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인시대
SBS에서 2002~2003년에 편성된 드라마로 일제 강점기를 배경으로 다루는 드라마
《야인시대》(野人時代)는 SBS에서 2002년 7월 29일부터 2003년 9월 30일까지 총 124회 동안 김두한의 일대기를 그린 대하드라마이다. 또한 야인시대의 최고 시청률은 야인시대의 제작사인 SBS를 비롯한 9개 지역 민방 네트워크를 기준으로 57.1%이다.
![]() 현재는 철거된 경기도 부천시 소재 부천 판타스틱 스튜디오 세트장의 모습. | |
장르 | 시대극, 다큐드라마 |
---|---|
방송 국가 | ![]() |
방송 채널 | SBS |
방송 기간 | 2002년 7월 29일 ~ 2003년 9월 30일 |
방송 시간 | 9시 55분 |
방송 분량 | 60분 |
방송 횟수 | 124부작 + 스페셜 |
원작 | 이환경 |
기획 | 차성모 |
총감독 | 이현석 |
프로듀서 | 김형욱 |
제작자 | SBS 프로덕션 |
연출 | 장형일 |
각본 | 이환경 |
출연자 | 안재모, 김영철 외 |
해설 | 이강식 |
HD 방송 여부 | SD 제작 · 방송 |
외부 링크 | 야인시대 홈페이지 |
비고: |
또한 인터넷 합성물로 인해 대한민국 방송 역사에 엄청나게 큰 한 획을 그은 텔레비전 드라마이며, 이에 관해 극중 심영 역을 맡은 김영인의 대사인 내가 고자라니로 인해 푸른 거탑을 비롯한 여러 방송에서 수많은 패러디가 쏟아져 나오기도 했다.
줄거리편집
청산리 대첩의 영웅으로 알려진 백야 김좌진 장군의 아들로 태어나 뒷골목 거지에서 종로패의 두목으로 일본과 공산주의자들과 맞서 싸우는 반공투사를 거쳐 국회의원이 되었던 김두한의 일생을 그려낸 드라마. 김두한의 일생을 통해서 잃어버린 국권 피탈으로 암울했던 일제 강점기를 지나 해방 이후 좌·우익 이념 대립과 한반도 분단 그리고 6·25 한국전쟁, 그리고 이승만 자유당 정권 독재기를 거쳐가는 대한민국 근·현대사를 아우르는 이야기가 펼쳐진다.
작가의 의도는 정치인으로서의 김두한을 다루기 위해 시나리오를 작성했지만 TV 드라마의 특성 상 시청률을 의식하지 않을 수 없으므로 일부러 액션 씬이 많은 일제강점기 시절의 청년 김두한도 시나리오에 추가함으로서 결과적으로는 김두한의 일대기가 되었다.
등장인물편집
편성 변경편집
연장편집
참고 사항편집
- 김두한의 실제 장녀로 잘 알려진 탤런트 김을동이 김두한의 큰어머니 역으로 낙점되었으나 거절당했다.[4]
- 폭력 시비 탓인지 2002년 최악의 드라마 2위에 선정되는 불명예를 안았다.[5]
- 배우 최민수는 해당 작품이 본인의 아버지인 영화배우 최무룡의 명예를 훼손했다며 제작사 SBS 프로덕션과 연출자 장형일 PD, 집필자 이환경 작가에 대해 배상금 2억 원을 청구하는 소송을 2003년 9월 29일에 서울남부지방법원에 내는 한편, 형사소송법에 따라 서울남부지방검찰청에 명예훼손 혐의로 고소했다.[6]
- SBS는 《용의 눈물》이 끝난 뒤 작가 이환경을 1999년 초 영입하였고, KBS 1TV 대하사극과 경쟁하기 위해 당초 《유리구두》 후속 주말 특별기획 드라마로 편성할 예정이었다. 하지만 이환경 작가가 집필해 온 KBS 1TV 《제국의 아침》이 주말 밤 같은 시간(9시 50분)에 편성된 점을 고려해 동시 방영을 피하기 위해[7] 《여인천하》 후속 월화드라마로 기획된 미니시리즈 라이벌과 편성을 맞바꿨다.[8]
- 2003년 12월 열린 제16회 한국방송작가상(2002년 중후반기 ~ 2003년 초중반기 내용) 드라마 부문 최종 후보에 오르기도 했지만 "한 번 작가상을 받은 사람은 다시 받을 수 없다"는 점과[9] "작가가 심사위원으로 임명된 작품은 수상 대상에서 제외된다"[10]는 규정 때문에 탈락했다.
- 태조 왕건의 작가인 이환경이 이 작품도 집필하였으며 아예 태조 왕건 팀이 야인시대도 같이 촬영했다. 태조 왕건에서 야인시대로 넘어온 배우들의 배역은 다음과 같다.
각주편집
- ↑ 김영현 (2003년 2월 24일). “작가가 요구한 `야인시대` 연장방송”. 중앙일보(일간스포츠). 2018년 11월 18일에 확인함.
- ↑ 김태경 (2003년 3월 2일). “[방송가] KBS '장희빈' 작가 집필 중단”. 국제신문. 2018년 11월 18일에 확인함.
- ↑ 김영현 (2003년 8월 15일). “"박선영 인기는 심은하 언니 수준"”. 중앙일보(일간스포츠). 2018년 11월 18일에 확인함.
- ↑ 허유신 (2002년 3월 7일). “이환경·김영철, SBS '야인시대'서 재회”. 경향신문. 2017년 9월 21일에 확인함.
- ↑ 손정인 (2002년 12월 30일). “[방송가] 올해 최고 프로 MBC '네 멋대로 해라'”. 국제신문. 2017년 2월 4일에 확인함.[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김수혜 (2003년 9월 29일). “[색연필] 최민수 씨"아버지 명예 훼손" SBS `야인시대` 소송”. 조선일보. 2017년 9월 21일에 확인함.
- ↑ 김가희 (2002년 6월 22일). “SBS `야인시대` 월·화 드라마로 편성변경”. 일간스포츠. 2019년 11월 3일에 확인함.
- ↑ 허유신 (2002년 7월 29일). “SBS '야인시대' 국회 오물 투척 사건으로 시작”. 경향신문. 2016년 4월 11일에 확인함.[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채수범 (2003년 12월 11일). ““올해도 드라마 작가상 줄 수 없다.”방송작가협 “대부분 작품성 미달””. 서울신문. 2016년 12월 14일에 확인함.[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김경욱 (2006년 12월 18일). “올해 방송작가상서 드라마부문 수상없는 이유”. 머니투데이 스타뉴스. 2017년 11월 6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위키인용집에 이 문서와 관련된 문서가 있습니다. |
- SBS 야인시대 홈페이지
- (일본어) KNTV 야인시대 홈페이지
SBS 월화드라마 | ||
---|---|---|
이전 작품 | 작품명 | 다음 작품 |
SBS의 대하드라마 | ||
2001 ~ 2002년 | 2002 ~ 2003년 야인시대 |
2003 ~ 2004년 |
여인천하 | 왕의 여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