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런트 준대수

미분기하학에서 쿠런트 준대수(Courant準代數, 영어: Courant algebroid)는 리 준대수이차 리 대수의 개념의 공통적인 일반화이다.[1]

정의

편집

반대칭이 아닌 괄호를 통한 정의

편집

쿠런트 준대수는 다음과 같은 데이터로 주어진다.

  • 매끄러운 다양체  
  • 매끄러운 벡터 다발  
  • 벡터 다발 사상  ,  . 이를 (영어: anchor)이라고 한다. 이를   위의 1차 미분 연산자로 간주하자.
  •   위의 올별 비퇴화 대칭 쌍선형 형식  
  • 단면 위의 쌍선형 형식  ,  .

이는 다음 공리들을 만족시켜야 한다.

  •  
  •  
  •  
  •  

반대칭인 괄호를 통한 정의

편집

쿠런트 준대수는 다음과 같은 데이터로 주어진다.

  • 매끄러운 다양체  
  • 매끄러운 벡터 다발  
  • 1차 미분 연산  
  •   위의 올별 비퇴화 대칭 쌍선형 형식  
  •   위의 올별 반대칭 쌍선형 형식  

이는 다음 공리들을 만족시켜야 한다.

  •  
  •  
  •  
  •  
  •  

이 두 정의는 서로 동치이며, 그 사이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디랙 구조

편집

매끄러운 다양체   위의  차원 쿠런트 준대수   위의 내적  의 부호수가  이라고 하자. 그렇다면,  디랙 구조  는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부분 벡터 다발이다.

 
 
 

접다발과 쌍대접다발의 직합

편집

매끄러운 다양체  닫힌 3차 미분 형식

 
 

가 주어졌다고 하자. 그렇다면,

 

위에

 

와 같은 괄호를 주자. 여기서

그렇다면,  는 쿠런트 준대수의 구조를 이룬다.[2] 여기서

  •  은 사영 사상이다.
  •  은 단순히  이다.

이차 리 대수

편집

한원소 공간 위의 쿠런트 준대수의 개념은 이차 리 대수의 개념과 동치이다.

역사

편집

류장쥐(중국어 간체자: 刘张炬, 정체자: 劉張炬, 병음: Liú Zhāngjù, 한자음: 유장거) · 앨런 와인스틴(영어: Alan Weinstein) · 쉬핑(중국어: 徐平, 병음: Xú Píng, 한자음: 서평)이 1997년에 도입하였다.[3] 이 개념의 이름은 미국의 수학자 시어도어 제임스 쿠런트(영어: Theodore James Courant)의 이름을 땄다.

각주

편집
  1. Roytenberg, Dmitry (1999). 《Courant algebroids, derived brackets, and even symplectic supermanifolds》 (영어). 박사 학위 논문.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arXiv:math/9910078. 
  2. Ševera, Pavol (2000). “Letters to A. Weinstein about Courant algebroids” (영어). arXiv:1707.00265. Bibcode:2017arXiv170700265S. 
  3. Liu, Zhang-Ju; Weinstein, Alan; Xu, Ping (1997). “Manin triples for Lie bialgebroids”. 《Journal of Differential Geometry》 (영어) 45: 647–574. arXiv:dg-ga/9508013. Bibcode:1995dg.ga.....8013L.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