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수기하학에서, 안정점(安定點, 영어: stable point)은 어떤 대수군의, 사영 대수다양체 위의 작용 아래, 그 안정자군이 유한하며, 그 궤도가 닫힌집합인 점이다.[1][2]

정의 편집

다음이 주어졌다고 하자.

그렇다면, 점  가 다음 두 조건을 만족시킨다면, 안정점이라고 한다.

  1. 군의 작용의 궤도  의 차원이  의 차원과 같다. (즉, 안정자군이 유한하다.)
  2.   닫힌집합이다.

안정점의 집합을  라고 표기하자.

 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면, 준안정점(영어: semistable point)이라고 한다.

  • 어떤   -불변 동차 다항식  에 대하여 ( ),  이다.

준안정점의 집합을  라고 표기하자.

 에 대한 복소수 사영 공간  의 점  의 경우, 그 점의 대표원  이 (준)안정점일 경우 마찬가지로 (준)안정점이라고 한다.    속의,  의 작용에 대하여 불변인 사영 대수다양체일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정의한다.

성질 편집

사영 대수다양체  를 정의하는 동차 아이디얼

 

을 생각하자. 그렇다면,    위에 작용한다. 이에 대한 고정점의 집합

 

을 생각하자. 이는 복소수체 위의 유한 생성 가환 결합 대수를 이루며, 어떤 사영 대수다양체를 정의한다. 이를  라고 한다.

이 경우, 다음과 같은 포함 관계가 존재한다.

 

여기서,    열린집합이며, 마찬가지로   의 열린집합이다.

안정성의 수치 조건 편집

 차원 복소수 벡터 공간  복소수 사영 공간   위에  가 작용한다고 하자. 그렇다면, 임의의 대수적 군 준동형

 

에 대하여,  를 다음과 같이 복소수 벡터 공간의 직합으로 분해할 수 있다.

 
 

(일부  에 대하여  일 수 있다.) 이에 대한 사영 사상을

 

라고 하자.

그렇다면, 임의의  에 대하여

 

을 정의하자. 힐베르트-멈퍼드 수치 조건(Hilber-Mumford數値條件, 영어: Hilbert–Mumford numerical condition for stability)에 따르면, 임의의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

  • 임의의  에 대하여  이다.
  •  는 안정점이다.

마찬가지로,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

  • 임의의  에 대하여  이다.
  •  는 준안정점이다.

역사 편집

1893년에 다비트 힐베르트가 (현대적 용어로는) 준안정점이 아닌 점을 ‘영형식’(독일어: Nullform 눌포름[*])이라는 이름으로 연구하였다.[3] 이후 데이비드 멈퍼드가 1965년에 안정점과 준안정점의 개념을 도입하였다.[2]

참고 문헌 편집

  1. Dieudonné, Jean A.; Carrell, James B. (1970). “Invariant theory, old and new”. 《Advances in Mathematics》 (영어) 4: 1–80. doi:10.1016/0001-8708(70)90015-0. ISSN 0001-8708. MR 0255525. 
  2. Mumford, David; Fogarty, J.; Kirwan, Frances (1994). 《Geometric invariant theory》. Ergebnisse der Mathematik und ihrer Grenzgebiete (영어) 34 3판. Springer-Verlag. doi:10.1007/978-3-642-57916-5. ISBN 978-3-540-56963-3. MR 1304906. 
  3. Hilbert, David (1893). “Über die vollen Invariantensysteme”. 《Mathematische Annalen》 (독일어) 42: 313. doi:10.1007/BF01444162.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