측도 수렴 함수열

측도론에서, 측도 수렴 함수열(測度收斂函數列, 영어: convergent sequence of functions in measure)은 극한과의 오차가 큰 부분이 점차 사라지는 가측 함수의 열이다.

정의

편집

다음이 주어졌다고 하자.

가측 함수의 열  가측 함수  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면,   측도 수렴한다고 한다.

  • 임의의  에 대하여,  

가측 함수의 열  이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면, 측도 코시 열(測度-列, 영어: Cauchy sequence in measure)이라고 한다.

  • 임의의  에 대하여,  

만약  확률 측도일 경우, 확률 수렴(確率收斂, 영어: convergence in probability)과 확률 코시 열(確率-列, 영어: Cauchy sequence in probability)이라는 용어를 대신 사용하기도 한다.

성질

편집

만약    로 측도 수렴한다면, 거의 어디서나  이다.

함의 관계

편집

모든 측도 수렴 함수열은 항상 거의 어디서나 수렴 부분 함수열을 갖는다. 만약  가산 집합일 경우, 모든 측도 수렴 함수열은 거의 어디서나 수렴한다.

만약  일 경우,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

  •   로 측도 수렴한다.
  • 임의의 부분열  에 대하여,  거의 어디서나 수렴하는 부분열  이 존재한다.

(특히,  일 경우 모든 거의 어디서나 수렴 함수열은 측도 수렴한다.)

모든 측도 수렴 함수열은 측도 코시 열이다. 만약  이며,  분해 가능 완비 거리 공간일 경우, 모든 측도 코시 열은 측도 수렴한다.

확률 측도 공간  이 주어졌다고 하자. 또한, 실수 값 가측 함수  에 대하여 측도 수렴과 거의 어디서나 수렴이 동치라고 하자. 그렇다면  원자적 측도다.[1]:165, Exercise 2.12.71

측도 수렴하지 않는 거의 어디서나 수렴 함수열

편집

보렐 시그마 대수르베그 측도를 갖춘 실수선   위에 다음과 같은 함수열을 정의하자.

 
 

그렇다면  은 0으로 점별 수렴하며, 특히 거의 어디서나 수렴하지만, 측도 수렴하지 않는다.

거의 어디서나 수렴하지 않는 측도 수렴 함수열

편집

실수 구간   위에 다음과 같은 함수열을 정의하자.

 
 

그렇다면  은 0으로 측도 수렴하지만, 모든 곳에서 발산하며, 특히 거의 어디서나 수렴하지 않는다.

참고 문헌

편집
  1. Bogachev, Vladimir I. (2007). 《Measure theory. Volume I》 (영어). Berlin, Heidelberg: Springer. doi:10.1007/978-3-540-34514-5. ISBN 978-3-540-34513-8. LCCN 2006933997.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