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 군

리 군(Lie群, 영어: Lie group)은 매끄러운 다양체인 위상군이다. 즉 군의 연산이 매끄러움 구조에 따라 매끄러운 경우다. 소푸스 리의 이름을 땄다. 연속적인 대칭을 나타내기 위하여 쓰인다.
정의편집
위상군 에 매끄러운 다양체의 구조가 갖추어지고, 또한 군의 곱셈과 역원
역시 매끄러운 함수라고 하자. 그렇다면 를 리 군이라고 한다. (사실, 힐베르트의 5번째 문제(영어: Hilbert’s Fifth Problem)의 해에 따라 다양체 · 매끄러운 다양체 · 해석다양체를 구분할 필요가 없다.) 범주론적으로, 이를 매끄러운 다양체의 범주에서의 군 대상으로 정의할 수도 있다. 리 군의 사상(영어: morphism)은 매끄러운 함수인 군 준동형이다.
짝수 차원 리 군 에 복소다양체의 구조가 갖추어지고, 또한 군의 곱셈과 역원
이 정칙 함수라고 하자. 그렇다면 를 복소수 리 군(영어: complex Lie group)이라고 한다. 복소수 리 군의 사상(영어: morphism)은 정칙 함수인 군 준동형이다.
표현편집
리 군 G의 유한 차원 실수 또는 복소수 벡터 공간 V 위에서의 표현(表現, 영어: representation)은 매끄러운 군 준동형 이다. 힐베르트 공간 위의 표현일 경우, 대개 가역 유계 작용소의 군 으로 가는 매끄러운 준동형 로 정의한다.
성질편집
리 군은 다음과 같은 연산에 대하여 닫혀 있다.
- 유한 개의 리 군의 곱공간은 리 군을 이룬다. (무한 개의 리 군의 곱공간은 무한 차원이므로, 매끄러운 다양체의 정의에 속하지 않는다.)
- (카르탕 닫힌 부분군 정리 영어: Cartan’s closed subgroup theorem) 리 군의 (위상적으로) 닫힌 부분군의 부분 공간 위상은 매끄러운 다양체이며, 따라서 이에 국한하면 리 군을 이룬다.[1]
- 리 군의 닫힌 정규 부분군에 대한 몫군은 리 군이다.
- 리 군의 범피복 공간은 자연스러운 리 군의 구조를 갖춘다. (범피복 공간이 아닌 다른 피복 공간에서는 군 구조가 매끄럽지 않을 수 있다.)
위상수학적 성질편집
국소적으로 유클리드 공간과 위상동형인 위상군은 항상 하우스도르프 공간이다.[2] 따라서, 파라콤팩트 조건만을 추가하면 자동적으로 다양체를 이룬다.
힐베르트의 5번째 문제(영어: Hilbert’s Fifth Problem)의 해에 따르면, 임의의 국소적으로 유클리드 공간과 위상동형인 파라콤팩트 위상군에 대하여, 이와 위상동형이자 군으로서 동형인 리 군이 존재한다.[2] 또한, 이러한 리 군은 유일하다.[2] 즉, 리 군을 정의할 때, 다양체와 매끄러운 다양체를 굳이 구분할 필요가 없다.
또한, 리 군의 경우, 항상 해석다양체(추이 사상이 항상 해석함수인 매끄러운 다양체)로 만들 수 있으며, 그 군 연산 또한 해석함수가 되게 할 수 있다.[2]
분류편집
연결 공간이 아닌 리 군 는 다음과 같이 이산군과 연결 리 군으로 분해할 수 있다. 을 단위원을 포함하는 최대 연결 부분군이라고 하자. 그렇다면 은 이산군이다. 다시 말해, 모든 리 군은 연결 리 군의 이산군에 대한 확대이다. 모든 연결 리 군은 또한 (범피복군을 취하여) 단일 연결 리 군 의 몫군 (여기서 은 이산 중심 정규 부분군)으로 나타내어진다. 따라서 리 군의 분류는 단일 연결 리 군의 분류로 귀결된다.
(유한 차원) 단일 연결 리 군은 그 리 대수로 완전히 결정된다. 리 대수는 그 가해 부분 대수와 단순 부분 대수로 분해된다. 단순 리 군은 분류가 완료되었으나, 가해 리 군의 분류는 매우 어렵다.
역사편집
리 군의 이론은 노르웨이의 수학자 소푸스 리가 1873년 경에 미분 방정식의 대칭성을 연구하기 위하여 "변환군"(독일어: Transformationsgruppe 트란스포르마치온스그루페[*])이라는 이름으로 도입하였다.[3][4][5][6][7][8] 그러나 리의 논문들은 (처음 하나를 제외하고) 모두 독일 저널이 아닌 노르웨이 저널에 출판되었기 때문에, 수학계에서 별다른 관심을 받지 못하였다. 1884년에 젊은 독일 수학자 프리드리히 엥겔(독일어: Friedrich Engel)이 리의 이론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리와 엥겔은 리 이론에 대한 총 3권의 책 《변환군론》(독일어: Theorie der Transformationsgruppen)을 1888년~1893년에 독일어로 출판하였고,[9][10][11] 이후 리 이론은 수학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다.
1888년~1890년 동안 빌헬름 킬링은 리 군과 리 대수의 개념을 독자적으로 재발견하였고, 반단순 리 군의 구조론을 제창하였다.[12][13][14][15] 1893년에 리의 제자 아르튀르 트레스(프랑스어: Arthur Tresse)는 "리 군"(프랑스어: groupe de Lie)이라는 용어를 최초로 사용하였다.[16] 엘리 카르탕은 1894년 박사 학위 논문에서 킬링의 구조론을 개량·정리하였다.[17] 카르탕은 1930년에 카르탕 닫힌 부분군 정리를 증명하였다.[1]
헤르만 바일은 반단순 리 군의 기약 표현들을 무게로서 분류하였고, 이에 대한 바일 지표 공식을 증명하였으며, 이를 양자역학에 응용하였다. 그 뒤 클로드 슈발레와 하리시찬드라 역시 리 군의 이론에 큰 공헌을 하였고, 이는 이후 로버트 랭글랜즈의 랭글랜즈 프로그램으로 이어졌다.
참고 문헌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 ↑ 가 나 Cartan, Élie (1930). “La théorie des groupes finis et continus et l’Analysis situs”. 《Mémorial des sciences mathématiques》 (프랑스어) 42: 1–61. JFM 56.0370.08.
- ↑ 가 나 다 라 마 Tao, Terrence (2014). 《Hilbert’s fifth problem and related topics》 (PDF). Graduate Studies in Mathematics (영어) 153.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ISBN 978-1-4704-1564-8.
- ↑ Lie, Sophus (1874). “Ueber Gruppen von Transformationen”. 《Nachrichten von der Königlichen Gesellschaft der Wissenschaften und der Georg-Augusts-Universität zu Göttingen》 (독일어) 1874: 529–542. JFM 06.0093.01.
- ↑ Lie, Sophus (1876). “Theorie der Transformations-Gruppen. Erste Abhandlung”. 《Archiv for Mathematik og Naturvidenskab》 (독일어) 3: 19–58. JFM 08.0212.01.
- ↑ Lie, Sophus (1876). “Theorie der Transformations-Gruppen. Abhandlung II”. 《Archiv for Mathematik og Naturvidenskab》 (독일어) 3: 152–202. JFM 08.0212.01.
- ↑ Lie, Sophus (1878). “Theorie der Transformations-Gruppen, III. Bestimmung aller Gruppen einer zweifach ausgedehnten Punkt-Mannigfaltigkeit”. 《Archiv for Mathematik og Naturvidenskab》 (독일어) 3: 93–165. JFM 10.0258.01.
- ↑ Lie, Sophus (1878). “Theorie der Transformations-Gruppen. Abhandlung IV”. 《Archiv for Mathematik og Naturvidenskab》 (독일어) 3: 375–460. JFM 10.0260.01.
- ↑ Lie, Sophus (1879). “Theorie der Transformations-Gruppen V”. 《Archiv for Mathematik og Naturvidenskab》 (독일어) 4: 232–261. JFM 11.0258.02.
- ↑ Lie, Sophus; Engel, Friedrich (1888). 《Theorie der Transformationsgruppen. Erster Abschnitt》 (독일어). 라이프치히: Druck und Verlag von B. G. Teubner. JFM 20.0368.01.
- ↑ Lie, Sophus; Engel, Friedrich (1890). 《Theorie der Transformationsgruppen. Zweiter Abschnitt》 (독일어). 라이프치히: Druck und Verlag von B. G. Teubner. JFM 23.0364.01.
- ↑ Lie, Sophus; Engel, Friedrich (1893). 《Theorie der Transformationsgruppen. Dritter und Letzter Abschnitt》 (독일어). 라이프치히: Druck und Verlag von B. G. Teubner. JFM 25.0623.01.
- ↑ Killing, Wilhelm (1888). “Die Zusammensetzung der stetigen endlichen Transformationsgruppen. Erster Theil”. 《Mathematische Annalen》 (독일어) 31 (2): 252–290. doi:10.1007/BF01211904. JFM 20.0368.03.
- ↑ Killing, Wilhelm (1889). “Die Zusammensetzung der stetigen endlichen Transformationsgruppen. Zweiter Theil”. 《Mathematische Annalen》 (독일어) 33 (1): 1–48. doi:10.1007/BF01444109. JFM 20.0368.03.
- ↑ Killing, Wilhelm (1889). “Die Zusammensetzung der stetigen endlichen Transformationsgruppen. Dritter Theil”. 《Mathematische Annalen》 (독일어) 34 (1): 57–122. doi:10.1007/BF01446792. JFM 21.0376.01.
- ↑ Killing, Wilhelm (1890). “Die Zusammensetzung der stetigen endlichen Transformationsgruppen. Vierter Theil (Schluss)”. 《Mathematische Annalen》 (독일어) 36 (2): 161–189. doi:10.1007/BF01207837. JFM 22.0376.01.
- ↑ Tresse, Arthur (1893). “Sur les invariants différentiels des groupes continus de transformations” (PDF). 《Acta Mathematica》 (프랑스어) 18: 1–88. doi:10.1007/bf02418270. ISSN 0001-5962. JFM 25.0641.01.
- ↑ Cartan, Élie (1894). “Sur la structure des groupes de transformations finis et continus” (프랑스어). 파리 대학교 박사 학위 논문. Librairie Nony et Cie. JFM 25.0638.02.
- 양재현 (1998년 11월 25일). 《Lie 군의 표현론》. 민음사. ISBN 89-374-3627-2.
- Adams, John Frank (1969). 《Lectures on Lie groups》. Chicago Lectures in Mathematics (영어).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ISBN 0-226-00527-5.
- Bump, Daniel (2013). 《Lie groups》. Graduate Texts in Mathematics (영어) 225 2판. Springer. doi:10.1007/978-1-4614-8024-2. ISBN 978-1-4614-8024-2. ISSN 0072-5285. Zbl 1279.22001.
- Chevalley, Claude (1999). 《Theory of Lie groups》 (영어). Princeton Landmarks in Mathematics. Princeton Mathematical Series 8 15판.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ISBN 0-691-04990-4. Zbl 0946.22001.
- Hall, Brian C. (2003). 《Lie Groups, Lie algebras, and representations: an elementary introduction》. Graduate Texts in Mathematics (영어) 222. Springer. arXiv:math-ph/0005032. doi:10.1007/978-0-387-21554-9. ISBN 978-0-387-40122-5. ISSN 0072-5285.
- Knapp, Anthony W. (2002). 《Lie groups beyond an introduction》. Progress in Mathematics (영어) 140 2판. Boston: Birkhäuser. ISBN 0-8176-4259-5. MR 1920389. Zbl 1075.22501.
- Rossmann, Wulf (2001). 《Lie groups: an introduction through linear groups》. Oxford Graduate Texts in Mathematics (영어).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859683-7. Zbl 0989.22001.
- Serre, Jean-Pierre (1992). 《Lie algebras and Lie groups: 1964 lectures given at Harvard University》. Lecture Notes in Mathematics (영어) 1500 2판. Springer. doi:10.1007/978-3-540-70634-2. ISBN 978-3-540-55008-2. ISSN 0075-8434.
- Steeb, Willi-Hans (2007년 7월). 《Continuous Symmetries, Lie Algebras, Differential Equations and Computer Algebra》 (영어) 2판. World Scientific. ISBN 978-981-270-809-0.
- Alexandrino, Marcos M.; Renato G. Bettiol (2010년 8월). “Introduction to Lie groups, isometric and adjoint actions and some generalizations” (영어). arXiv:0901.2374. Bibcode:2009arXiv0901.2374A.
- Yokota, Ichiro (2009년 2월). “Exceptional Lie groups” (영어). arXiv:0902.0431. Bibcode:2009arXiv0902.0431Y.
리 이론의 역사편집
- Borel, Armand (2001). 《Essays in the history of Lie groups and algebraic groups》. History of Mathematics (영어) 21.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London Mathematical Society. ISBN 978-0-8218-0288-5. MR 1847105. Zbl 1087.01011. 2014년 11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2월 7일에 확인함.
- Hawkins, Thomas (2000). 《Emergence of the theory of Lie groups: An Essay in the History of Mathematics 1869–1926》 (영어). Sources and Studies in the History of Mathematics and Physical Sciences. Berlin, New York: Springer-Verlag. doi:10.1007/978-1-4612-1202-7. ISBN 978-0-387-98963-1. MR 1771134. Zbl 0965.01001.
응용편집
- Georgi, Howard (1999년 10월). 《Lie algebras in particle physics from isospin to unified theories》. Frontiers in Physics (영어) 54 2판. Boulder, Colorado: Westview Press. ISBN 978-0738202334. Zbl 0505.00036.
- Tung, Wu-Ki (1985년 8월). 《Group theory in physics: an introduction to symmetry principles, group representations, and special functions in classical and quantum physics》 (영어). Singapore: World Scientific. ISBN 978-9971-966-57-7. Zbl 0952.81500.
같이 보기편집
외부 링크편집
- “Lie group”. 《Encyclopedia of Mathematics》 (영어). Springer-Verlag. 2001. ISBN 978-1-55608-010-4.
- “Lie group, p-adic”. 《Encyclopedia of Mathematics》 (영어). Springer-Verlag. 2001. ISBN 978-1-55608-010-4.
- “Analytic group”. 《Encyclopedia of Mathematics》 (영어). Springer-Verlag. 2001. ISBN 978-1-55608-010-4.
- Weisstein, Eric Wolfgang. “Lie group”. 《Wolfram MathWorld》 (영어). Wolfram Research.
- Weisstein, Eric Wolfgang. “Compact Lie group”. 《Wolfram MathWorld》 (영어). Wolfram Research.
- 신상진 (2012년 11월 29일). “23. 리 군(Lie group), 리 대수(Lie algebra)” (비디오). 한양대학교.
- 이철희. “리군과 리대수”. 《수학노트》.
- “Given a group G, how many topological/Lie group structures does G have?” (영어). StackExchan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