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백과:편집 지침

(위키백과:화살괄호에서 넘어옴)

이 지침은 위키백과 문서들의 통일성을 위해 일정 형식으로 편집하도록 안내하는 지침입니다. 특정한 분야와 관련된 문서의 개별적인 편집 지침은 위키프로젝트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일반

한국어와 한글로 쓰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한국어가 아닌 언어를 쓸 때에는 괄호나 따옴표 안에 집어넣어 구분해 줍니다. 한국어가 아닌 다른 언어 가운데 선택해야 할 때에는 되도록 중립적인 관점에서 합리적인 언어를 씁니다.

글을 작성할 때에는 해당 문서에 맞는 분류를 하나 이상 추가해야 합니다. 또한, 다른 언어판 위키백과에 같은 표제어를 가진 문서가 있는지 확인하여, 위키데이터에 항목을 추가해 줍니다.

굵은 글씨는 중요한 경우(표제어 및 주요한 넘겨주기 등)에 사용합니다. 기울인 글씨(이탤릭체)는 한글에 적용하지 않습니다. 또한, 불필요한 시각적 효과도 사용하지 않습니다.

연결하기

일반 문서에 위키백과:, 도움말:, 틀: 등의 이름공간 링크를 걸지 않습니다. 분류: 이름공간은 예외적으로 목록을 표시할 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다른 언어의 위키백과로 연결을 하지 않습니다. 대신 인터위키를 답니다.

조사에는 링크를 걸지 않습니다. 예: 리눅스는 (X) 리눅스는 (O)

HTML 태그

문서에는 되도록 직접적인 HTML 태그를 쓰지 않고, 대체할 위키 문법이 있을 때에는 그 문법을 사용합니다. 특히 일반 문서에는 태그를 사용해야 할 경우가 별로 없으며, 자칫하면 문서의 구조적 의미를 해칠 수도 있습니다.

  • 한 줄을 내리는 br태그는 위키백과:틀과 같은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사용을 자제합니다.
    • 표준 꼴은 <br>입니다.[1]
  • HTML 태그를 위키 문법으로 대체할 수 있을 때에는 최대한 위키 문법을 사용합니다.
    • 글자를 강조할 때는 <b>, <strong> 대신 '''로 열고 닫아 주세요.
  • 태그를 부득이하게 써야 할 때에는, HTML5 문법에 맞게 사용합니다.
    • <b>는 권장하지 않습니다. 대신 <strong>을 써 주세요.
    • 마찬가지로 <i>, <s>/<strike> 대신 '', <em>, <del>를 사용합니다.
    • <font>는 <span style=" ">과 같은 HTML 문법으로 대체해야 합니다.
    • 속성 중 표의 구조와 관계없는 부분은 모두 HTML 문법으로 대체할 수 있습니다. 다만, 표 전체에 적용된 속성은 브라우저에 따라(오래된 버전의 인터넷 익스플로러 등) 칸 하나하나에 적용되지 않을 수도 있음에 주의해야 합니다.
  • 수식의 경우 <sup>, <sub>와 같이 간단한 수식을 TeX 문법 대신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부분에 대한 지침은 현재 위키프로젝트토론:수학에서 토론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표제어

첫 문단

일반적으로 표제어를 첫 문장의 처음 부분에 쓰고, 그 표제어를 굵은 글씨로 표시합니다. 표제어에 내부 링크를 연결하지 않습니다.

  • 아리랑은 한국의 대표적인 민요이다.
  • 성악에서 베이스는 남자 가수의 가장 낮은 음역이다.

표제어의 보충 설명을 하려면 괄호를 사용합니다. 이때, 표제어와 괄호 사이를 띄어쓰지 않고, 괄호 안의 내용은 굵게 표시하지 않습니다.

  • 턱스(Tux)는 리눅스 프로젝트의 공식 마스코트이다.
  • 부다페스트(헝가리어: Budapest)는 헝가리의 수도이다.

표제어에 대해 두 개 이상의 표기가 충돌하고 있을 경우, 괄호 이전에 주요 표기들을 표시합니다.

  • 장 칼뱅, 또는 존 칼빈(프랑스어: Jean Calvin, 1509년 7월 10일~1564년 5월 27일)은 장로교를 창시한 프랑스의 개신교 신학자이자 종교개혁자이다.
  • 다카사키역, 또는 타카사키역(일본어: 高崎駅, たかさきえき)은 일본 군마현 다카사키시에 있는, 동일본여객철도와 일본화물철도, 조신 전철의 철도역이다.

표제어에 대해 두 개 이상의 표기와 알파벳이 충돌하고 있을 경우에는, 첫째 표기와 해당 언어 표기, 그리고 두 번째 표기와 해당 언어 표기 순으로 순서대로 배열합니다.

  • 벤젠(benzene), 또는 벤졸(benzol)은 6개의 탄소원자가 동일 평면에 있는 평면정육각형 고리구조를 이루고 있는 방향족 탄화수소물질이자 대표적인 아눌린(6-아눌린)이다.
  • 코스프레(일본어: コスプレ 고스푸레[*], 순화 용어: 의상 연출, 의상 연기, 다듬은 말: 분장놀이, 영어: cosplay, 한국어식 영어: cospre) 또는 코스튬 플레이(영어: costume play)는 애니메이션이나 만화의 캐릭터, 혹은 인기 연예인들이 하고 있는 의상을 꾸미어 입고 촬영회나 행사, 기타 장소에서 놀거나 '전시'하는 행위이다.

외국어와 외래어

외국어 원어를 표기할 때에는 그 언어의 이름을 알 수 있게 {{llang}} 을 씁니다. 그러나 언어가 명확한 경우 {{lang}}을 써도 됩니다.

  • 모스크바(러시아어: Москва)는 러시아의 수도이다.
  • 샌프란시스코(영어: San Francisco)는 미국 캘리포니아주 서해안에 있는 도시이다.
  • 히로시마현(広島県)은 일본 혼슈섬 서남부에 있는 현이다.

번역어이거나 외래어이지만 참고를 위해서 영어 등의 표기를 덧붙일 경우 {{lang}} 틀을 씁니다.

  • 에너지(energy)는 물리학에서 '일을 할 수 있는 능력', 즉 '물체에 힘을 가해 그 물체를 힘이 가해진 방향으로 움직이는 능력'을 말한다.

표제어가 외래어 표기법과 다른 경우에는 외래어 표기법의 표기를 밝혀 줍니다.

  • 거스 히딩크(네덜란드어: Guus Hiddink 휘스 히딩크[*])는 네덜란드의 축구 감독이다.

현지 이름이 다르거나 여러 이름이 있는 경우, 그것을 밝혀 줍니다. 단 표제어와 직접적으로 관련되어 있지 않은 언어는 표시하지 않습니다.

  • 코펜하겐(영어: Copenhagen, 덴마크어: København 쾨벤하운[*])은 덴마크의 수도이다.

문화어 표기의 필요성이 있는 경우 표제어 부분에 기술할 수 있습니다. 이때 표제어로 사용하지 않은 쪽의 표기를 {{llang}}을 써서 굵은 글씨로 적어 줍니다. 표준어식 표기는 {{llang|ko-KR|'''표준어 표기'''}}, 문화어식 표기는 {{llang|ko-KP|'''문화어 표기'''}}와 같이 씁니다.

단체 또는 법인의 명칭이 외국어 또는 외래어인 경우에 단체 등이 스스로 선택한 한국어 명칭이 있다면 그 명칭에 따라 문서 제목을 정합니다.

  • 칼 자이스(독일어: Carl Zeiss 카를 차이스[*])
  • 토요타 자동차 주식회사(일본어: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도요타 지도샤 가부시키카이샤[*])

인명

이름(태어난 날~죽은 날) 순으로 씁니다. 이때, 한국인과 중국인 등(중화권 인물 중 대만, 홍콩, 마카오 포함)은 성과 이름을 붙여 쓰고, 다른 나라 사람의 이름은 띄어 씁니다.

한글 이름이 주로 사용되고 한자 이름을 정확하게 알지 못하면 한자 이름을 쓰지 않습니다.

  • 해당 인물이 직접 밝히거나 명확한 출처가 제시되어야만 합니다.

외국인의 이름에 한자가 쓰이면 한국어식 한자 발음이 아닌 현지의 한자 발음으로 씁니다.

외국인의 이름에서 한국어와 외국어에서 쓰는 한자가 다를 경우 현지의 한자로 표기합니다.

위키백과:일본어의 한글 표기 지침에 따라 일본인의 한자 인명은 문서 첫머리에서 띄어 쓰는 것이 허용됩니다.

날짜가 명확하지 않은 경우는 ‘~경’, ‘무렵’, ‘즈음’을 사용합니다.

중국인은 활동한 시기를 기준으로 신해혁명 이전의 인물은 한국어식 발음을, 이후의 인물은 중국어식 발음을 씁니다.

신해혁명 이후 인물 중 한국어식 발음도 널리 쓰이는 경우는 문서를 생성하여 중국어식 발음으로 넘겨줍니다. (예: 등소평덩샤오핑)

지명

지명은 불가피한 경우가 아니면 모두 붙여 적습니다. 단, 넘겨주기는 허용합니다.

제목

제목 앞뒤에 붙는 화살괄호(〈〉, 《》)와 같은 문장 부호는 굵게 표시하지 않습니다.

  • 태백산맥》은 조정래의 대하소설이다.

문단 구성

문서는 도입부와 하위 문단들로 구성되며, 필요한 경우 외부 링크 등의 부록 문단을 추가합니다. 도입부는 문서를 시작하고 독자에게 기본적인 사항들을 전달하며, 자세한 내용은 각각의 하위 문단에서 기술합니다.

문단 제목은 2단계(== 문단 제목 ==)부터 사용하며, 필요한 경우 3단계 이상의 문단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맞춤법

기본적으로 국립국어원에서 지정한 어문 규정을 따르도록 합니다.

붙여쓰기와 띄어쓰기

  • '학'(學)으로 끝나는 단어는 모두 붙여 씁니다. – 예: 정치경제학
  • 한국어 이름은 외자인 경우에도 성과 이름을 붙여 씁니다. – 예: 김환 (O), 김 환 (X)
  • '별'(別), '순'(順), '경'(頃) 등의 접미사는 앞의 명사와 붙여 씁니다. (예: 나라별, 인구순, 1950년경)

고사성어나 한자어 합성어, 여러 단위로 된 고유명사는 띄어쓰기가 원칙이지만 붙여 쓸 수도 있습니다. 전문용어 또한 같습니다.

  • 다음 예시는 띄어쓰기를 하면 안 되는 단어들입니다.
    • 천고마비 (O)
    • 천고 마비 (X)
    • 의사소통 (O)
    • 의사 소통 (X)
    • 백자 반합 (O)
    • 백자반합 (X): 다만 그 쓰임은 허용한다.

문장 부호

설명 요약
기호 명칭 사용 용례
〈 〉 홑화살괄호 법률 및 책의 장(章) 해리포터와 마법사의 돌》 제 1장 〈살아남은 아이〉
《 》 겹화살괄호 책 제목 《태백산맥》은 조정래의 대하소설이다.
‘ ’ 홑따옴표 또는 작은따옴표 단어나 구절의 인용, 또는 신문 · 잡지 · 웹진 이름 표기 시 오늘따라 짱구가 ‘미남’으로 보이는 것 같구나.
“ ” 겹따옴표 또는 큰따옴표 문장의 인용, 또는 예술작품의 제목 (영화, 게임, 만화 등) 표기 시 이때 이순신 장군이 외쳤다. “죽으려 하면 살 것이고, 살려 하면 죽을 것이다.”

따옴표와 주요 문장 부호

  • 작은따옴표와 큰따옴표를 쓸 때는 둥근 따옴표(‘’“”)를 씁니다. 하지만, 입력이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고, “”의 경우 세벌식 최종 자판에서만 입력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 작은따옴표는 작은따옴표가 붙는 대상의 원래 뜻을 강조하거나 다른 방향으로 사용할 때 사용됩니다.
    • 예: 오늘따라 짱구가 ‘미남’으로 보이는 것 같구나.
  • 큰따옴표는 대화 내용이나 짧은 인용일 때 사용됩니다.
    • 예 1: 이때 이순신 장군이 외쳤다. “죽으려 하면 살 것이고, 살려 하면 죽을 것이다.”
    • 예 2: 미국의 한 정치학 교수는 이번 사건을 “현대인의 깊은 소외 현상이 빚어낸 최대 참사”라고 규정하였다.
  • 줄 끝이 아닌 쉼표와 마침표 뒤에는 공백을 하나 넣습니다.
  • 반각 문장 부호(U+0020~U+007E)와 전각 문장 부호(U+3000, U+FF01~U+FF5E)가 따로 있을 때, 반각 문장 부호만 쓰고 전각 문장 부호는 버립니다.
    • (U+FF01: X) → ! (U+0021: O)
    • (U+FF02: X) → " (U+0022: O)
    • (U+FF0F: X) → / (U+002F: O)
    • (U+FF1F: X) → ? (U+003F: O)
    • (U+FF5E: X) → ~ (U+007E: O)

인명·지명의 하이픈(-)

한 사람·영토의 인명·지명을 한글로 옮길 때는 하이픈을 빼고 옮깁니다. 하이픈을 유지하거나 공백으로 대체해서는 안 됩니다.

  • 예: Jean-Paul Sartre → 장폴 사르트르(O), 장 폴 사르트르(X), 장-폴 사르트르(X)
  • 예: Champs-Élysées → 샹젤리제(O), 샹 젤리제(X), 샹-젤리제(X), 샹ㅈ 엘리제(X), 샹ㅈ-엘리제(X)

하이픈으로 연결된 이름과, 하이픈을 쓰지 않고 공백으로 띄어져 있는 이름이 같이 쓰이면 더 많이 쓰이는 쪽을 따릅니다. 다만, 둘이 비슷한 비율로 같이 쓰이는 경우, 하이픈을 쓴 쪽을 택해 붙여서 옮깁니다.

  • 예: Antoine-Laurent de Lavoisier 또는 Antoine Laurent ~ → 앙투안로랑 드 라부아지에(O), 앙투안-로랑 드 라부아지에(X), 앙투안 로랑 드 라부아지에(X)
  • 예: Charles-Maurice de Talleyrand-Périgord 또는 Charles Maurice ~ → 샤를모리스 드 탈레랑페리고르(O), 샤를 모리스 ~(X), 샤를-모리스(X), ~ 탈레랑 페리고르(X), ~ 탈레랑-페리고르(X)

고대 수메르·고대 이집트 인명을 한글로 옮길 때 하이픈이 쓰이는 경우가 빈번하면 하이픈을 유지합니다.

서로 다른 사람의 두 이름이 하이픈으로 연결되었을 때는, 외래어 표기법 규정과는 달리, 하이픈을 유지합니다.

  • 예: McCune-Reischauer → 매큔-라이샤워(O), 매큔라이샤워(X), 매큔 라이샤워(X)

아랍어의 인명, 지명 등에 사용되는 알(الـ) 등은 모두 붙여 씁니다.

  • 예: Al Jazeera → 알-자지라(X), 알 자지라(X), 알자지라(O)
  • 예: al-Qaeda → 알-카에다(X), 알 카에다(X), 알카에다(O)
  • 예: Al Ahmadi → 알-아마디(X), 알 아마디(X), 알아마디(O)
  • 예: Omar al-Bashir → 오마르 알-바시르(X), 오마르 알 바시르(X), 오마르 알바시르(O)
  • 예: Bashar al-Assad → 바샤르 알-아사드(X), 바샤르 알 아사드(X), 바샤르 알아사드(O)

작품 제목 표시에 쓰이는 부호

작품 제목을 표시할 때, 위키백과에서는 화살괄호(〈 〉 《 》)와 따옴표(' ")를 권장합니다. 인터넷에서 작품 제목을 표기할 때 이전에는 화살괄호만 허용되었으나, 2014년 10월 27일 발표된 국립국어원 한글맞춤법 개정안에 따라[2] 입력이 간편한 따옴표 역시 사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낫표(「 」 『 』), 부등호(< > << >> ≪≫) 역시 현실에서는 사용되지만, 낫표는 주로 세로쓰기에서 사용되는 점, 부등호는 화살괄호의 대체물에 지나지 않는 점을 감안하여 위키백과에서는 권장하지 않습니다. 한국어에서 쓰이지 않는 이탤릭체 역시 부호로 대체할 것을 권장합니다.

화살괄호 · 따옴표는 대상의 범위에 따라 겹화살괄호 · 큰따옴표/ 홑화살괄호 · 작은따옴표로 나뉩니다. 국립국어원 어문 규정에 따르면 전자는 '책의 제목이나 신문 이름 등'을 나타낼 때, 후자는 '소제목, 그림이나 노래와 같은 예술 작품의 제목, 상호, 법률, 규정 등'에 사용됩니다. 다시 말해 상대적으로 범위가 넓은 대상을 가리킬 때는 겹화살괄호(《 》) · 큰따옴표(")를, 좁은 대상에는 홑화살괄호(〈 〉) · 작은따옴표(')를 사용합니다. 이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습니다.

겹화살괄호 · 큰따옴표

(넓은 범위)

홑화살괄호 · 작은따옴표

(좁은 범위)

책 제목

예: 《해리 포터와 마법사의 돌

책의 장 이름

예: 제1장 〈살아남은 아이〉

음반명

예: "Miss me?"

싱글, 수록곡 제목

예: '너무너무너무'

방송 프로그램

예: "무한도전", "닥터 후"

프로그램 에피소드

예: '홍철아~ 장가가자!', 'Rose (닥터 후)'

이 외에도 신문 · 잡지 · 웹진 이름은 겹화살괄호로, 예술 작품의 제목(영화, 게임, 만화 등)은 홑화살괄호로 표시합니다. 다만 경우에 따라, 따옴표로 대체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명과 게임 등은 부호를 생략할 수 있지만, 문맥 내 명확한 구분을 해칠 수 있기에 권장하지는 않습니다.

외국어 명칭 병기 시 사용되는 소괄호 '()'는 원칙적으로 화살괄호 · 따옴표 바깥에 두고 띄어쓰지 않고 붙여쓰는 것이 원칙입니다 [예: 《태백산맥》(太白山脈), 《레 미제라블》(Les Misérables)]. '단, "Why? (Keep Your Head Down)"처럼 소괄호가 부제의 역할을 하는 경우에는 소괄호를 화살괄호 · 따옴표 안에 둡니다. 추가로, 작품의 제목과 부제는 첫 언급 시에만 전부 적고, 이후로는 제목만 적어도 무방합니다.

위의 부호 규정은 한글 제목, 로마자 제목, 또는 둘 모두 포함한 제목에 전부 적용됩니다. (예: "Time for the moon night", '밤 (Time for the moon night)') 단, {{뉴스 인용}}처럼 기술적으로 겹화살괄호가 표기되는 것에는 적용되지 않습니다.

한편, 외국어로 된 특정한 대상의 원어 명칭을 병기할 경우, 소괄호 대신 작은 글씨로 표기하는 방안은 현재 논의 중입니다. 작은 글씨 표기법에 한해 그리스 문자, 키릴 문자, 로마자 표기에 기울인 글씨 (이탤릭체)를 적용할 수 있습니다. (단, 작은 글씨 표기법은 도입부의 첫 문장처럼 외국어 명칭 외에 오디오 자료 등 두 가지 이상의 정보가 혼재되는 경우에는 적용하지 않습니다.)

  • 소괄호 표기법: 《별이 빛나는 밤》(The Starry Night), 《사기》(史記)
  • 작은 글씨 표기법: 《별이 빛나는 밤The Starry Night》, 《사기史記

부호 생략

아래의 경우, 편의상 부호 생략이 가능합니다.

  1. 둘러보기 틀, 음반 수록곡 목록처럼 특정 대상의 이름만 표기할 때. (The Boys (소녀시대의 음반) 문서의 #수록곡 문단 참조)
  2. 본문에 신문, 잡지, 웹진 이름을 표기할 때. (진명황의 집행검#집행검 트로피 문단 참조)

인명이나 단체

맞춤법에도 불구하고 인명이나 단체의 명칭은 해당 인물이나 단체가 대외적으로 정한 명칭에 따라 표기합니다.

날짜와 숫자

  • 날짜나 숫자의 범위를 나타낼 때는 줄표(-) 대신 물결표(~)를 씁니다.

날짜

모든 연도, 연대, 세기 문서의 제목은 각각 ‘-년’, ‘-년대’, ‘-세기’로 끝납니다. 이들 접미사 앞에는 공백이 붙지 않습니다. 기원전 날짜를 다루는 문서에서는 앞에 ‘기원전’이 붙고 기원전 뒤에는 공백을 넣습니다. – 예: 1950년, 1770년대, 18세기, 기원전 8세기

여기서 연대는 10년 단위를 통칭하며, 예를 들어 1950년대는 1950년부터 1959년까지를 나타냅니다. 세기는 100년 단위를 통칭하며, 예를 들어 19세기는 1801년부터 1900년까지(1800년부터 1899년까지가 아님)를 나타내고, 기원전 3세기는 기원전 300년부터 201년까지를 나타냅니다.

특정 연도나 날짜에 링크를 거는 것은 문장의 내용이 해당 년월일 문서(예를 들면, 1984년)에 수록될 정도의 사건인 경우로 제한합니다. 특히 문서 안에서 반복되거나, 달 문서(예, 3월)의 경우에는 되도록 연결하지 않습니다. 인물 문서를 시작할 때 기술하는 생몰년의 경우에는 링크를 걸어 줍니다. 모든 월·일 문서의 제목은 ‘#월 ##일’ 꼴입니다.

율리우스력이나 그레고리력이 아닌 다른 역법을 쓸 경우 별도로 명시해 줍니다. 특히 음력에서 윤달은 윤달이 아닌 달로 연결하되 보이기는 윤달로 보이도록 합니다. – 예: 음력 윤4월 7일

시각과 시간

어떤 사건이 일어난 시각이 어느 지역에 국한되면 해당 지역의 시간대에 맞춰서 표기하고, 세계적으로 적용될 때 협정 세계시를 씁니다. 이 때 되도록 시간대를 함께 써 줍니다. – 예: 2038년 1월 19일 03:14:07 UTC

시간은 되도록 , (정확히 86400초) 단위로 씁니다. 또는 월 단위는 역법이나 기준 시각에 따라 바뀔 수 있으므로 정확한 시간이 필요하면 되도록 쓰지 않습니다. 단 천문학에 관련된 문서에서는 율리우스년(정확히 365.25일)을 함께 쓰기도 합니다.

자릿수가 많은 수는 소수점 앞에 세 자리마다 자리표(,)를 붙이거나, 일정한 자리마다 공백을 넣을 수 있습니다. 소수점 앞에 정수부가 없으면 항상 0을 덧붙입니다. – 예: 123,456,789, 12 3456 7890.9876 54, 0.314

필요하다면 수 목록에 수록된 작은 수들에 연결할 수 있습니다. 200부터 1000 사이의 정수는 200, 300 등의 문서로 합쳐진 경우가 많습니다.

십진법이 아닌 수는 다음과 같이 표시합니다.

  • 컴퓨터와 관련된 문서에서는 C 계열의 접두어를 씁니다. 16진법은 0x를, 8진법은 0을, 2진법은 0b를 씁니다. 이 경우 접두어에 대한 설명을 추가해 주는 것도 좋습니다.
  • 다른 문서에서는 아래첨자(<sub></sub> 태그)로 진법을 씁니다. 10진법 숫자도 필요하다면 이렇게 쓸 수 있습니다. – 예: 1379, 803210, 2A912, A87D16
  • 11진법 이상의 진법에서는 보통 10부터 35까지의 자리에 로마자 A부터 Z를 씁니다. 소문자는 보통 쓰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0x5AB3’을 ‘0x5ab3’이라고 쓰지는 않습니다.

수를 한국어로 소리나는 대로 적을 때에는 만(萬) 단위로 띄어쓰기를 합니다. 그리고 화폐의 액수를 나타내는 단위인 ‘원’(또는 달러, 위안 등)은 띄어쓰기를 합니다. 해를 세는 단위인 ‘년’도 마찬가지로 그 앞을 띄어 씁니다. 다만, 아라비아 숫자로 쓸 경우에는 ‘원’은 붙여쓰기를 합니다(단위성 의존명사와 숫자가 함께 쓰일 때에도 마찬가지입니다). 또 순서를 나타내는 말도 붙여쓰기 합니다.

  • 12억 3335만 6582 = 십이억 삼천삼백삼십오만 육천오백팔십이
  • 오십만 원 = 500,000원
  • 백 개 = 100개
  • 천 년 = 1000년, 백만 년 = 1,000,000년
  • 세시 이십오분 이십칠초
  • 제오장, 육학년, 삼십이층

차례를 나타내는 의존명사 ‘번째’를 쓸 때는 앞에 공백을 넣습니다.

  • 첫 번째(○), 첫번째(×)

단위

단위 표기는 한글로 풀어 쓰거나 기호를 직접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복잡한 기호는 가독성을 위해 풀어 쓰지 않습니다. 예: 시속 50 킬로미터(O), 300 톤(O), 킬로그램 당 제곱초 당 세제곱미터(X)

가급적이면 SI 단위계를 쓰되, 컴퓨터와 관련된 문서에서는 구별이 필요하다면 이진 접두어를 대신 씁니다. 예를 들어 232 바이트는 4 기가바이트(=4×109)가 아닌 4 기비바이트(=4×230)입니다.

분류

분류 문서에 속하는 문서와 하위 분류의 순서를 변경하기 위해 정렬 키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해당 분류명을 직접 설명하는 문서에는 [[분류:어떤 분류| ]]와 같이, |과 빈칸을 넣습니다.

  • 글꼴 → [[분류:글꼴| ]]

해당 분류명을 부가적으로 설명하는 문서(목록 등)에는 [[분류:어떤 분류|*]]와 같이, *를 넣습니다.

분류에 속하는 모든 문서의 제목이 동일한 접두어로 시작하면 |와 접두어를 뺀 제목을 넣습니다.

표제어가 실제로 가리키는 낱말과 표제어의 이름이 다를 경우 |와 실제로 가리키는 낱말을 넣습니다.

어떤 분류의 상위 분류가 존재할 때, 상위 분류를 달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분류:기하학 분류에 속하는 문서에는 분류:수학 분류를 붙이지 않습니다.

토막글

문서의 길이가 비교적 짧다고 판단될 때에는, 토막글 틀을 붙일 수 있습니다. 토막글 틀은 문서의 가장 아래쪽에 추가합니다.

이후 문서의 내용이 풍부해지면 이 토막글 틀을 제거할 수 있습니다.

기타

  • 본문 중에서 문서의 대상을 높이지 않습니다.
    • '님', '씨', '분' 등 사람 이름 뒤에 붙는 높임말은 쓰지 않습니다. 단, 공식적인 칭호(영국의 '경' 등)를 밝힐 필요가 있다면 써 줍니다.
  • 개인의 혈액형과 몸무게와 같은 사적인 정보는 특별한 사유가 있을 때가 아니면 쓰지 않습니다.
  • 개인이나 기관의 전화번호나 팩스번호를 안내하지 않습니다.
  • 유명인들의 별명은 대중적으로 널리 인정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쓰지 않습니다 (관련 토론).

같이 보기

각주

  1. 2024년 1월 9일 확인. "4.5.27 The br element" ※Living Standard — Last Updated 24 December 2023(영어)
  2. 김중배 기자 (2014년 10월 27일). “마침표·쉼표, 드디어 공식용어로 인정”. 연합뉴스. 2021년 1월 8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