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원화 캠퍼스
이원화 캠퍼스 또는 제2 캠퍼스[1][2]는 두 개 이상의 지역에서 동시에 교지(본교)를 운영하는 것을 뜻한다. 대학교를 운영하는 제도로, 분교와는 다른 개념이다.
설립 및 운영 방식편집
분교가 교육부에서 정원을 신규로 인가한 데 반해, 제2캠퍼스 등 이원화 캠퍼스는 대학교의 기존 정원을 분리하거나 타 대학을 인수하여 설립한 것으로 완전히 다른 방식이다.
분교가 본교와는 구별되며, 별도로 관리하는데 반해,[3][4] 이원화 캠퍼스의 운영 방식은 학문 및 교육 체계, 행정상의 업무 등에서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다,
다만, 이원화 캠퍼스 제도는 각각의 캠퍼스에 다른 단과대학이 설치되어 있거나, 계열별로 차이를 두고 있다. 따라서 이원화 캠퍼스 제도를 시행중인 학교는 캠퍼스별로 유사학과가 존재하는 경우는 드문 편이다. 이를 통해 캠퍼스별로 학문 등 특정 부분의 역량을 강화시켜 대학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시스템중 하나라고 평가받는다.[4]
제2 캠퍼스 일람편집
분리 공시편집
법적으로 구분할 필요성이 인정되어 제1캠퍼스와 제2캠퍼스로 나뉜 경우이다. 타 대학과의 통합이나, 교지 신설 형식으로 현재의 캠퍼스가 확정되었다.
가톨릭대학교의 경우 성심여자대학교와의 통합으로 현재의 캠퍼스 체제가 완성되었다.[5] 종합대학으로 위치했던 구 성심여자대학교 부지인 성심교정에 대학본부가 위치하여 본캠퍼스가 되었고, 구 가톨릭대학교 부지가 이원화 캠퍼스 체제로 완성되었다.
분교에 대한 개념이 없는 국립대학인 강릉원주대학교, 강원대학교와 전남대학교 역시 각 대학들이 통합하여 이원화 캠퍼스 체제가 완성되었다. 강릉원주대학교는 강릉대학교와 원주대학이 통합하여 원주에 이원화캠퍼스를 두고 있는 사례다.[6] 강원대학교는 삼척대학교와 통합하여 삼척에 이원화 캠퍼스를 설치했으며,[7] 전남대학교의 경우 여수대학교와 통합하여 여수에 캠퍼스를 추가로 두어 현재의 체계가 완성되었다.[8] 다만, 같은 국립대학인 경인교육대학교의 경우 인천교육대학교로 있으며, 경인교육대학교로 교명을 변경하며, 교지 분할 형식으로 경기캠퍼스가 신규 설치되며 이원화 캠퍼스 체제로 변경된 사례다.
한때 분교로 분류되었던 상명대학교와 홍익대학교는, 이원화 캠퍼스 설립 당초부터 교지 분할로 신고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교육부는 행정 절차 오류와 캠퍼스간 먼 거리로 인해 오해가 생겨 분교로 분류했던 실수를 인정하고, 이원화 캠퍼스로 정정하였다.[9]
교명 | 본교 | 이원화 | 위치 | 설립 | 비고 |
---|---|---|---|---|---|
가톨릭대학교 | 성심교정 | 성의교정 | 서울특별시 서초구 | 1995년 | 서초역 |
성신교정 | 서울특별시 종로구 | 한성대입구역 | |||
강릉원주대학교 | 강릉캠퍼스 | 원주캠퍼스 | 강원도 원주시 | 2007년 | 원주역 |
강원대학교 | 춘천캠퍼스 | 삼척캠퍼스 | 강원도 삼척시 | 2006년 | |
도계캠퍼스 | 도계역 | ||||
건양대학교 | 논산창의융합캠퍼스 | 대전메디컬캠퍼스 | 대전광역시 서구 | 1990년 | |
경기대학교 | 수원캠퍼스 | 서울캠퍼스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 1947년 | 충정로역 |
경동대학교 | Global캠퍼스 | 속초캠퍼스 | 강원도 속초시 | 2013년 | 사용 중지 |
Medical캠퍼스 | 강원도 원주시 | 동화역 | |||
Metropol캠퍼스 | 경기도 양주시 | 2014년 | 덕계역 | ||
경인교육대학교 | 인천캠퍼스 | 경기캠퍼스 | 경기도 안양시 | 2005년 | 관악역 |
단국대학교 | 죽전캠퍼스 | 천안캠퍼스 | 충청남도 천안시 | 1978년 | 두정역 |
명지대학교 | 자연캠퍼스 | 인문캠퍼스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 1948년 | 증산역 |
상명대학교 | 서울캠퍼스 | 천안캠퍼스 | 충청남도 천안시 | 1984년 | 두정역 |
신한대학교 | 제2캠퍼스 | 제1캠퍼스 | 경기도 의정부시 | 2014년 | 망월사역 |
안양대학교 | 안양캠퍼스 | 강화캠퍼스 | 인천광역시 강화군 | 1948년 | |
영산대학교 | 양산캠퍼스 | 해운대캠퍼스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 2005년 | 영산대역 |
예원예술대학교 | 전북희망캠퍼스 | 경기드림캠퍼스 | 경기도 양주시 | 2014년 | 덕정역 |
을지대학교 | 대전캠퍼스 | 성남캠퍼스 | 경기도 성남시 | 1967년 | 남한산성입구역 |
인제대학교 | 김해캠퍼스 | 부산캠퍼스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 1979년 | 개금역 |
인천가톨릭대학교 | 강화캠퍼스 | 송도국제도시캠퍼스 | 인천광역시 연수구 | 2010년 | 지식정보단지역 |
전남대학교 | 광주캠퍼스 | 여수캠퍼스 | 전라남도 여수시 | 2006년 | 여천역 |
중앙대학교 | 서울캠퍼스 | 안성캠퍼스 | 경기도 안성시 | 1918년 | |
홍익대학교 | 서울캠퍼스 | 세종캠퍼스 |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 1946년 | 조치원역 |
통합 공시편집
분리 공시의 필요성이 없는 경우 해당한다. 경희대학교, 한국외국어대학교는 분교를 본교와 단일교지인 이원화 캠퍼스로 통합하여 이원화 캠퍼스가 되었다. 성균관대학교는 자연과학 분야의 단과대학들을 수원으로 이전해 이원화 캠퍼스가 되었다. 호서대학교는 원래 천안에서 대학을 설립하였다가 아산에 교지를 매입하여 많은 학과와 본부를 옮겨 이원화 캠퍼스가 되었다. 연세대학교는 인천 송도국제도시에 교지를 매입하여 일부 학과를 설치하고 학사과정 1학년생을 송도로 보내 이원화 캠퍼스가 되었다.
일반대학편집
교명 | 본교 | 이원화 | 위치 | 설립 | 비고 |
---|---|---|---|---|---|
경북대학교 | 대구캠퍼스 | 상주캠퍼스 | 경상북도 상주시 | 2008년 | 상주역 |
경희대학교 | 서울캠퍼스 | 국제캠퍼스 | 경기도 용인시 | 1980년 | 영통역 |
공주대학교 | 공주캠퍼스 | 예산캠퍼스 | 충청남도 예산군 | 1992년 | |
천안캠퍼스 | 충청남도 천안시 | 2005년 | 두정역 | ||
동양대학교 | 영주캠퍼스 | 북서울캠퍼스 | 경기도 동두천시 | 2016년 | 동두천역 |
부산대학교 | 부산캠퍼스 | 밀양캠퍼스 | 경상남도 밀양시 | 2006년 | 밀양역 |
양산캠퍼스 | 경상남도 양산시 | 2009년 | 물금역 | ||
서울대학교 | 관악캠퍼스 | 연건캠퍼스 | 서울특별시 종로구 | 1946년 | 혜화역 |
평창캠퍼스 | 강원도 평창군 | 2014년 | |||
성균관대학교 | 인문자연캠퍼스 | 자연과학캠퍼스 | 경기도 수원시 | 1979년 | 성균관대역 |
연세대학교 | 신촌캠퍼스 | 국제캠퍼스 | 인천광역시 연수구 | 2010년 | 캠퍼스타운역 |
우석대학교 | 전주캠퍼스 | 진천캠퍼스 | 충청북도 진천군 | 2014년 | |
유원대학교 | 영동캠퍼스 | 아산캠퍼스 | 충청남도 아산시 | 2016년 | |
인천대학교 | 송도캠퍼스 | 미추홀캠퍼스 | 인천광역시 연수구 | 2005년 | 테크노파크역 |
중부대학교 | 충청캠퍼스 | 고양캠퍼스 | 경기도 고양시 | 2015년 | |
차의과학대학교 | 포천캠퍼스 | 분당캠퍼스 | 경기도 성남시 | 2014년 | 야탑역 |
총신대학교 | 사당캠퍼스 | 양지캠퍼스 | 경기도 용인시 | ||
한국교통대학교 | 충주캠퍼스 | 증평캠퍼스 | 충청북도 증평군 | 2006년 | |
의왕캠퍼스 | 경기도 의왕시 | 2012년 | 의왕역 | ||
한국외국어대학교 | 서울캠퍼스 | 글로벌캠퍼스 | 경기도 용인시 | 1979년 | |
한서대학교 | 서산캠퍼스 | 태안캠퍼스 | 충청남도 태안군 | 2009년 | |
호서대학교 | 아산캠퍼스 | 천안캠퍼스 | 충청남도 천안시 | 1978년 | |
산학융합캠퍼스 | 충청남도 당진시 | 2015년 |
전문대학편집
전문대학의 경우 실질적으로 분리된 이원화 캠퍼스 체제를 유지하고 있지만, 법적으로 단일 체제로 공시하고 있다. 따라서, 전문대학의 경우 1캠퍼스를 대학본부가 소재한 지역으로 서술했다.
학교 | 본교 | 이원화 | 위치 | 설립 | 비고 |
---|---|---|---|---|---|
경남정보대학교 | 냉정캠퍼스 | 센텀캠퍼스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 2013년 | 센텀시티역 |
경복대학교 | 남양주캠퍼스 | 포천캠퍼스 | 경기도 포천시 | 1992년 | |
대경대학교 | 메인캠퍼스 | 서울한류캠퍼스 | 경기도 남양주시 | 2018년 | |
두원공과대학교 | 안성캠퍼스 | 파주캠퍼스 | 경기도 파주시 | 2008년 | 파주역 |
부천대학교 | 본교캠퍼스 | 소사캠퍼스 | 경기도 부천시 | 2016년 | 소새울역 |
서영대학교 | 광주캠퍼스 | 파주캠퍼스 | 경기도 파주시 | 2013년 | 월롱역 |
수원여자대학교 | 인제캠퍼스 | 해란캠퍼스 | 경기도 화성시 | 2000년 | 병점역 |
영진전문대학 | 복현캠퍼스 | 글로벌캠퍼스 | 경상북도 칠곡군 | 2007년 | |
울산과학대학교 | 동부캠퍼스 | 서부캠퍼스 | 울산광역시 남구 | 2000년 | 노포역 |
인천재능대학교 | 본교캠퍼스 | 송도캠퍼스 | 인천광역시 연수구 | 2015년 | 테크노파크역 |
같이 보기편집
외부 링크편집
- 대학알리미 - 공식 웹사이트
각주편집
- ↑ 캠퍼스 관련 보도기사 1[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제2캠퍼스 관련 보도기사 2
- ↑ (알고보자) 대교협조차 헷갈리는 대학 분교와 캠퍼스 구별법, 베리타스 알파, 2015년 5월 19일
- ↑ 가 나 한 지붕 두 가족, 멀티캠퍼스를 돌아보다(1), 홍대신문, 2017년 3월 14일
- ↑ 가톨릭대,성심여대 통합 본격화-빠르면 95학년도부터, 중앙일보, 1993년 10월 20일
- ↑ 강릉.원주대 통합 확정, 조선일보, 2006년 11월 6일
- ↑ 강원대-삼척대, "통합된다", 한국대학신문, 2005년 11월 23일
- ↑ 전남대.여수대 통합 완료, '새 출발', 교수신문, 2006년 3월 1일
- ↑ <알고보자> 홍익대 세종캠, 분교 아닌 '제2캠',베리타스 알파, 2017년 3월 22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