |
P p | /p/ |
Ph ph | /pʰ/ |
R r | /r/ |
S s | /s/ |
Š š | /ʃ/ |
T t | /t/ |
Th th | /tʰ/ |
U u | /u/ |
V v | /v/ |
Z z | /z/ |
Ž ž | /ʒ/ |
다른 라틴 문자 기반 정서법과의 비교
편집- 미국 롬어에서 c, č, š, ž, ch, j는 ts, ch, sh, zh, x, y로 갈음해서 쓴다.
- 마케도니아 공교육 표기법에서는 무성 경구개 파열음(/c/)를 ć로, 유성 경구개 파열음(/ɟ/)을 gj로, 유성 치경구개 마찰음(/ʑ/)을 ź로, 경구개 비음(/ɲ/)을 nj로, 경구개 설측 접근음(/ʎ/)을 lj로 적는다.
- 핀란드 롬어에서는 무성 후치경 파찰음(/tʃ/)를 tš로, 무성 연구개 마찰음(/x/)을 ȟ로, 전설 원순 고모음(/y/)을 y로, 전설 원순 중고모음(/ø/)을 ö로 적는다.
키릴 문자 기반 정서법
편집А а | Б б | В в | Г г | Ғ ғ | Д д | Е е | Ё ё | Ж ж | З з | И и | Й й |
К к | Кх кх | Л л | М м | Н н | О о | П п | Пх пх | Р р | Рр рр | С с | Т т |
Тх тх | У у | Ф ф | Х х | Ц ц | Ч ч | Ш ш | Ы ы | Ь ь | Э э | Ю ю | Я я |
А а | Б б | В в | Г г | Ғ ғ | Д д | Е е | Ё ё | Ж ж | З з | И и | Й й |
К к | Л л | М м | Н н | О о | П п | Р р | С с | Т т | У у | Ф ф | Х х |
Ц ц | Ч ч | Ш ш | Ы ы | Ь ь | Э э | Ю ю | Я я |
음운
편집범 블락스 라틴 문자 표기를 기준으로 한다. [ ] 안은 일부 방언에서만 나타난다.
홀소리
편집전설 | 중설 | 후설 | |
---|---|---|---|
고모음 | i | [ɨ] | u |
중모음 | e | [ə] | o |
저모음 | a |
닿소리
편집양순음 | 순치음 | 치경음 | 후치경음 | 경구개음 | 연구개음 | 성문음 | ||
---|---|---|---|---|---|---|---|---|
비음 | m | n | ||||||
파열음 | 무성음 | p | t | k | ||||
유성음 | b | d | g(/ɡ/) | |||||
유기음 | ph(/pʰ/) | th(/tʰ/) | kh(/kʰ/) | |||||
파찰음 | 무성음 | c(/ts/) | č(/tʃ/) | |||||
유성음 | dž(/dʒ/) | |||||||
유기음 | čh(/tʃʰ/) | |||||||
마찰음 | 무성음 | f | s | š(/ʃ/) | ch(/x/) | h | ||
유성음 | v | z | [ž(/ʒ/)] | |||||
유음 | 설측음 | l | ||||||
R음 | r | |||||||
반모음 | j |
역사
편집롬어가 처음으로 언급된 것은 1542년 서유럽에서다.[4] 롬어의 초기 실태를 알 수 있는 확실한 고문헌은 없고 대신 비교언어학상 증거로 추정해 볼 수 있다.[4]
관련 논문
편집- 엄태현, 〈집시민족의 발칸반도로의 이주 양상과 그것의 언어적 영향 : 루마니아어의 은어형성에 미친 영향을 중심으로〉, 《동유럽발칸학》 6-2, 한국동유럽발칸학회, 2004년
각주
편집- ↑ 산스크리트어, 페르시아어, 쿠르드어, 오세트어, 아르메니아어, 조지아어, 그리스어, 불가리아어, 체코어, 체첸어, 우크라이나어, 폴란드어, 튀르키예어, 루마니아어, 독일어, 알레만어 등
- ↑ 스페인어, 루마니아어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관련 연구를 보면 롬어가 이들의 언어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 알 수 있다. Fundación Secretariado Gitano(2010), 《Guía práctica para periodistas. Igualdad de trato, medios de comunicación y comunidad gitana》, 71면 및 엄태현, 〈집시민족의 발칸반도로의 이주 양상과 그것의 언어적 영향 : 루마니아어의 은어형성에 미친 영향을 중심으로〉, 《동유럽발칸학》 6-2, 한국동유럽발칸학회, 2004년 참조.
- ↑ 예를 들면 슬로바키아 롬어의 정서법은 1971년에서야 문서로 만들어졌다.
- ↑ 가 나 Matras(2006), 롬어의 역사(History)
이 글은 언어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