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새목
참새목은 새의 모든 종 수의 거의 반 가량이 속해 있는 목이다. 연작류(燕雀類)로도 불린다. 계통 분류학적으로는 앵무목과 가장 가깝다. 3개 아목, 110여 개 과를 이루며 현존하는 조류의 약 60%가 이 목에 포함되는데, 참새·제비·종다리·까치·까마귀·팔색조·박새·멧새·개똥지빠귀·굴뚝새·잣새·방울새·금새·할미새·나이팅게일·찌르레기·카나리아 등을 포함하여 5,400여 종으로 이루어져 있다.
![]() | ||||||||||||
![]() 참새 | ||||||||||||
생물 분류![]() | ||||||||||||
---|---|---|---|---|---|---|---|---|---|---|---|---|
| ||||||||||||
아목 | ||||||||||||
|
전세계에 널리 분포하며, 번식력이 가장 뛰어난 무리이다. 발가락은 앞쪽으로 세 개, 뒤쪽으로 한 개가 벌어져 있는데, 특히 뒷발가락이 발달되어 있다. 발성기관인 명관(울음관)이 발달되어 있으며, 번식기가 되면 독특하게 지저귀면서 세력권을 지키는 것이 많다.
하위 분류편집
- 뉴질랜드굴뚝새아목 (Acanthisitti)
- 뉴질랜드굴뚝새과 (Acanthisittidae)
- 산적딱새아목 또는 명금류사촌아목 (Tyranni) - 명금류사촌(suboscine) 또는 명금류사촌류
- 참새아목 또는 명금류 (Passeri)
- 명금류 기저 분류군
- 까마귀하목 (Corvides)
- 까마귀하목 기저 분류군
- 메추리지빠귀과 또는 메추리꼬리치레과 (Cinclosomatidae)
- 할미새사촌과 (Campephagidae)
- Mohouidae
- 오스트레일리아동고비과 (Neosittidae)
- 꾀꼬리상과 (Orioloidea)
- 덤불때까치상과 (Malaconotoidea)
- 까마귀상과 (Corvoidea)
- 까마귀하목 기저 분류군
- 참새하목 (Passerida)
- 참새하목 기저 분류군
- 흰턱딱새소목 (Sylviida)
- 기저 분류군
- 섬개개비상과 (Locustelloidea)
- 흰턱딱새상과 (Sylvioidea)
- 오목눈이상과 (Aegithaloidea)
- 딱새소목 (Muscicapida)
- 여새상과 (Bombycilloidea)
- 딱새상과 (Muscicapoidea)
- 나무발발이상과 (Certhioidea)
- 참새소목 (Passerida)
- 기저 분류군
- 사탕새과 (Promeropidae)
- Modulatricidae
- 태양새과 (Nectariniidae)
- 꽃새과 (Dicaeidae)
- 나뭇잎새과 (Chloropseidae)
- 파랑나뭇잎새과 (Irenidae)
- 올리브솔새과 (Peucedramidae)
- 프르제발스키되새과 (Urocynchramidae) - 단일종 프르제발스키되새
- 베짜는새과 (Ploceidae)
- 천인조과 (Viduidae)
- 밀랍부리과 (Estrildidae)
- 바위종다리과 (Prunellidae)
- 참새과 (Passeridae)
- 할미새과 (Motacillidae)
- 되새과 (Fringillidae)
- 멧새상과 (Emberizoidea)
- 기저 분류군
계통 분류편집
2012년 나이쉬(Naish) 등의 연구에 의한 육조류 계통 분류이다.[1]
육조류 |
| ||||||||||||||||||||||||||||||||||||||||||||||||||||||||||||
각주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위키생물종에 관련된 분류 및 자료가 있습니다. |
- ↑ Naish, D. (2012). "Birds." Pp. 379-423 in Brett-Surman, M.K., Holtz, T.R., and Farlow, J. O. (eds.), The Complete Dinosaur (Second Edition). Indiana University Press (Bloomington & Indianapol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