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좌진

한국의 군인, 청산리 전투의 지휘관 (1889–1930)

김좌진(金佐鎭, 1889년 12월 16일 (음력 11월 24일)~1930년 1월 24일)은 대한제국대한민국 임시정부 시기의 군인이다.

김좌진
조선한민족총연합회 회장 겸 총재
임기 1929년 2월 15일 ~ 1929년 11월 1일
주석 이동녕 대한 임정 수반
총리 김구 대한 임정 총리
장관 김구 대한 임정 내무총장
차관 이유필 대한 임정 내무차장

이름
별명 자(字)는 명여(明汝)
호(號)는 백야(白冶)
신상정보
출생일 1889년 12월 16일(1889-12-16)
출생지 조선 충청도 홍주목
사망일 1930년 1월 24일(1930-01-24)(40세)
사망지 중화민국 만저우 지방 베이젠다오 하이린시
국적 대한제국
경력 군인
독립운동가
시인
저술가
문장가
정당 무소속
부모 김형규(부), 한산 이씨 부인(모)
형제자매 김경진(형), 김옥출(누나), 김동진(남동생)
배우자 초배 부인 오숙근
계배 부인 나혜국
측실 김계월(일명 박계숙)
측실 이씨
자녀 2남 2녀
(서장남 김두한, 서장녀 김석출,
적차남 김철한, 적차녀 김강석)
친인척 김옥균(9촌 숙부)
김종진(족제)
김을동(손녀)
송일국(외증손자)
송송이(외증손녀)
종교 유교(성리학) → 대종교
군사 경력
복무 대한독립군 참장(參將)[1] 전역
주요 참전 청산리 전투
상훈 1962년 대한민국 건국훈장 제1급(건국훈장 대한민국장) 추서

그는 대한제국 육군무관학교(現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했다. 청산리 전투를 승리로 이끈 지휘관이었으며, 김동삼, 오동진 등과 3대 맹장(猛將)으로 불리기도 하였다.[2] 1930년 공산주의자 박상실[3]에 의해 피살되었다. 본관신 안동. 김상용의 11대손이며 는 명여(明汝), 는 백야(白冶)이다.

나이 17세(1906년)에 그는 집안의 가노를 해방 및 땅을 분배하였고 민족적 자립을 위한 무장 독립 운동의 선봉에도 서는 동시에 국가의 미래를 위한 교육사업도 활발히 펼쳐 노블레스 오블리주를 실천한 대한제국 교육 사회 사업 르네상스 혁신 선구자 인물 중 한 명이기도 하다.[4] 형평사 운동에도 관여했다.

생애 편집

출생과 성장 편집

 
1920년 청산리 전투 승전 기념

충청남도 홍성군 갈산면 행산리에서 출생하였다. 흔히 청산리 대첩의 대표 장군으로 나온다.[5] 만3살 때(1892년) 아버지 김형규를 여의었으나 넉넉한 살림에 경제적으로 어려운 일은 없었다. 하지만, 아비 없는 자식이라는 손가락질하는 소리를 듣지 않기 위해 모친인 한산 이씨에 의해 엄하게 교육을 받으며 성장하였다. 1904년 해주 오씨 오숙근과 혼인하였다.

애국의 길을 선택하다 편집

1905년 대한제국 육군무관학교에 입학하였고 같은 해, 가노 해방 및 전답을 무상 분배한 뒤 1907년 호서(충청도) 지방을 밝게 한다는 즉 개화한다는 뜻인 호명학교를 설립하였다. 가산을 정리한 뒤 학교 운영에 충당하게 하고 90여 칸으로 된 자신의 집을 학교 교사로 제공했다. 홍성대한협회 지부와 기호흥학회를 조직하여 애국 계몽 운동을 전개하였다. 1909년 기호흥학회 장학재단을 설립하였고 한성신보 이사를 역임하였다. 안창호·이갑 등과 서북학회를 세우고 산하 교육기관으로 오성학교를 설립하여 교감을 역임하는 한편, 청년학우회 설립에도 협력하였다.

항일투쟁의 길을 걷다 편집

1911년 동간도에 독립군 사관학교를 설립하기 위하여 자금조달자 돈의동에 사는 족질 김종근을 찾아간 것이 원인이 되어, 2년 6개월간 서대문형무소에 투옥되었다. 복역 중 김구와도 조우한다. 1913년 서대문형무소에서 출소한 김좌진은 “사나이가 실수하면 용납하기 어렵고 지사가 살려고 하면 다시 때를 기다려야 한다.”라는 시를 지었다. 1917년 대한광복단을 조직하여 박상진 등과 활동하다 1918년 만주 길림으로 망명하면서 “칼 머리 바람에 센데 관산 달은 밝구나 칼끝에 서릿발 차가워 고국이 그립도다 삼천리 무궁화 동산에 왜적이 웬 말이냐 진정 내가 님의조국을 찾고야 말것이다.”라는 시를 지었다. 대한정의단에 합류한 군사부문 책임자가 되었고 동 단체를 군정부로 개편한 후 사령관으로 추천되었다. 한편, 1918년 박상진이 체포되어 사형선고를 받았을 때 박상진을 구하기 위해 파옥계획을 세웠으나 실현은 하지 못했다.[6]

1918년 길림에서 무오 독립선언에 서명하였다. 1919년 북로군정서 사단장과 사관연성소 소장을 겸임했다. 1920년 10월 21일 청산리 전투를 지휘하여 일본군을 대파하였다. 김좌진은 1921년 대한독립군단을 결성했다. 1921년 우수리강을 넘어 이만까지 갔다가, 다시 북만주로 돌아왔기 때문에 자유시참변은 겪지 않았다.

1925년 군사위원장 겸 사령관직 겸임한 신민부를 창건하였다. 또한 북간도 목릉현에 성동사관학교를 세워 부교장으로서 정예사관 양성에 심혈을 기울였다. 이때 대한민국 임시정부국무위원으로 임명했으나, 취임하지 않고 독립군 양성에만 전념하였다.

최후 편집

1928년 한국유일독립당을 조직하였고 1929년 한족총연합회 주석이 되었다. 이 과정에서 민족주의 계열과 공산주의 계열 독립운동가 사이에 갈등이 격화되었고, 공산주의 선동에 방해되는 이유로 1930년 1월 24일 북간도 중동선 해림현 산시역에서 김일성(金一星, 본명 김봉환)의 사주를 받은 고려공산청년회 회원 박상실(朴尙實, 일명: 尙範, 金信俊)에게 피살되었다.[7][8][9] 김일성은 사건 직후 이붕해(李鵬海, 1899~1950)에게 살해되었으며,[8][10][7] 박기봉(朴奇峰)에 의하면 만주공산주의 단체의 기관지인 「적기(赤旗)」지(誌) 1930년 3월호에 암살 교사범 김일성(金一星·김봉환)의 죽음을 추도하는 기사가 실렸다고 한다.[11]

한편 중외일보 1930년 2월 24일자 기사 「배후(背後)에서 권총(拳銃)으로 김좌진(金佐鎭)에 하수(下手)한 김일성(金一星)」에 나오는 김일성은 단순한 성행 불량자로 김봉환과 다른 인물로 보이며, 그가 단독으로 암살을 실행한 것으로 나온다.[12][13][14] 또 암살범 박상실(朴尙實, 일명 崔永錫)이 체포되어 사형을 선고받고 집행을 위해 봉천으로 이송 중이라는 1931년 9월 11일자 동아일보 기사가 있고[15][16], 『삼천리』 1932년 3월호 기사 《남편 김좌진의 초혼, 미망인 나혜국여사의 방문기 (男便 金佐鎭의 招魂, 未亡人 羅惠國女史의 訪問記)》에도 "박상실을 잡아서 봉천(奉天)에 보내어 사형(死刑)에까지 처(處)하게 만들었다"고 했으므로,[17] 그도 무사하지 못했던 것으로 보인다.

한편 월간조선이 입수한 1931년 3월에 작성된 일본 하얼빈총영사관의 문서 「공산주의 선인(鮮人)의 행동개황」에는 「공산계통 불령선인단(不逞鮮人團) 조선인 주중국청년총맹원(駐中國靑年總盟員) 김신준(金信俊)은 24세로 (1930년) 1월24일 북간도 산시참(山市站) 남방 조선인 부락에서 민족계 불령단 한족(韓族)총연합회 수뇌 김좌진(金佐鎭)을 살해했다」고 적혀 있다. 독립운동사를 연구하는 학자들은 「김신준」과 「박상실」을 동일인물로 간주해왔지만 이에 대한 명백한 근거는 없으며 암살범 김신준은 전혀 다른 인물일 가능성도 있다.

「하얼빈 일본총영사관의 배후조종說」은 확인 안

근래에 중국 연변 학계에서는 김좌진 암살범은 『조선공산당 아성(阿城)총국에서 파견한 무장공작대원 공도진(公道珍)』이라고 말한다.[18][19] 공도진은 이복림(李福林,1907 ~1937)의 본명이며,[20] 그는 중국공산당 만주성위 산하 동북항일연군 제3로군 총사령 자오상즈(趙尙志, 1908~1942)의 신임을 받던 최측근 인사였는데, 1937년 전사했다.[16] 박상실이 공도진(이복림)이라는 주장도 있으나 확실하지 않다. 또한 연변에서는 암살범이 김동식(가명·이성림)이라는 주장도 나와 있다.[21]

김좌진은 사망하기 직전 “할 일이…. 할일이 너무도 많은 이때에 내가 죽어야 하다니... 그게 한스러워서….”란 말을 남겼다. 사후 3년 뒤, 아내 오숙근이 유해를 수습하여 고향 홍성에 임시로 매장하였다가 해방 후 김두한에 의해 정식으로 안장되었다.

사후 편집

  • 한족총연합회에서 사회장으로 치러졌다. 그의 장례에 참석한 중국 사람들은 고려의 왕이 죽었다고 애도하였다.
  • 1933년 경성에 있던 부인 오숙근이 일제를 피해 만주로 다시 가서 상자에 김좌진의 유해를 위장하여 홍성군 서부면 이호리에 밀장한 뒤 1957년 김두한에 의해 지금의 장소로 이장되었다. 이듬해 사망한 부인 오숙근은 남편 김좌진과 함께 합장되었다.
  • 1947년 김좌진을 추모하는 추모회가 열렸다.
  • 대한민국 정부는 고인의 공헌을 기리기 위하여 1962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을 추서하였다.
  • 1974년 보령시에서 김좌진의 성역화사업을 추진하고, 이와 동시에 그의 업적과 정신을 후세에 계승코자 매년 10월 22일에 행사가 개최되고 있다.
  • 생가터(안채, 사랑채, 광이 따로 있고 앞면 8칸 옆면 3칸의 기와집으로 서쪽을 향하고 있음)는 충청남도 기념물 제76호로 지정되었다.[22]
  • 1999년 백야 김좌진 장군 기념사업회가 설립되었다. 그리고 2013년 8월, 대한민국 해군 손원일급 잠수함 4번함이 '김좌진함'으로 명명되었다.

평가 편집

{{완성 문단))

그이(김좌진)는 몸이 뚱뚱하면서도 후리후리한 키가 구척 장신인 거인인 만큼 힘도 큰 장사이였습니다. 옛날 우리 집에 ‘놋두멍’은 얼마나 무거웠든지 빈 것이라도 칠팔명 장정이 들어야 땅김이라도 하는 것을 그이는 혼자서 힘드리지 않고 물이 반독이나 들어잇는 것을 능큼능큼 들곤 하였습니다. 그렇게 때문에 먹는 것도 대음(大飮) 대식(大食)이였습니다. 술도 그랫거니와 밥 한 두 그릇은 맛이나 보고 고기 근이란 량에 차지도 아니하였답니다.
 
당신도 총에 맞고 나도 총에 맞았는데, 왜 나 혼자 살아서 오늘날 이 꼴을 본단 말이오. 당신은 영혼이 되시어 우리 동포를 이끌어가는 나를 보호해 주시오. 그리고 땅 밑에서 당신과 만날 때 우리 둘이서 그 옛날 서대문감옥에서 하던 말 다시 말해 봅시다.
 
1947년 김구의 김좌진 장군 추도사 中[24]
김좌진 장군은 칠 척 거구에 만인을 위압하는 태산과 같은 위엄과 형형한 안광 그리고 도도한 웅변력을 가진 진정한 영웅호걸이었다.
 
철기 이범석의 회고록 中
중국청일 전쟁 당시 일본에 패배하였습니다. 이것은 일본에 대한 저항의 자신감을 잃게 했습니다. 청산리 전투의 승리로 중국 사람들의 항일 정신을 고무시켰습니다. 청산리 전투의 승리는 중국인들이 일본 제국주의를 이길 수 없다는 생각을 바꿔놓았습니다.
 
— 장완린 작가[25]

기타 편집

공산 진영에서 김좌진이 친일로 변질했다며 비판하나 이는 자유시 참변으로 민족 진영과 공산 진영의 대립으로 깎아내리기 위한 나온 말이며[26] 실제로 김좌진은 좌우가 협력해 독립운동해야 한다고 주장한 민족주의자였다.[27]

  • 신민부가 해체되는 대표적인 사건 '빈주사건'으로 사형선고를 받았다고 한다.
  • 1963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받은 김좌진 장군의 막빈(비서이자 참모)이었던 이정(李楨, 1895 ~ 1943)이 일제의 밀정이 되어 그와 관련된 정보를 일제에 넘겼던 것으로 밝혀졌다.[28]

어록 편집

적막한 달밤에 칼머리의 바람은 세찬데 칼끝에 찬서리가 고국생각을 돋구누나 삼천리 금수강산에 왜놈이 웬말인가 단장의 아픈마음 쓰러버릴 길 없구나
 
— 《독립기념관 〈단장지통〉어록비》
칼 머리 바람에 센데 관산 달은 밝구나 칼끝에 서릿발 차가워 고국이 그립도다 삼천리 무궁화 동산에 왜적이 웬 말이냐 진정 내가 님의조국을 찾고야 말것이다.
 
— 《1918년 만주로 망명하면서》
사나이가 실수하면 용납하기 어렵고 지사가 살려고 하면 다시 때를 기다려야 한다.
 
— 《1913년 서대문형무소에서 출소하면서》
할 일이 할 일이 너무도 많은 이때에 내가 죽어야 하다니 그게 한스러워서…
 
— 《1930년 1월 24일 사망하기 직전에 남긴 말》
본년 8월 이래로 적의 독균이 간도에 파급되어 슬프다! 우리 무고한 양민이 적의 독봉 아래 원혼이 된 자 얼마며

그 많은 재물과 양곡이 화염 속에 사라진 것이 얼마며 이렇게 땅은 얼고 찬 기운이 뼈를 깎는데 옷 없고 집 없이 길에서 굶어 죽는 자 얼마인가.

종이조각에 대한 두 글자만 나타나도 그 집은 잿더미가 되고 탄피의 빈 껍질 하나라도 들어나면 그 사람은 죽임을 당하니 모든 사람이 입을 봉하고 서로 눈 질만하고 있다. 교회당에 불을 지르고 학교를 헐어 문명을 박멸하니 천인이 공노하고 있는도다.

우리 군정서는 죽을힘을 다하여 혈전 4,5일에 적의 연대장 이하 수십 명의 장교와 1천2백 명의 병졸 을 죽였다. 그러나 부득이 험악한 산중으로 물러나 스스로를 지키면서 재기의 그날을 기약할 것이다.

이에 아래와 같은 격문을 포고한다. 정의를 보고 용감한 것이 우리 독립군의 정신이요 싸움에 임하여 물러서지 않는 것은 우리 독립군의 기백이니 어찌 공로를 계산하고 이익을 도모하여 대의를 저바릴 것인가. 이 격문이 이르는 날부터 각기 정의를 분발하여 성패를 불문하고 다 함께 함몰되어 가는 민족과 조국을 건져내어서 대한 광복의 대업을 조속히 완성합시다.

 
— 《간도 참변 이후 김좌진의 군정서 격고문》[29]

가족 편집

  • 조부 : 김병호(金炳皓)
  • 양조부 : 김병태
    • 삼촌 : 김덕규(金德圭,1848~1900)
    • 아버지 : 김형규(金衡圭,1864~1892)[30]
    • 어머니 : 한산 이씨 이상희(1863~1949)
      • 형 : 김경진(金敬鎭,1883~1963,삼촌 김덕규의 양자로 출가)
      • 누나 : 김옥출
      • 남동생 : 김동진(金東鎭,1891~1938)
      • 본인
        • 첫째 부인 : 오숙근(1887~1958)
          • 적장녀 : 김석출
        • 둘째 부인 : 김계월(1904~1970년대)
        • 셋째 부인 : 박계숙(박상궁의 딸, 김계월과 동일인물 추정)
        • 넷째 부인 : 나혜국(1901~1992)
          • 적차남 : 김철한(1924~1998)
        • 다섯째 부인 : 김영숙

같이 보기 편집

60 外務省警察史附屬寫眞第一號(間島ノ部)
pp.830~835 에 김좌진 장군이 사용하던 물품, 무기, 증서 등의 사진이 있음.

관련 작품 편집

영화 편집

드라마 편집

각주 편집

  1. 현재의 대한민국 국군 소장에 대응되는 계급이다.
  2. 하민지 인턴기자 2월에 기릴 인물, 독립운동가 오동진-문태수 선생 Archived 2008년 5월 14일 - 웨이백 머신 뉴스미션 2008년 2월 1일 작성
  3. 박상실은 박상실이란 이름을 비롯해 박상범, 공도진, 최동범, 이복림 등 여러 가명만 있을 뿐 본명은 알 수 없다.
  4. 장군의 민족주의 Archived 2012년 3월 29일 - 웨이백 머신 김좌진 장군 기념사업회
  5. “연이 어머니/탤런트 김을동 조강지처 5부작”. KBS. 2003년 8월 25일. 2004년 8월 1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3년 8월 25일에 확인함. 
  6. 역사스페셜 잊혀진 영웅! 광복회 총사령 박상진 KBS 2010년 4월 10일 방송
  7. 이을규(李乙奎), 『시야 김종진 선생전(是也 金宗鎭 先生傳)』[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서울, 한흥인쇄소, 1963)
  8. 이붕해(李鵬海, 1899~1950) Archived 2018년 4월 4일 - 웨이백 머신 보훈처 독립유공자 공훈록
  9. 북간도를 진동케한 산시 김좌진씨 사건 신한민보[新韓民報] 1930년 7월 24일 3면 1단
  10. 이붕해(李鵬海, 1899~1950)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한국학중앙연구원
  11. 박기봉(朴奇峰), 「김좌진(金佐鎭)의 피살설에 대한 연구」: 흑룡강성 해림시(黑龍江省 海林市) 김좌진 학술 토론회 자료 (조선민족사학회, 1993년)
    <의혹 추적> 문화부는 왜「이달의 문화인물」에 프로 문학가 姜敬愛를 선정했나 『소설가 姜敬愛는 金佐鎭 장군 암살 敎唆犯(교사범)의 동거녀』(前 광복회장 李康勳옹의 生前 회고) : 월간조선 2005년 2월호
  12. 배후(背後)에서 권총(拳銃)으로 김좌진(金佐鎭)에 하수(下手)한 김일성(金一星) 중외일보 1930년 2월24일 2면 4단 : 김일성의 사진도 있음.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13. 背後에서 拳銃으로 金佐鎭에 下手한 金一星 性行不良한 그의 來歷 중외일보(中外日報) 1930년 2월 24일 2면 4단 (국립중앙도서관 대한민국 신문 아카이브)
  14. 송상도(宋相燾, 1871~1946), 『기려수필(騎驢隨筆)』 > 1921년-1929년 > 金佐鎭(二) 壬戌獨立軍總大將 한국사료총서 제2집 (국사편찬위원회, 1971년 3월 20일) pp.316∼319
  15. 故金佐鎭氏(고김좌진씨) 下手人(하수인) 朴尙實(박상실)에 死刑判决(사형판결) 1931.09.11 동아일보 2면
  16. 《아나키즘 등장하다⑩ 거성 김좌진 암살사건 : 청산리 대첩의 영웅, 공산주의 총탄에 스러지다》 중앙선데이 제285호 2012.08.26 : 이덕일 저, 『잊혀진 근대 : 다시 읽는 해방 전(前)사 1918 - 1945 (이덕일 역사평설)』 Archived 2018년 4월 6일 - 웨이백 머신 (역사의 아침, 2013.10.28) 10장에 수록.
  17. 《남편 김좌진의 초혼, 미망인 나혜국여사의 방문기 (男便 金佐鎭의 招魂, 未亡人 羅惠國女史의 訪問記)》 삼천리 제4권 제3호 1932년 3월 1일
  18. <다시쓰는한국현대사>37.金佐鎭장군 암살 밝혀지는 배후 중앙일보 1995.07.25 종합 10면
    연속 기사 <다시쓰는한국현대사>37.金佐鎭장군 암살 밝혀지는 배후 중앙일보 1995.07.25 종합 10면
  19. 중앙일보 현대사연구팀, 『[발굴자료로 쓴] 한국 현대사』 (서울, 중앙일보사,1996) pp.90~95 : 김좌진장군 암살 밝혀지는 배후, 조선공산당이 결정, 지시한 듯.
  20. 이복림(李福林, 1907-1937) Archived 2018년 4월 4일 - 웨이백 머신 抗联人物, 吉林省图书馆 : 이복림의 원래 이름은 공도진이고, 다른 이름은 최동범이다.(李福林, 原名 公道轸, 又名 崔東範)
  21. "김좌진 장군 암살범은 김동식" 중앙일보 1989.11.23 종합 18면
  22. “잠시떠나볼까, "올해는 청산리대첩 100주년"... 백야 김좌진 장군 생가터를 가다”. 
  23. (동아일보 속의 근대 100景)<65>김좌진 동아일보 2009년 12월 29일 작성
  24. 도진순 《백범어록》 돌베개 2007년 11월 12일 ISBN 9788971992944
  25. 수요기획 (국권침탈100년) 독립의 길을 따라 1만리 대장정[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KBS 2010년 8월 18일 방송
  26. 지난번에 『대판조일신문』 및 『장춘실업신문』에 대한독립군단(大韓獨立軍團) 총사령관 김좌진(金佐鎭)씨가 하얼빈 일본 영사관에 귀순하였다는 설(說)을 기재하였으나 이것은 사실무근이다. 일본 측은 우리의 사업을 방해하기 위해 반간책(反間策)을 꾀하고 있으니 이것에 속을 사람이 없거니와 김좌진 씨는 오직 실력을 양성하기 위하여 금년도부터 길림성(吉林省) 어느 지방에 둔전제(屯田制)를 대규모로 실행하기로 하고 일방으로는 사관양성소(士官養成所)를 설립하여 연금 1백여명의 사관을 배출하는 중이라고 하더라
     
  27. “백야 김좌진장군 기념사업회”. 2012년 3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11월 18일에 확인함. 
  28. "김좌진의 비서, 안중근의 동지도…일제의 핵심 '밀정'이었다" 중앙일보 2019.08.14
  29. 백야 김좌진 장군 기념사업회
  30. 원래 김형균이었으나 갑신정변 때 개명했다.
  31. 족보에는 항렬자에 맞춘 경동으로 기재되어있고, 본명인 경민은 자(字)로 기재되어 있다.
  32. 족보엔 항렬자에 맞춘 현동으로 기재되어있으며, 본명인 현성은 자(字)로 기재되어 있다.

참고 자료 편집

  • 윤명숙, 《대한영웅전 1》 (국가보훈처, 1995)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