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나다스피스

카나다스피스 또는 카나다스피스속(Canadaspis)북아메리카중국에 나타났던 캄브리아기 이매갑성(bivalved carapace) 절지동물의 멸종한 한 속이다. 속명의 뜻은 ‘캐나다의 방패’이다. 카나다스피스는 주로 해저를 걸어다니면서 먹이를 찾아다녔으며, 먹이를 찾으면서 진흙을 파헤치기 위해 이분지성 다리를 사용했을지도 모른다. 카나다스피스는 히메노카리스목 내에 자리하는 분류군이다.

카나다스피스
화석 범위:
캄브리아기 중기
화석표본.
화석표본.
생물 분류ℹ️
계: 동물계
문: 절지동물문
목: 히메노카리스목
과: †카나다스피스과
속: 카나다스피스속(Canadaspis)
Novozhilov in Orlov, 1960
  • 카나다스피스 페르펙타 C. perfecta
  • 카나다스피스 레비가타 C. laevigata

형태적 특징

편집

카나다스피스 페르펙타

편집
 
카나다스피스 페르펙타의 복원 그림

페르펙타 종의 이매갑은 줄자로 앞 끝을 쟀을 때에 보통 8~52mm 정도로 길다.[1] 머리에는 각기 짧은 눈자루 한 쌍에 작은 눈이 달려 있다. 두 눈 사이에는 앞으로 향한 이마뿔이 있으며 체절화가 덜한 짧은 더듬이가 한 쌍 있다.[2] 왑티아에서도 비슷한 더듬이가 있으며 이것은 갑각류의 반타원형 촉각과 상동인 것으로 보인다. 또한 후각 기능을 담당했던 듯 하다.[3] 머리에는 또 다른 더듬이 한 쌍이 달려 있으며, 전방으로 뻗어 있는 더듬이보다 더 크고 체절화가 잘 되어 있으며 총 12마디이다. 그리고 이 마디는 더듬이 끝으로 갈수록 길이가 증가하며 더듬이 끝은 늘씬하고 앞으로 맞대고 있는 가시가 달려 있다.[2] 큰턱과 작은턱이 한 쌍씩 존재한다. 큰턱은 강모로 둘러싸인 큰턱수염을 이고 있다. 또한 큰턱에는 턱이빨이 달려 있다. 머리에는 두 쌍의 머리가슴다리가 달려 있는데 매우 크게 발달해 있으며 다리 끝에 발톱이 달려있다. 이 다리들은 단분지형인지 이분지형인지는 불분명하다.[4] 몸통의 경우, 전방으로는 갑각으로 덮여있는 다리가 달린 가슴부와 후방으로 노출된 다리가 없는 복부로 나뉘며 이 둘을 합치면 총 12마디이다. 가슴은 8쌍의 융합된 이분지 다리 쌍을 가진다. 내분지는 체절화되어 있으며 13~14마디로 이루어져 있을 것으로 추정되며 머리의 다리처럼 마찬가지로 그 끝에 발톱이 달려 있다. 외분지는 지느러미 모양이며 가장자리를 따라 바깥으로 펼쳐진 작은 지느러미살 9~10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복부는 꼬리마디로 끝나는데, 가시 모양의 지느러미 한 쌍이 아랫면에서 후방으로 향해 있으며 각각의 꼬리지느러미는 커다란 가시 하나와 5개의 조그마한 가시들로 구성해 있다.[2]

카나다스피스 레비가타

편집
 
카나다스피스 레비가타의 복원도

레비가타 종(C. laevigata)의 쌍갑은 페르펙타의 이매갑보다 더 작다.  그러나 보통은 크기도 작다. 마찬가지로 눈자루 한 쌍과 체절화한 단분지형 더듬이 한 쌍이 있다. 몸통은 19개의 고리형 배판이 있다. 10쌍의 이분지형 다리의 경우, 첫번째 쌍은 머리쪽에 위치한다. 이분지형 다리는 전부 형태가 비슷하다. 내분지는 강건하며 끝에 발톱이 달려 있다. 외분지는 편평하고 둥글다. 몸통의 끝에는 꼬리마디가 있으며 페르펙타 종의 꼬리마디보다 부분적으로 더 길다. 꼬리지느러미는 크고 작은 가시가 나 있으며 뒤로 뻗어 있다.[5]

생태

편집

카나다스피스는 반심해성 동물로 해저를 따라 걸어다녔던 것으로 보인다. 페르펙타 종은 부속지 끝의 발톱으로  퇴적층을 휘젓는 데에 사용했을 수도 있고 바로 윗층을 벗겨냈을 수도 있는데, 데렉 브릭스는 영양분이 넘치는 미생물막을 먹었을 것임을 시사한다. 커다란 입자를 훑으면서 다리 안쪽에 나 있는 가시들로 붙들어 매는데, 이 가시들은 먹이 입자를 갉아먹을 수 있는 큰턱이 있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었다.[2]

더듬이는 감각기관으로 쓰였다. 페르펙타 종의 머리 위 가시는 포식자에게서 취약한 눈을 보호해주기 위함인 것으로 사료된다. 다리는 잔물결처럼 움직이는 계시성 운동을 했을 것이다. 카나다스피스가 수영을 잘 못하더라도 부드러운 퇴적물 바닥에서부터 스스로를 추진시킬 수 있었다. 또한 먹이 섭취와 호흡을 도와줄 수류를 생산하기도 했을 것이다. [2]

페르펙타 종의 구성원은 탈피를 하고자 동시발생한 무리에 참여한 것이 밝혀졌다.[6]

분류

편집

카나다스피스 페르펙타(Canadaspis perfecta)는 원래 찰스 둘리틀 월컷(Charles Doolittle Walcott)이 1912년에 히메노카리스 페르펙타(Hymenocaris perfecta.)로 기술 및 발표한 것이다. 페르펙타 종은 이후 노보질로프(Novozhilov)가 당시 새로운 별개의 속으로 발표했던 카나스피스속으로 들어갔다.[2]

카나다스피스는 오래 전부터 갑각류로 해석했으나 현재 이 해석은 거부된다.[7] 보통은 범절지동물(Euarthropoda)의 줄기 분기군으로 보고 있다.[8] 현재는 대악동물로 여기는 히메노카리스목의 한 구성으로 여기고 있다.[9] 과학자들 중에는 레비가타 종을 별개의 속으로 봐야 한다는 의견이 있다.[10]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Canadaspis perfecta”. 《Royal Ontario Museum》 (영어). 2022년 10월 28일에 확인함. 
  2. Briggs, D. (1978). “The morphology, mode of life, and affinities of Canadaspis perfecta (Crustacea: Phyllocarida), Middle Cambrian, Burgess Shale, British Columbia”. 《Philosophical Transactions of the Royal Society》 281 (984): 439–487. Bibcode:1978RSPTB.281..439B. doi:10.1098/rstb.1978.0005. 
  3. Vannier, Jean; Aria, Cédric; Taylor, Rod S.; Caron, Jean-Bernard (2018년 6월). “Waptia fieldensis Walcott, a mandibulate arthropod from the middle Cambrian Burgess Shale”. 《Royal Society Open Science》 (영어) 5 (6): 172206. Bibcode:2018RSOS....572206V. doi:10.1098/rsos.172206. ISSN 2054-5703. PMC 6030330. PMID 30110460. 
  4. Izquierdo-López, Alejandro; Caron, Jean-Bernard (2022 12월). “The problematic Cambrian arthropod Tuzoia and the origin of mandibulates revisited”. 《Royal Society Open Science》 (영어) 9 (12): 220933. Bibcode:2022RSOS....920933I. doi:10.1098/rsos.220933. ISSN 2054-5703. PMC 9727825. PMID 36483757. 
  5. Hou, Xianguang; Bergström, Jan (1997). 《Arthropods of the Lower Cambrian Chengjiang fauna, southwest China》 (PDF). Scandinavian University Press. ISBN 82-00-37693-1. OCLC 614008940. 
  6. Haug, Joachim T; Caron, Jean-Bernard; Haug, Carolin (2013년 12월). “Demecology in the Cambrian: synchronized molting in arthropods from the Burgess Shale”. 《BMC Biology》 (영어) 11 (1): 64. doi:10.1186/1741-7007-11-64. ISSN 1741-7007. PMC 3685569. PMID 23721223. 
  7. Butterfield, N.J. (2002). “Leanchoilia guts and the interpretation of three-dimensional structures in Burgess Shale-type fossils”. 《Paleobiology》 28 (1): 155–171. doi:10.1666/0094-8373(2002)028<0155:LGATIO>2.0.CO;2. S2CID 85606166. 
  8. Lieberman, B.S. (2003). “A new soft-bodied fauna: the Pioche Formation of Nevada”. 《Journal of Paleontology》 77 (4): 674–690. doi:10.1666/0022-3360(2003)077<0674:ANSFTP>2.0.CO;2. 
  9. Vannier, Jean; Aria, Cédric; Taylor, Rod S.; Caron, Jean-Bernard (2018). “Waptia fieldensis Walcott, a mandibulate arthropod from the middle Cambrian Burgess Shale”. 《Royal Society Open Science》 5 (6): 172206. Bibcode:2018RSOS....572206V. doi:10.1098/rsos.172206. PMC 6030330. PMID 30110460. 
  10. Legg, David A.; Caron, Jean-Bernard (2014년). Lane, Phil, 편집. “New Middle Cambrian bivalved arthropods from the Burgess Shale (British Columbia, Canada)”. 《Palaeontology》 (영어) 57 (4): 691–711. Bibcode:2014Palgy..57..691L. doi:10.1111/pala.12081. S2CID 130770012. 

외부 링크

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카나다스피스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