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성소수자 목록
위키미디어 목록 항목
(이계덕에서 넘어옴)
다음은 한국(한국의 과거 국가 및 현대의 한반도 국가인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모두 포괄하는 개념)에서 저명하거나 주목할 만한 활동을 남긴 성소수자 목록이다.
동성애자 여성편집
- 송인화는 대한민국의 연예인이다.
- 이현주는 대한민국의 영화 감독이다.
- 정혜연은 약사이고 정의당의 전 부대표이자 커밍아웃한 레즈비언이다.
- 최현숙은 대한민국 최초로 커밍아웃 후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종로 지역구에 진보신당 후보로 출마하였던 정치인이다.
- 김규진은 언니, 나랑 결혼할래요?의 저자로 미국에서 혼인신고한 사람이다.
동성애자 남성편집
- 권도운은 트로트 가수이다.
- 김경묵은 대한민국의 퀴어 영화 감독이다.
- 김승환은 대한민국의 영화 감독이다. 공개 동성결혼식을 올렸다.
- 김조광수는 대한민국의 영화 감독이다. 공개 동성결혼식을 올렸다.
- 김지후(1985년 7월 11일 ~ 2008년 10월 6일)는 전직 모델이자 배우였다.
- 목종(穆宗, 980년 7월 5일 ~ 1009년 3월 2일) 또는 왕송은 고려의 제7대 국왕이다.
- 육우당(六友堂, 1984년 8월 7일 ~ 2003년 4월 26일)이라는 필명으로 알려진 윤현석은 동성애자 인권 운동가, 시민운동가이자 시조 시인이었다.
- 이송희일은 대한민국의 영화 감독이다.
- 이해영(1973년 10월 18일 ~ )은 대한민국의 영화 감독이다.
- 임태훈은 대한민국의 인권활동가이다.
- 장영진은 탈북한 게이이다.
- 정욜(정민석)은 대한민국의 인권운동가이다.
- 홍석천(1971년 2월 3일 ~ )은 2000년 대한민국 최초로 동성애자라 커밍아웃한 연예인이다.
- 홀랜드는 대한민국 최초로 동성애자라 커밍아웃한 가수이다.
- 김영세(1955년 9월 27일 ~ 2019년 5월 13일)는 대한민국의 패션디자이너였다.
- 허리케인 김치는 대한민국의 드래그 퀸이다.
- 서동진은 대한민국의 교수이다.
- 윤가브리엘은 HIV 감염인 인권운동가이다.
- 김용민·소성욱은 동성으로 사실혼을 인정받아 소성욱이 김용민의 국민건강보험 피부양자로 등록되었다가 취소된 뒤 동성 배우자 건강보험 피부양자 소송을 제기한 동성 부부이다.
- 배담준은 Kpop 최초의 성소수자 아이돌 그룹 * 라이오네시스의 리더이자 가수,랩퍼,작곡가이다.
- 이말랑은 Kpop 최초의 성소수자 아이돌 그룹* 라이오네시스의 멤버이자 가수,팟캐스트 진행자이다.
- 사막여우는 Kpop 최초의 성소수자 아이돌 그룹 * 라이오네시스의 멤버이자 가수,랩퍼이다.
양성애자 여성편집
양성애자 남성편집
범성애자편집
무성애자편집
트랜스젠더편집
트랜스여성편집
- 김겨울은 트랜스해방전선의 대표이자 트랜스젠더 인권운동가이며, 트랜스젠더 최초의 원내정당 대의원이었다.
- 김비는 대한민국의 소설가이다.
- 레이디는 트랜스여성 4명 신애·사하라·비누·유나로 구성된 대한민국의 음악 그룹이었다.
- 류나인은 대한민국의 전직 가수[7][8]이자 배우였다.
- 류세아는 트랜스해방전선의 부대표이며 궤도계산 연구자이며 성별정정 하고 순부채가 1억 8300만원인 채로 지방선거에 출마하였다.[9]
- 박보경(1955년 ~ 2016년 3월 9일)은 대한민국의 가수로, 1995년에 성별 정정을 인정받았다.[10]
- 박유리(본명 박하은)는 전직 모델이자 사업가이다.[11]
- 박한희(朴韓熙, 1985년 8월 31일)는 대한민국 최초의 커밍아웃한 트랜스젠더 변호사이다.[12]
- 변희수(1998년 6월 11일 ~ 2021년 2월 27일)는 대한민국의 육군 부사관으로 군복무중 성전환 수술을 받은 사람이다. 이로 인해 심신장애 3급을 판정받고 전역 처리되었다가 사후 전역이 부당함을 입증받았다.
- 안아주는 영화 죽여주는 여자, 초미의 관심사에 출연한 배우다.[13]
- 이시연(1980년 7월 24일 ~)은 모델 출신 영화 배우이자 가수이다.
- 장채원(1982년 7월 18일 ~ 2008년 10월 3일)은 방송인이었다.
- 조기철은 대한민국 최초의 성전환수술자이다.
- 차세빈은 대한민국의 가수이다.
- 키라라는 대한민국의 음악가이다.
- 최한빛(1987년 6월 16일 ~ )은 모델 출신 방송인이자, 가수이다.
- 하리수(1975년 2월 17일 ~ )는 대한민국의 최초 성전환 연예인이다.
- 하지나는 마스카라에 출연한 한국 최초의 트랜스젠더 영화배우다.[14]
- 한민희(Han Mini)는 대한민국의 연예예술인, 사업가이다. 2010년 미스 인터내셔널 퀸 대회에서 우승하였다.
- 쌀이없어요는 고대 전전전 출신의 학원강사이자 인터넷 방송인이다.
- 박진아(예뻐진아)는 대한민국의 인터넷 방송인이다. 꽃자라는 옛 방송명으로도 알려져 있다.
- 쎄히는 대한민국의 인터넷 방송인이자, 2019년 미스 인터내셔널 퀸 참가자이다.
- 장추자는 대한민국의 인터넷 방송인이다.
- 파니는 대한민국의 인터넷 방송인이다.
- 풍자는 대한민국의 인터넷 방송인이다.
트랜스남성편집
- 이승현(李承炫, 1982년 10월 8일 ~)은 대한민국의 법학자이자, 비온뒤무지개재단의 이사장이다.
- 한무지는 대한민국의 트랜스남성 활동가였다. 자신을 포함한 트랜스남성 3명과 함께 3xFTM에 출연하였다.
- 이은용은 2021년 자살로 생을 마감한 트랜스남성 극작가이다. 우리는 농담이(아니)야의 작가로 백상예술대상을 받았다.
젠더퀴어/논바이너리편집
간성인편집
기타편집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 ↑ [1]
- ↑ https://www.khan.co.kr/feature_story/article/201705192044005
- ↑ https://www.hani.co.kr/arti/politics/politics_general/1042926.html
- ↑ [2]
- ↑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1071317250003762
- ↑ “보관된 사본”. 2017년 8월 2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8월 21일에 확인함.
- ↑ [3]
- ↑ [4]
- ↑ https://news.v.daum.net/v/20220513233600703?
- ↑ 시민연합신문
- ↑ 월드뷰티퀸&미스터 인터내셔널 조직위원장 박유리, 트랜스젠더라서 더 잘 할 수 있죠
- ↑ “국내 최초의 트랜스젠더 변호사를 만났다(인터뷰)”. 허핑턴포스트. 2017년 4월 25일. 2017년 7월 3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7월 31일에 확인함.
- ↑ [5]
- ↑ [6]
- ↑ [7]
- ↑ [8]
- ↑ "男性의 受難時代? 또 한 名이 女子로 轉換", 경향신문 1955년 9월 2일자 3면, 사회면
- ↑ "壇上壇下", 동아일보 1955년 9월 3일자 1면, 정치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