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동시지방선거는 지방의회의원, 지방자치단체장, 교육감을 선출하기 위한 선거이다. 헌법에 따르면 지방의회의원과 지방자치단체장은 국민의 보통·평등·직접·비밀선거에 의하여 선출한다.[1] 1995년 6월에 지방자치단체장의 직선이 이루어짐으로써 대한민국에서는 본격적인 지방자치시대가 열리게 되었다. 대한민국에서 유일하게 영주권을 가진 외국인이 투표를 할 수 있는 선거이며 보궐선거와 함께 재외국민 선거가 없다.
선거일 및 선거기간편집
후보자 등록 마감일 후 6일부터 선거일까지의 선거기간은 14일이며[2], 지방의회의원, 지방자치단체장, 교육감의 임기 만료일전 30일부터 첫 번째로 돌아오는 수요일(5월 31일~6월 5일 사이 또는 6월 13일)에 선거를 시행한다. 선거일이 국민 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민속절 또는 공휴일인 때와 선거일 전날이나 그 다음날이 공휴일인 때에는 그 다음주의 수요일로 한다.[3]
선거권과 피선거권편집
- 선거권과 피선거권은 만 18세 이상의 대한민국 국민에게 부여된다.
당선자의 결정편집
- 지방자치단체장, 교육감
- 유효 투표의 다수를 얻은 자(단, 최고 득표자가 2인 이상인 때에는 연장자 순)
- 투표 마감 시각 전까지 후보자가 1인이 될 경우 그 후보자를 당선자로 결정한다.
- 지방의회의원
- 지역구의 경우 유효투표의 다수를 얻은 자(단, 최고 득표자가 2인 이상인 때에는 연장자 순. 다만, 투표 마감 시각 전까지 후보자가 1인이 될 경우 그 후보자를 당선자로 결정)
- 비례대표의 경우 유효투표 총수의 100분의 5이상을 득표한 정당에 대하여 비례대표의회의원 선거에서 얻은 득표비율에 따라 비례대표의회의원 의석을 배분한다.
역대 지방선거 목록편집
선거명
|
선거일
|
투표율
|
정수
|
선거방식
|
임기
|
법정임기
|
---|
제1차 시·읍·면의회의원 선거
|
1952년 4월 25일
|
91
|
17,559
|
직선
|
|
4년
|
제1차 도의회의원 선거
|
1952년 5월 10일
|
81
|
306
|
직선
|
|
4년
|
제2차 시·읍·면의회의원 선거
|
1956년 8월 8일
|
87.2
|
16,961
|
직선
|
|
4년
|
제1차 시·읍·면장 선거
|
1956년 8월 8일
|
86.0
|
1,491
|
직선
|
|
4년
|
제2차 시·도의회의원 선거
|
1956년 8월 13일
|
86
|
437
|
직선
|
|
4년
|
제3차 시·도의회의원 선거
|
1960년 12월 12일
|
67.4
|
487
|
직선
|
|
4년
|
제3차 시·읍·면의회의원 선거
|
1960년 12월 19일
|
62.6
|
16,909
|
직선
|
|
4년
|
제2차 시·읍·면장 선거
|
1960년 12월 26일
|
54.6
|
1,468
|
직선
|
|
4년
|
서울시장·도지사 선거
|
1960년 12월 29일
|
38.8
|
10
|
직선
|
|
4년
|
시·군·구의회의원 선거
|
1991년 3월 26일
|
55.0
|
4,304
|
직선
|
1991년 7월 1일 ~ 1995년 6월 30일
|
4년
|
시·도의회의원 선거
|
1991년 6월 20일
|
58.9
|
866
|
직선
|
1991년 7월 1일 ~ 1995년 6월 30일
|
4년
|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1995년 6월 27일
|
68.4
|
5,758
|
직선
|
1995년 7월 1일 ~ 1998년 6월 30일
|
3년
|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1998년 6월 4일
|
52.7
|
4,428
|
직선
|
1998년 7월 1일 ~ 2002년 6월 30일
|
4년
|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2002년 6월 13일
|
48.9
|
4,415
|
직선
|
2002년 7월 1일 ~ 2006년 6월 30일
|
4년
|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2006년 5월 31일
|
51.3
|
3,872
|
직선
|
2006년 7월 1일 ~ 2010년 6월 30일
|
4년
|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2010년 6월 2일
|
54.4
|
3,991
|
직선
|
2010년 7월 1일 ~ 2014년 6월 30일
|
4년
|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2014년 6월 4일
|
56.8
|
3,952
|
직선
|
2014년 7월 1일 ~ 2018년 6월 30일
|
4년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2018년 6월 13일
|
60.2
|
4,016
|
직선
|
2018년 7월 1일 ~ 2022년 6월 30일
|
4년
|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2022년 6월 1일
|
50.9
|
4,125
|
직선
|
2022년 7월 1일 ~ 2026년 6월 30일
|
4년
|
- ↑ 지방자치법 제31조 및 지방자치법 제94조
- ↑ 공직선거법 제33조
- ↑ 공직선거법 제34조
같이 보기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