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평군(富平郡)은 과거 경기도의 행정구역이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인천부 중 일부와 합쳐져 부천군으로 개편되었다. 현재는 인천광역시 부평구부천시에서 그 흔적을 찾아볼 수 있다. 옛 부평군의 영역은 오늘날의 인천광역시 서구(검단지역 제외), 부평구, 계양구, 경기도 부천시와 서울특별시 구로구 서부(안양천 서부) 및 강서구 일부에 이른다.

유래

편집

초기 이름은 주부토(主夫吐) 또는 장제(長堤)였다.[1] 토(吐)가 "둑"(堤)의 고어로 지금과 자연스럽게 연결되는 것은 확실하지만 주부(主夫)는 "길다"(長)라는 뜻이고 한국어의 "줄" 과 대응된다. 이병도에 의하면 마한 소국 중에 하나인 우휴모탁국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출토된 유적으로는 마한시대에 중요한 지역이었음에 분명하다. 지금의 부평이라는 이름이 사용된 것은 고려시대에 처음이었다.

역사

편집

하위 행정구역

편집

-1914년 이전 기준-

  • 군내면(郡內面)
  • 서면(西面)
  • 마장면(馬場面)
  • 동소정면(同所井面)
  • 동면(東面)
  • 당산면(堂山面)
  • 황어면(黃魚面)
  • 주화곶면(注火串面)
  • 상오정면(上吾丁面)
  • 하오정면(下吾丁面)
  • 수탄면(水呑面)
  • 옥산면(玉山面)
  • 석천면(石川面)
  • 모월곶면(毛月串面)
  • 석곶면(石串面)

각주

편집
  1. 長堤郡, 本高句麗主夫吐郡, 景德王改名, 今樹州. 領縣四: 戍城縣, 本高句麗 首尒忽, 景德王改名, 今守安縣; 金浦縣, 本高句麗黔浦縣, 景德王改名, 今因之;童城縣, 本高句麗童子忽[一云<▩山縣{幢山縣} .]縣, 景德王改名, 今因之; 分津縣, 本高句麗 平唯押縣{平淮押縣} , 景德王改名, 今通津縣.#35卷-志4-地理2-12《三國史記

같이 보기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