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칙 이차 미분

리만 곡면 이론에서, 정칙 이차 미분(正則二次微分, 영어: holomorphic quadratic differential)은 표준 선다발의 2차 텐서곱의 정칙 단면이다.[1]

정의 편집

리만 곡면   위의 정칙 이차 미분은 그 표준 선다발의 2차 텐서곱의 정칙 단면이다. 즉, 정칙 이차 미분의 공간은 다음과 같은 층 코호몰로지이다.[2]:§4

 

여기서   표준 선다발이다. 즉,  의 국소 좌표를  라고 하면, 정칙 이차 미분은 국소적으로

 

의 꼴이다.

표준 좌표계 편집

리만 곡면   위의 정칙 이차 미분  가 주어졌다고 하고, 임의의 점  에 대하여  이라고 하자. 그렇다면,  의 어떤 (충분히 작은) 근방  에 다음과 같은 국소 좌표계를 정의할 수 있다.

 
 

이를  로부터 정의되는 표준 좌표계(瓢樽座標系, 영어: canonical coordinate)라고 한다.

또한,  에서, 리만 계량

 

를 정의할 수 있다 ( ). 이 리만 계량리만 곡률은 0이다.

수직엽과 수평엽 편집

다음 데이터가 주어졌다고 하자.

  • 리만 곡면  
  •  의 한 점  
  •   위의 정칙 이차 미분  . 또한,    근처에서  을 갖는다고 하자. 즉,    근처에서 다음과 같은 꼴을 갖는다.
     

그렇다면, 만약 어떤 연속 미분 가능 곡선

 

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두 조건을 생각하자.

 
 

이 두 조건은 매개 변수의 재정의  에 대하여 (만약  라면) 불변이다. 즉, 이들은 단순히  의 부분 집합으로 취급할 수 있다. ㉠을 만족시키는 이러한 부분 집합들 가운데, 포함 관계에 대하여 극대 원소인 것을  수평엽(水平葉, 영어: horizontal leaf)이라고 한다. 마찬가지로, ㉡을 만족시키는 이러한 부분 집합들 가운데, 포함 관계에 대하여 극대 원소인 것을  수직엽(垂直葉, 영어: vertical leaf)이라고 한다.

성질 편집

리만 곡면   위의 정칙 이차 미분의 벡터 공간은 그 타이히뮐러 공간공변접공간과 표준적으로 동형이다.

리만 곡면   위의 정칙 이차 미분  의 수직엽들의 족은 리만 곡면  의 (실수) 여차원 1의 엽층을 이루며,  의 수평엽들의 족 역시 마찬가지다.

슈트레벨 미분 편집

다음 데이터가 주어졌다고 하자.

  • 종수  연결 콤팩트 리만 곡면   ( ).
  •   속의 유한 집합  . 또한,  이다. (즉,  일 때는  이며,  일 때는  이다.)
  •  에 대하여, 양의 실수  .

그렇다면, 다음 조건들을 만족시키는 유일한 정칙 이차 미분

 

이 존재하며, 이를  슈트레벨 미분(Strebel微分, 영어: Strebel differential)이라고 한다.[2]:Theorem 4.2

  •  는 각   근처에서, 국소적으로 다음과 같이 2차 을 갖는다.
     
  •  의 수평엽들 가운데, 콤팩트 공간이 아닌 것들의 합집합르베그 측도 0인 닫힌집합이다.
  •  의 수평엽들 가운데, 콤팩트 공간인 것  은 항상 어떤  을 한 번 휘감는 폐곡선이며, 또한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 (여기서, 제곱근의 분지는 이 적분이 양수가 되게 택한다.)
     

편집

상수 정칙 이차 미분 편집

 
 의 수평엽(푸른 선)과 수직엽(붉은 선)

비콤팩트 리만 곡면복소평면   위의 상수 정칙 이차 적분

 

을 생각하자. 이는 영점을 갖지 않는다.

이 경우, 수평엽의 조건은

 

인 것이다. 즉,  이어야 한다. 이에 따라, 수평엽들은 다음과 같은 수평선들이다.

 

마찬가지로, 수직엽의 조건은

 

인 것이다. 즉,  이어야 한다. 이에 따라, 수직엽들은 다음과 같은 수직선들이다.

 

이들은 물론 각각 복소평면엽층을 이룬다.

보다 일반적으로, 임의의 리만 곡면   및 임의의   및 임의의 정칙 이차 적분  에 대하여, 만약  이라면,  의 충분히 작은 근방  에서  는 (표준 좌표계에서) 상수 정칙 이차 미분이 되며, 표준 좌표계에서 수평엽과 수직엽은 위와 같이 (복소구조로 정의되는 등각 계량에 대하여) 서로 직교한다.[2]:Proposition 4.1

2차 극 근처의 정칙 이차 미분 편집

 
 의 수평엽(푸른 반직선)과 수직엽(붉은 원)

복소평면 위의 정칙 이차 미분

 

를 생각하자. 그렇다면, 수평엽의 조건은

 

이므로, 수평엽은 원점에서 시작하는 반직선

 

이다. 마찬가지로, 수직엽의 조건은

 

이므로, 수직엽은 원점을 중심으로 하는 원

 

의 꼴이다.

역사 편집

슈트레벨 미분은 스위스의 수학자 쿠르트 슈트레벨(독일어: Kurt Strebel, 1921~2013)이 도입하였다.

각주 편집

  1. Strebel, Kurt (1984). 《Quadratic differentials》. Ergebnisse der Mathematik und ihrer Grenzgebiete (영어) 5. Springer-Verlag. doi:10.1007/978-3-662-02414-0. ISSN 0071-1136. 
  2. Mulase, Motohico; Penkava, Michael (1998). “Ribbon graphs, quadratic differentials on Riemann surfaces, and algebraic curves defined over ℚ̄”. 《The Asian Journal of Mathematics》 (영어) 2 (4): 875–920. arXiv:math-ph/9811024. Bibcode:1998math.ph..11024M. 
  • Tynan, P. (2009). “Explicit examples of Strebel differentials” (영어). arXiv:0910.47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