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하 불변량 이론 몫

대수기하학에서 기하 불변량 이론 몫(幾何不變量理論몫, 영어: geometric invariant theory [GIT] quotient)은 대수군이 작용하는 대수다양체가 주어졌을 때, 이에 대한 몫을 정의하는 방법이다.[1][2] 이 경우, 일부 ‘매우 나쁜’ 점들(준안정점이 아닌 점)을 버리게 되며, 또한 일부 ‘조금 나쁜’ 점(안정점이 아닌 준안정점)의 경우 해당 원상이 궤도 전체가 아닐 수 있다.

정의 편집

아핀 스킴의 경우 편집

다음이 주어졌다고 하자.

  •  
  •   위의 아핀 스킴  
  •   위의 대수군  
  • 작용  

그렇다면,   위에는 군의 작용

 
 

이 주어진다. 그렇다면, 불변량의 대수

 

를 정의할 수 있다. 이 역시   위의 가환 결합 대수이다.

그렇다면,  기하 불변량 이론 몫은 다음과 같다.

 

만약    위의 유한 생성 가환 결합 대수이며,  가약군이라면,   역시   위의 유한 생성 가환 결합 대수이다 (나가타 정리 영어: Nagata’s theorem).

일반 스킴의 경우 편집

다음이 주어졌다고 하자.

  •  
  •   위의 유한형 스킴  
  • 대수적 선다발  
  •   위의 대수군  
  • 작용  

그렇다면, 이 데이터의 선형화  위의  의 다음과 같은 조건을 만족시키는 작용이다.

  • 임의의  에 대하여,  . 즉, 이는 각 올  에 대하여 사상  를 정의한다.
  • 또한, 임의의  에 대하여,   -선형 변환이다.

이 경우, 대수적 선다발  에 대하여  기하점(대수적으로 닫힌 체 계수의 유리점)

 

에 대하여, 만약 다음 조건이 성립한다면,  준안정점이라고 한다.

  • 어떤 양의 정수   -불변 단면  에 대하여,  이며  아핀 열린 부분 스킴이다.

만약 위 정의에 추가로  에서 모든 기하점의 궤도가 자리스키 닫힌집합이라는 조건이 추가로 성립하면  안정점이라고 한다.

준안정점들은 열린 부분 스킴

 

을 구성한다. 정의에 따라서, 충분히 큰   -불변 단면

 

에 대하여

 
 

가 된다. 따라서 각 아핀 열린 스킴에 대하여 기하 불변량 이론 몫

 

를 정의할 수 있으며, 이들을 짜깁기하여   위의 유한형 스킴

 

를 정의할 수 있다. 이를  기하 불변량 이론 몫이라고 한다. 이 개념은 사용한 선형화에 의존한다.

성질 편집

  위의 유한형 스킴   및 그 위에 작용하는 대수군   및 선다발   및 선형화가 주어졌다고 하자. 그렇다면, 안정점으로 구성된 열린 부분 스킴  준안정점으로 구성된 열린 부분 스킴  이 존재한다. 이 경우  의 경우 몫공간인 스킴  를 정의할 수 있다. 이 경우 다음과 같은 사상들이 존재한다.

 

편집

오비폴드 편집

아핀 스킴   위의, 이산군  (2차 순환군)의 작용

 

을 생각하자. 또한,  라고 하자. 그렇다면,

 
 

가 된다. 따라서

 

는 3차원 아핀 공간 속의 이차 초곡면이다.

사영 공간 편집

 가 주어졌다고 하자. 곱셈군  사영 공간   위에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고 하자.

 

그렇다면, 닫힌 점  는 힐베르트-멈퍼드 수치 조건에 의하여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 만약  이며  이라면,  안정점이다.
  • 만약  이라면,  안정점도, 준안정점도 아니다.
  • 만약  이라면,  안정점도, 준안정점도 아니다.

(이 경우 모든 준안정점은 안정점이다.)

즉, 이 경우 준안정점의 부분 공간은

 

이며, 그 위의  의 작용은

 

이다. 따라서 그 기하 불변량 이론 몫은

 

이다.

참고 문헌 편집

  1. Dieudonné, Jean A.; Carrell, James B. (1970). “Invariant theory, old and new”. 《Advances in Mathematics》 (영어) 4: 1–80. doi:10.1016/0001-8708(70)90015-0. ISSN 0001-8708. MR 0255525. 
  2. Mumford, David; Fogarty, J.; Kirwan, Frances (1994). 《Geometric invariant theory》. Ergebnisse der Mathematik und ihrer Grenzgebiete (영어) 34 3판. Springer-Verlag. doi:10.1007/978-3-642-57916-5. ISBN 978-3-540-56963-3. MR 1304906.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