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북도의회
충청북도의회는 충청북도에 제출된 의견이나 법안을 처리하기 위해 설치된 의회이다.
충청북도의회 Chungcheongbuk-do Provincial Council | |
---|---|
유형 | |
의회 체제 | 단원제 |
조직 | |
의장 | 황영호 (국민의힘) |
부의장 | 이종갑 (국민의힘) |
부의장 | 임영은 (더불어민주당) |
구성 | |
정원 | 35석 |
의원임기 | 4년 |
정당 구성 | |
선거 | |
선거제 | 보통선거 · 평등선거 · 직접 선거 · 비밀 선거 |
선거제 | 소선거구제 (31석) 비례대표제 (4석) |
이전 선거 | 2022년 6월 1일 |
웹사이트 | |
조직편집
의장단편집
- 의장
- 부의장 2명
위원회편집
- 상임위원회
- 의회운영위원회
- 정책복지위원회
- 행정문화위원회
- 산업경제위원회
- 건설소방위원회
- 교육위원회
- 특별위원회
- 예산결산특별위원회
- 윤리특별위원회
사무기구편집
- 사무처[1]
역대 충청북도의원 선거 결과편집
초대 충청북도의회편집
1949년 7월 4일 공포된 지방자치법에 따라 1952년 5월 10일 실시된 도 의회 의원 선거로 초대 충청북도의원 28명이 선출되었다.
정당별 의석
정당 | 의석수 |
---|---|
자유당 | 18 |
국민회 | 2 |
대한청년단 | 1 |
무소속 | 7 |
총합 | 28 |
2대 충청북도의회편집
1956년 8월 13일 실시된 특별시·도 의회 의원 선거로 2대 충청북도의원 30명이 선출되었다.
정당별 의석
정당 | 의석수 |
---|---|
자유당 | 29 |
무소속 | 1 |
총합 | 30 |
3대 충청북도의회편집
1960년 12월 12일에 실시된 특별시·도 의회 의원 선거로 3대 충청북도의원 26명이 선출되었으나, 1961년 5월 16일 5.16 군사정변으로 5개월도 못가 해산되었다.
정당별 의석
정당 | 의석수 |
---|---|
민주당 | 9 |
신민당 | 3 |
무소속 | 14 |
총합 | 26 |
4대 충청북도의회편집
1990년 12월 31일 개정된 지방자치법에 따라 1991년 6월 20일 실시된 광역자치의회 의원 선거로 30년만에 4대 충청북도의원 38명이 선출되었다.
정당별 의석
정당 | 의석수 |
---|---|
민주자유당 | 31 |
민주당 | 2 |
무소속 | 5 |
총합 | 38 |
5대 충청북도의회편집
1995년 6월 27일에 실시된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로 5대 충청북도의원 40명이 선출되었고, 비례대표제가 도입되었다. 지역구 의원 36명과 비례대표 의원 4명을 선출했다.
정당별 의석
정당 | 지역구 | 비례대표 | 의석수 |
---|---|---|---|
민주자유당 | 12 | 2 | 14 |
민주당 | 10 | 1 | 11 |
자유민주연합 | 4 | 1 | 5 |
무소속 | 10 | 10 | |
총합 | 36 | 4 | 40 |
정당별 득표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비례대표 배정수 | ||
---|---|---|---|---|---|
민주자유당 | 235,440 |
|
2 | ||
민주당 | 147,943 |
|
1 | ||
자유민주연합 | 87,829 |
|
1 | ||
무소속 | 183,793 |
|
- |
6대 충청북도의회편집
1998년 6월 4일에 실시된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27명의 충청북도의원을 선출하였다. 지역구 의원 24명과 비례대표 의원 3명을 선출했다.
정당별 의석
정당 | 지역구 | 비례대표 | 의석수 |
---|---|---|---|
새정치국민회의 | 3 | 1 | 4 |
자유민주연합 | 17 | 2 | 19 |
무소속 | 4 | 4 | |
총합 | 24 | 3 | 27 |
정당별 득표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비례대표 배정수 | ||
---|---|---|---|---|---|
한나라당 | 34,224 |
|
- | ||
새정치국민회의 | 177,071 |
|
1 | ||
자유민주연합 | 274,193 |
|
2 | ||
국민신당 | 4,814 |
|
- | ||
무소속 | 94,660 |
|
- |
7대 충청북도의회편집
2002년 6월 13일에 실시된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27명의 충청북도의원을 선출하였다. 지역구 의원 24명과 비례대표 의원 3명을 선출했다.
정당별 의석
정당 | 지역구 | 비례대표 | 의석수 |
---|---|---|---|
한나라당 | 19 | 2 | 21 |
새천년민주당 | 1 | 1 | |
자유민주연합 | 2 | 1 | 3 |
무소속 | 2 | 2 | |
총합 | 24 | 3 | 27 |
비례대표 선거 결과
기호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당선자수 | ||
---|---|---|---|---|---|---|
1 | 한나라당 | 296,503 |
|
2 | ||
2 | 새천년민주당 | 93,351 |
|
0 | ||
3 | 자유민주연합 | 128,186 |
|
1 | ||
4 | 민주노동당 | 42,332 |
|
0 | ||
5 | 사회당 | 17,087 |
|
0 |
8대 충청북도의회편집
2006년 5월 31일에 실시된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31명의 충청북도의원을 선출하였다. 지역구 의원 28명과 비례대표 의원 3명을 선출했다.
정당별 의석
정당 | 지역구 | 비례대표 | 의석수 |
---|---|---|---|
열린우리당 | 1 | 1 | 2 |
한나라당 | 25 | 2 | 27 |
무소속 | 2 | 2 | |
총합 | 28 | 3 | 31 |
비례대표 선거 결과
기호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당선자수 | ||
---|---|---|---|---|---|---|
1 | 열린우리당 | 176,206 |
|
1 | ||
2 | 한나라당 | 325,155 |
|
2 | ||
4 | 민주노동당 | 74,303 |
|
0 | ||
5 | 국민중심당 | 24,855 |
|
0 |
9대 충청북도의회편집
2010년 6월 2일에 실시된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31명의 충청북도의원을 선출하였다. 지역구 의원 28명과 비례대표 의원 3명을 선출했다.
정당별 의석
정당 | 지역구 | 비례대표 | 의석수 |
---|---|---|---|
한나라당 | 3 | 1 | 4 |
민주당 | 20 | 2 | 22 |
자유선진당 | 4 | 4 | |
민주노동당 | 1 | 1 | |
총합 | 28 | 3 | 31 |
비례대표 선거 결과
기호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당선자수 | ||
---|---|---|---|---|---|---|
1 | 한나라당 | 229,892 |
|
1 | ||
2 | 민주당 | 306,419 |
|
2 | ||
3 | 자유선진당 | 53,167 |
|
0 | ||
5 | 민주노동당 | 28,577 |
|
0 | ||
7 | 진보신당 | 10,345 |
|
0 | ||
8 | 국민참여당 | 24,462 |
|
0 | ||
9 | 미래연합 | 19,385 |
|
0 | ||
10 | 사회당 | 4,296 |
|
0 |
10대 충청북도의회편집
2014년 6월 4일에 실시된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31명의 충청북도의원을 선출하였다. 지역구 의원 28명과 비례대표 의원 3명을 선출했다.
정당별 의석
정당 | 지역구 | 비례대표 | 의석수 |
---|---|---|---|
새누리당 | 19 | 2 | 21 |
새정치민주연합 | 9 | 1 | 10 |
총합 | 28 | 3 | 31 |
비례대표 선거 결과
기호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당선자수 | ||
---|---|---|---|---|---|---|
1 | 새누리당 | 383,081 |
|
2 | ||
2 | 새정치민주연합 | 279,430 |
|
1 | ||
3 | 통합진보당 | 22,817 |
|
0 | ||
4 | 정의당 | 17,035 |
|
0 | ||
5 | 노동당 | 7,803 |
|
0 | ||
6 | 녹색당 | 6,589 |
|
0 |
11대 충청북도의회편집
2018년 6월 13일에 실시된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32명의 충청북도의원을 선출하였다. 지역구 의원 29명과 비례대표 의원 3명을 선출했다.
정당별 의석
정당 | 지역구 | 비례대표 | 의석수 |
---|---|---|---|
더불어민주당 | 26 | 2 | 28 |
자유한국당 | 3 | 1 | 4 |
총합 | 29 | 3 | 32 |
비례대표 선거 결과
기호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당선자수 | ||
---|---|---|---|---|---|---|
1 | 더불어민주당 | 388,869 |
|
2 | ||
2 | 자유한국당 | 268,114 |
|
1 | ||
3 | 바른미래당 | 51,144 |
|
0 | ||
4 | 민주평화당 | 5,048 |
|
0 | ||
5 | 정의당 | 62,903 |
|
0 | ||
6 | 민중당 | 4,422 |
|
0 | ||
7 | 노동당 | 4,123 |
|
0 | ||
8 | 녹색당 | 3,734 |
|
0 | ||
9 | 우리미래 | 3,880 |
|
0 |
12대 충청북도의회편집
2022년 6월 1일에 실시된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35명의 충청북도의원을 선출하였다. 지역구 의원 31명과 비례대표 의원 4명을 선출했다.
정당별 의석
정당 | 지역구 | 비례대표 | 의석수 |
---|---|---|---|
더불어민주당 | 5 | 2 | 7 |
국민의힘 | 26 | 2 | 28 |
총합 | 31 | 4 | 35 |
례대표 선거 결과
기호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당선자수 | ||
---|---|---|---|---|---|---|
1 | 더불어민주당 | 264,590표 |
|
2 | ||
2 | 국민의힘 | 377,109표 |
|
2 | ||
3 | 정의당 | 25,397표 |
|
0 | ||
4 | 기본소득당 | 3,594표 |
|
0 | ||
5 | 진보당 | 4,324표 |
|
0 |
정당별 의석 수편집
↓ | ||
7 | 28 | |
더불어민주당 | 국민의힘 |
교섭단체편집
충청북도의회는 5석 이상의 의석을 확보한 정당, 또는 교섭단체에 속하지 않은 5명의 의원이 교섭단체를 구성할 수 있다.[3]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 ↑ 지방이사관 또는 지방부이사관으로 보한다.
- ↑ 가 나 지방서기관으로 보한다.
- ↑ “충청북도의회 교섭단체 및 위원회 구성과 운영에 관한 조례”. 《국가법령정보센터》. 대한민국 법제처. 2018년 7월 6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 충청북도의회 - 공식 웹사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