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동남유럽의 옛 사회주의 국가 (1945년~1992년)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세르보크로아트어: Socijalistička federativna republika Jugoslavija / Социјалистичка Федеративна Република Југославија 소치얄리스티치카 페데라티브나 레푸블리카 유고슬라비야[*], 마케도니아어: Социјалистичка Федеративна Република Југославија, 슬로베니아어: Socialistična federativna republika Jugoslavija 소치알리스티치나 페데라티브나 레푸블리카 유고슬라비야)은 1945년에서 1992년까지 동남유럽에 존재했던 사회주의 연방 국가였다.[9] 1945년부터 1963년까지는 유고슬라비아 연방인민공화국(세르보크로아트어: Federativna Narodna Republika Jugoslavija / Федеративна Народна Република Југославија 페데라티브나 나로드나 레푸블리카 유고슬라비야[*], 마케도니아어: Федеративна Народна Република Југославија 페데라티브나 나로드나 레푸블리커 유고슬라비야, 슬로베니아어: Federativna ljudska republika Jugoslavija 페데라티브나 류드스카 레푸블리카 유고슬라비아)이라고 불렸다. '유고슬라비아 연방', '유고 연방'이라고 불렸다.

유고슬라비야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유고슬라비아 연방인민공화국
(1945년~1963년)
세르보크로아트어: Federativna Narodna Republika Jugoslavija /
Федеративна Народна

Република Југославија
  • 슬로베니아어: Federativna ljudska
    republika Jugoslavija

    마케도니아어: Федеративна Народна
    Република Југославија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1963년~1992년)
세르보크로아트어: Socijalistička Federativna Republika Jugoslavija /
Социјалистичка Федеративна

Република Југославија
  • 슬로베니아어: Socialistična federativna republika Jugoslavija
    마케도니아어: Социјалистичка Федеративна Република Југославија

 

1945년~1992년
국기
국기 (1946년~1992년)
문장
국장 (1963년~1992년)
표어형제애와 통일
(세르보크로아트어: Bratstvo i jedinstvo
/ Братство и јединство
국가슬라브족이여[a]
(세르보크로아트어: Hej, Slaveni
/ Хеј, Слaвени[b]
1955년부터 1989년까지의 유럽 지도. 유고슬라비아는 녹색으로 강조됨.
1955년부터 1989년까지의 유럽 지도.
유고슬라비아는 녹색으로 강조됨.
수도베오그라드 북위 44° 49′ 12″ 동경 20° 25′ 39″ / 북위 44.82000° 동경 20.42750°  / 44.82000; 20.42750
정치
정치체제
유고슬라비아
공산주의자동맹 대표
요시프 브로즈 티토
(1945년~1980년; 초대)
밀란 판체브스키
(1989년~1990년; 말대)
대통령

총리
이반 리바르 (1945년~1953년; 초대)
스체판 메시치 (1991년; 말대)
요시프 브로즈 티토
(1945년~1963년; 초대)
안테 마르코비치
(1989년~1991년; 말대)
입법부연방 의회
역사
시대 구분냉전
 • 민주연방
   유고슬라비아
수립
1943년 11월 29일
 • 유고슬라비아
   연방인민공화국 선포
1945년 11월 29일
 • 헌법 채택1946년 1월 31일
 • 티토-스탈린 결렬
 • 비동맹 운동
1948년
1961년 9월 1일
 • 제2차 헌법1963년 4월 7일
 • 제3차 헌법1974년 2월 21일
 • 요시프 브로즈
   티토
사망
1980년 5월 4일
 • 슬로베니아
   크로아티아
   독립선언
1991년 6월 25일
 • 유고슬라비아
   전쟁
발발
1991년 6월 27일
 •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유고슬라비아
   연방공화국 수립
1992년 4월 27일
지리
면적255,804 km2
인문
공용어연방 수준에서 없음[c]
국어세르보크로아트어, 슬로베니아어,
마케도니아어
데모님유고슬라브인
민족
인구
1991년 어림23,229,846명
경제
GDP(PPP)1989년 어림값
 • 전체1030.4억$
 • 일인당6,604$
GDP(명목)1989년 어림값
HDI감소 0.913[2] 1990년 조사)
통화유고슬라비아 디나르[d] (YUN)
종교
종교세속 국가[3][4]
국가 무신론 (사실상)
기타
ISO 3166-1890, YU, YUG
도메인.yu
국제 전화+38
이전 국가
다음 국가
민주연방 유고슬라비아
트리에스테 자유 지구
크로아티아
슬로베니아
마케도니아 공화국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화국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a. ^ "슬라브족이여"는 1988년에 이르러서야 헌법적으로 채택되었으며, 1977년까지는 "임시 국가"로 명명되었다. 이 노래는 1943년부터 AVNOJ 입법부의 사실상의 국가였다. "슬라브족이여"를 대체하기 위해 다른 구체적인 유고슬라비아 노래를 여러 차례 홍보하였지만, 이는 곧 중단되었다.

b. ^ 세르보크로아트어 중 세르비아어의 경우 Hej, Sloveni / Хеј, Словени로 표기하기도 한다.
c. ^ 연방 수준에서 법적 공용어는 없었지만,[5][6][7] 세르보크로아트어사실상의 공용어였고, 전국에서 말하고 가르치는 유일한 언어였다. 또한, 세르보크로아트어는 세르비아, 크로아티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몬테네그로의 공용어였다.[5][6] 슬로베니아어, 마케도니아어, 알바니아어, 헝가리어를 포함하여 14개 언어가 유고슬라비아의 하나 이상의 연방 주체에서 공식적으로 사용되었다.[8]

d. ^ "YUF" (1945년~1965년), "YUD" (1966년~1989년), "YUN" (1990년~1992년)

유고슬라비아는 세계 2차 대전의 독일과 그 추축국들의 여파로 건국되었으며, 1992년 해체 될 때까지 유럽의 남동부 및 중부 유럽에 존재했던 연방국가이다. 또한 공산주의자 연맹이 통치하는 일당 사회주의 공화국이었다.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크로아티아, 마케도니아, 몬테네그로, 세르비아, 슬로베니아 총 7개의 사회주의 공화국으로 이루어진 연방 형태이었으며, 베오그라드를 수도로 삼았다.

유고슬라비아는 1942년 11월 26일 유고슬라비아 왕국의 추축국 점령에 저항하기 위해 제2차 세계 대전 중 유고슬라비아 민족 해방을 위한 반파시스트 위원회가 결성된 때로 그 기원을 추적한다. 국가가 해방된 후 국왕 페타르 2세가 폐위되고 군주제가 종료되었으며 1945년 11월 29일에 유고슬라비아 인민 연방 공화국이 선포되었다. 요시프 브로즈 티토(Josip Broz Tito)가 이끄는 새 공산주의 정부는 냉전 초기에 동구권 편을 들었지만 1948년 스탈린 반열 즉 코민포름에서 유고슬라비아 제명 및 티토가 스탈린과의 사이가 분열된 후 유고슬라비아는 중립 정책을 추구했다. 그후 인도, 이집트, 인도네시아와 같은 제3국의 중심이 되어 유고연방은 많은 본보기가 되었다.

1980년 5월 4일 류블랴나의 한 병원에 입원해있던 티토가 회복에 실패해 사망하자 유고슬라비아 경제는 점점 붕괴되기 시작했고 실업률과 인플레이션이 증가했다.[10][11] 경제 위기는 1980년대 후반과 1990년대 초반에 민족적 민족주의와 정치적 반체제 인사를 증가시켰다. 동유럽에서 소비에트 연방같은 공산주의 국가들이 무너지면서 연방으로의 전환도 실패하고 말았다. 연방 중에서 가장 부유했던 공화국인 크로아티아슬로베니아1991년에 분리되어 국제적으로 인정을 받았다. 연방 공화국의 경계를 따라 해산된 연방은 유고슬라비아 전쟁의 시작으로 가속화되었으며 연방은 1992년 4월 27일에 공식적으로 해체되었다. 이후 20세기 최악의 비극이라 불리는 유고슬라비아 내전이 일어나며 유고는 박살이 나고 말았다. 그후 세르비아 몬테네그로유고슬라비아 연방공화국 신유고는 구유고 연방이 재구성된 국가로 남아 있었지만 이 주는 국제적으로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의 공식 후계자로 인정받지 못했다. 구 유고슬라비아라는 용어는 이제 일반적으로 과거 발칸에 존재했던 공산유고를 지칭하며 사용된다.

역사

편집

1945년 11월 29일 요시프 브로즈 티토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야이체에서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의 수립을 선언한 뒤부터 요시프 브로즈 티토가 이끄는 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이 유고슬라비아에서 저항 운동을 전개했다.

1945년 요시프 브로즈 티토소련의 지원을 통해 군주제를 폐지하고 크로아티아, 슬로베니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마케도니아, 몬테네그로, 세르비아 등 6개 공화국으로 이루어진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구유고슬라비아)을 수립했다. 1946년에는 공산주의 신헌법을 제정했으며 1974년에는 세르비아보이보디나코소보를 연방직할 자치주로 승격시켰다.

국가원수에 취임한 티토는 1948년 민족주의를 주장, 소련의 지도권을 부인하다가 코민포름에서 제명된 후 "독자적이고 민족주의적인 공산주의"를 지향하였다. 비동맹 중립주의, 미국·소련의 권력 정치 배격으로 대표되는 티토주의동구권에서 서방권 측과 관계 개선을 도모한 이단자로 규정되었으나 제3세계 비동맹 운동의 지도자로서의 위상을 점하였다.

유고슬라비아는 동유럽·중앙유럽의 여타 공산주의 국가와 달리 바르샤바 조약에도 경제상호원조회의에도 가입하지 않았고, 북대서양 조약기구에도 가입하지 않은 채 요시프 브로즈 티토의 지도 아래 비동맹 운동 노선을 걸었다. 그래서 티토의 자주적인 정치노선을 티토주의라고 부른다.

1971년부터 1973년 사이에 전개된 브레즈네프·코시긴 등 소련 수뇌부와 티토 간의 상호 교환 방문과 1977년 소련의 불간섭 원칙의 확인으로 양국 관계가 호전되었으며 1970년대 대서방 접근은 더욱 구체화되었다. 유고슬라비아는 기업의 영리·이윤제 등 시장경제 구조를 도입, 독자적인 공산주의 경제체제를 추진함으로써 1970년대에는 경제적 발전을 달성하기도 하였다. 이로써 유고슬라비아는 남유럽의 가장 부유한 공산 국가로 발전했다.

1980년 5월 요시프 브로즈 티토의 사망과 함께 분열 조짐을 보이며 연방 간부 회의 집단 지도 체제로 전환하였다. 연방의회연방원과 공화국·자치주원의 양원제였다. 1987년 공산당 서기장에 오른 슬로보단 밀로셰비치(Slobodan Milosevic)가 대세르비아 민족주의를 주창하면서 유고슬라비아 전쟁이 촉발되었다.

1980년대사회주의 체제의 붕괴로 중앙유럽 공산주의 정권이 차례로 붕괴하자 유고 연방은 해체 수순을 밟았다. 1991년 유고슬라비아의 구성 공화국이었던 슬로베니아, 크로아티아, 북마케도니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가 차례로 분리 독립했다. 유고슬라비아 전쟁을 치른 후 1992년 남은 공화국인 세르비아몬테네그로가 유고슬라비아 연방공화국을 결성하면서 구유고슬라비아 연방은 역사속으로 사라졌다.

정치

편집

연방주체

편집

내부적으로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은 6개의 구성국으로 분할되었다. 구성국들은 전쟁 기간 중에 형성되기 시작하여 1944년부터 1946년 사이에 형성이 완료되었다. 구성국들은 처음에 연방주로 지정되었지만, 1946년 1월 31일 첫 헌법이 채택된 후 인민공화국(1946년-1963년)으로, 이후로는 사회주의 공화국(1963년부터)으로 명명되었다. 구성국들은 헌법에 따라 연방 내에서 권리와 의무가 서로 평등한 것으로 정의되었다. 처음에는 일부 연방 단위 내에서 여러 자치 단위를 만드는 계획이 있었다. 하지만, 이는 2개의 자치 단위(보이보디나코소보)가 생성된 세르비아에서만 시행되었다.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의 공화국과 자치주는 다음과 같다.

이름 수도 국기 국장 위치
마케도니아 사회주의 공화국 스코페
 
 
몬테네그로 사회주의 공화국 티토그라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사회주의 공화국 사라예보
 
 
세르비아 사회주의 공화국
코소보 사회주의 자치주
보이보디나 사회주의 자치주
베오그라드
프리슈티나
노비사드
 
 
슬로베니아 사회주의 공화국 류블랴나
 
 
크로아티아 사회주의 공화국 자그레브
 
 

인구

편집

교육

편집

유고슬라비아는 동남유럽 여러 나라 중에서도 다른 나라의 힘을 빌리지 않고 독립적으로 나라를 건설하여 왔기 때문에 사회·경제체제에 있어서나 교육적인 면에서도 독자적인 방법을 보이고 있다. 1945년의 연방헌법은 교육의 보장, 학교의 공공화(公共化), 보통교육의 무상·의무제, 학교를 교회에서 분리하는 원칙 등을 정했다. 그러나 1953년의 신연방헌법은 지방분권화의 원칙을 추진하고 전반적인 교육정책, 법안의 입안과 각 공화국의 교육조정을 제외하고는, 각 공화국에 교육에 관한 여러 문제를 위임하는 원칙을 정했다. 한편 지방정부 레벨에 있어서의 분권화도 진행하여, 다른 공산주의 여러 나라의 이른바 민주적 집중제와는 그 양상을 달리했다.

의무교육은 7세에서 15세까지 8개년, 상하 2단계로 나뉘며, 하급은 전과담당제(全科擔當制)의 교원이, 상급은 2·3 교과 담당제 교원이 교육했다. 중등단계에는 4년제의 보통중등학교·전문중등학교, 2년 또는 3년제의 견습학교가 있었다. 중등교육에서의 외국어는 다른 남유럽 여러 나라처럼 러시아어가 필수는 아니었으며, 불·영·독·노·이탈리아어 중에서 선택하는 제도를 취했다. 고등교육기관으로는 종합대학이 있었다. 성인교육에 있어서는 이미 문맹퇴치의 목표를 달성했으며, 노동자의 문화적·기술적인 수준을 높이는 자발적인 성인교육 기관으로서 이른바 노동자대학이 여러 참가자를 모아 성과를 보였다.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Yugoslavia in the late 1980s” (PDF). 2016년 3월 3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1월 9일에 확인함. 
  2. “Human Development Report 1990” (PDF). 유엔 개발 계획 인간 개발 보고서 사무소. 111쪽. 2019년 2월 7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11월 8일에 확인함. 
  3. Avramović 2007, 599쪽, Understanding Secularism in a Post-Communist State: Case of Serbia
  4. Kideckel & Halpern 2000, 165쪽, Neighbors at War: Anthropological Perspectives on Yugoslav Ethnicity, Culture, and History
  5. John Hladczuk (1992년 1월 1일). 《International Handbook of Reading Education》. Greenwood Publishing Group. 454–쪽. ISBN 978-0-313-26253-1. 2016년 5월 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10월 25일에 확인함. 
  6. Gavro Altman (1978). 《Yugoslavia: A Multinational Community》. Jugoslovenska stvarnost. 2016년 6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10월 25일에 확인함. 
  7. Jan Bruno Tulasiewicz (1971). 《Economic Growth and Development: A Case Study》. Morris Print. Company. 2016년 5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10월 25일에 확인함. 
  8. Rock, Jonna (2019). 《Intergenerational Memory and Language of the Sarajevo Sephardim》. 스프링거 국제 출판사. 86쪽. ISBN 9783030140465. OCLC 1098239772. 
  9. Klemencic, Matjaz; Zagar, Mitja (2004년). 《The Former Yugoslavia's Diverse Peoples: A Reference Sourcebook》 (영어). ABC-CLIO. 267쪽. ISBN 9781576072943. 
  10. “Inflation Rate % - Flags, Maps, Economy, Geography, Climate, Natural Resources, Current Issues, International Agreements, Population, Social Statistics, Political System”. 2021년 9월 1일에 확인함. 
  11. “Labor Force - Flags, Maps, Economy, Geography, Climate, Natural Resources, Current Issues, International Agreements, Population, Social Statistics, Political System”. 2021년 9월 1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