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웨이트 축구 국가대표팀

쿠웨이트의 남자 축구 대표팀

쿠웨이트 축구 국가대표팀(아랍어: منتخب الكويت لكرة القدم)은 쿠웨이트를 대표하는 축구 국가대표팀으로 쿠웨이트 축구 협회에 의해 운영되며 1961년 9월 3일 리비아와의 국제 A매치 데뷔전에서 2 – 2로 비겼다. 중동 축구의 복병으로 손꼽히는 팀이며 홈 구장으로는 자베르 알 아흐마드 국립 경기장을 사용하고 있다.

쿠웨이트
협회쿠웨이트 축구 협회
대륙 연맹아시아 축구 연맹
감독포르투갈 루이 벤투
주장파하드 알 안사리
최다 출전자바데르 알무타와 (178)
최다 득점자바샤르 압둘라 (75)
홈 구장자베르 알 아흐마드 국립 경기장
FIFA 코드KUW
FIFA 랭킹
현재이 페이지에서 확인하세요
최고 순위24위 (1998년 12월)
최저 순위128위 (2008년 11월)
첫 국제 경기 출전
쿠웨이트 2 – 2 리비아 리비아
(모로코; 1961년 9월 3일)
최다 점수차 승리
쿠웨이트 20 – 0 부탄
(쿠웨이트, 쿠웨이트 시티; 2000년 2월 14일, 2000년 AFC 아시안컵 예선)
최다 점수차 패배
대한민국 9 – 0 쿠웨이트
(항저우; 2023년 9월 19일)
FIFA 월드컵
출전 횟수1회 (1982년에 처음 출전)
최고 성적조별리그 (1982년)
아시안컵
출전 횟수10회 (1972년에 처음 출전)
최고 성적우승 (1980년)

국제 대회 경력 편집

FIFA 월드컵 편집

월드컵 본선 출전은 1982년 대회가 유일하며 이 대회 4조 조별리그에서 체코와 1 – 1로 비겼지만 프랑스잉글랜드에게는 각각 1 – 4, 0 – 1로 패하며 1무 2패·조 최하위로 조별리그에서 탈락했고 이후의 월드컵 본선 기록은 전무하다.

AFC 아시안컵 편집

아시안컵 본선에는 10번 출전하여 이 중 자국에서 열린 1980년 대회에서 우승컵을 들어올렸고 1976년 대회에서는 준우승을 차지했으며 1984년1996년 대회에서는 준결승에 이름을 올렸다. 그러나 2000년대 이후의 최고 성적은 2000년 대회 8강 진출이 전부이며 이후의 아시안컵 대회에서는 조별리그에서 탈락하거나 아예 본선에 오르지도 못했고 특히 2019년 대회 예선에서는 FIFA가 자격 정지 처분을 내리면서 예선 경기 도중 실격 처리되었으며 2023년 AFC 아시안컵 3차 예선에서도 인도네시아요르단에 패하면서 또 다시 본선 진출 실패의 쓴 맛을 봤다.

아시안 게임 편집

성인대표팀 시절에는 7번 참가하여 은메달 2개(1982년, 1998년), 동메달 2개(1986년, 1994년)를 획득했고 U-23 대표팀으로는 4번 출전하여 2002년 대회에서 8강에 올랐고 2010년 대회에서는 16강에 이름을 올렸다.

하계 올림픽 편집

성인대표팀 시절에는 1980년 대회에 유일하게 출전하여 이 대회에서 8강에 진출했고 U-23 대표팀으로는 2번 출전했지만 모두 조별리그 탈락의 고배를 마셨다. 물론 2000년 대회에서 체코에게 3 – 2로 승리를 거두며 20년만에 1승을 추가했지만 이후 현재까지 올림픽 본선 기록은 없다.

기타 국제 대회 경력 편집

걸프컵에는 22번 출전하여 이 중 10번의 대회에서 우승컵을 가져가면서 이 대회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 중이며 1979년 대회에서는 준우승을 차지했다. 그리고 서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에는 4번 출전하여 2010년 대회에서 정상에 올랐고 아랍 네이션스컵에는 8번 출전하여 3번의 대회에서 3위에 이름을 올렸으며 팬아랍 게임 축구에는 4번 출전하여 2개의 동메달을 획득했다.

국제대회 기록 편집

FIFA 월드컵 편집

FIFA 월드컵 본선 기록 FIFA 월드컵 예선 기록
년도 결과 순위 경기 무* 득점 실점 승점 경기 무* 득점 실점 승점
  1930년 독립 이전 독립 이전
  1934년
  1938년
  1950년
  1954년
  1958년
  1962년
  1966년 불참 불참
  1970년
  1974년 예선 탈락 6 1 1 4 4 8 4
  1978년 12 8 1 3 23 10 25
  1982년 조별리그 21위 3 0 1 2 2 6 1 9 7 1 1 20 6 22
  1986년 예선 탈락 4 2 1 1 8 2 7
  1990년 4 3 0 1 6 3 9
  1994년 6 3 2 1 21 4 11
  1998년 12 6 2 4 17 9 20
   2002년 6 4 1 1 9 3 13
  2006년 12 6 1 5 19 15 19
  2010년 6 1 1 4 8 12 4
  2014년 8 4 2 2 13 10 14
  2018년 예선 도중 실격 8 3 1 4 12 10 10
  2022년 예선 탈락 8 4 2 2 19 7 14
합계 1회 진출(1/14[1]) 조별리그(1회) 3 0 1 2 2 6 1 93 48 14 31 160 92 158
순위 FIFA 월드컵 역대 순위 : 67위 월드컵 예선 승점 순위 : 57위 (아시아 10위)

하계 올림픽 편집

올림픽 축구 기록
년도 결과 순위 경기 무* 득점 실점 승점
  1900년 독립 이전
  1904년
  1908년
  1912년
  1920년
  1924년
  1928년
  1936년
  1948년
  1952년
  1956년
  1960년
  1964년 불참
  1968년
  1972년 진출 실패
  1976년
  1980년 8강 5위 4 1 2 1 5 4 5
  1984년 진출 실패
  1988년
합계 1회 진출(1/7[2]) 8강(1회) 4 1 2 1 5 4 5

지역대회 기록 편집

AFC 아시안컵 편집

AFC 아시안컵 본선 기록 AFC 아시안컵 예선 기록
년도 결과 순위 경기 무* 득점 실점 승점 경기 무* 득점 실점 승점
  1956년 독립 이전 독립 이전
  1960년
  1964년 없음[3] 없음
  1968년 기권 기권
  1972년 조별 리그 5위 3 2 0 1 4 5 3 5 2 2 1 6 4 8
  1976년 준우승 2위 4 3 0 1 6 3 9 자동 진출
  1980년 우승 1위 6 4 1 1 13 6 13 자동 참가 (개최국)
  1984년 준결승 3위 6 2 2 2 5 4 8 자동 참가 (전 대회 우승)
  1988년 조별 리그 7위 4 0 3 1 2 3 3 4 3 1 0 9 0 10
  1992년 예선 탈락 2 1 0 1 4 3 3
  1996년 준결승 4위 6 2 2 2 9 7 8 4 2 2 0 9 5 8
  2000년 8강 6위 4 1 2 1 3 3 5 4 4 0 0 33 1 12
  2004년 조별 리그 10위 3 1 0 2 3 7 3 6 5 1 0 17 5 16
     2007년 예선 탈락 4 1 1 2 3 4 4
  2011년 조별 리그 14위 3 0 0 3 1 7 0 6 2 3 1 6 5 9
  2015년 조별 리그 15위 3 0 0 3 1 6 0 6 2 3 1 10 7 9
  2019년 예선 도중 실격 8 3 1 4 12 10 10
합계 10회 진출(10/13[4]) 우승(1회) 42 15 10 17 47 51 55 49 25 14 10 109 44 89
순위 AFC 아시안컵 역대 순위 : 6위

아시안 게임 편집

아시안 게임 기록
년도 결과 순위 경기 무* 득점 실점 승점
  1951년 독립 이전
  1954년
  1958년
  1962년 없음[5]
  1966년 불참
  1970년
  1974년 8강 6위 5 3 0 2 12 8 9
  1978년 8강 6위 6 3 1 2 13 8 10
  1982년 은메달 준우승 6 5 0 1 13 5 15
  1986년 동메달 3위 7 5 2 0 20 3 17
  1990년 8강 7위 4 1 1 2 3 4 4
  1994년 동메달 3위 6 4 1 1 15 6 13
  1998년 은메달 준우승 8 3 2 3 23 8 11
합계 11회 출전(7/13[6]) 준우승(2회) 42 24 7 11 99 42 79

UAFA 걸프컵 편집

걸프컵 기록
년도 결과 순위 경기 무* 득점 실점 승점
  1970년 결선리그 우승 3 3 0 0 10 4 9
  1972년 결선리그 우승 3 2 1 0 14 2 7
  1974년 우승 1위 4 4 0 0 16 0 12
  1976년 결선리그 우승 7 5 2 0 26 7 17
  1979년 결선리그 준우승 6 4 1 1 15 4 13
  1982년 결선리그 우승 5 4 0 1 8 2 12
  1984년 결선리그 6위 6 1 2 3 4 8 5
  1986년 결선리그 우승 6 5 1 0 11 4 16
  1988년 결선리그 5위 6 1 2 3 3 4 5
  1990년 결선리그 우승 5[7] 3 2 0 11 3 11
  1992년 결선리그 5위 5 2 0 3 5 8 6
  1994년 결선리그 5위 5 1 1 3 2 6 4
  1996년 결선리그 우승 5 4 0 1 7 4 12
  1998년 결선리그 우승 5 4 0 1 18 5 12
  2002년 결선리그 3위 5 1 2 2 4 6 5
  2003년 결선리그 6위 6 1 2 3 6 9 5
  2004년 준결승 4위 5 2 1 2 7 8 7
  2007년 예선탈락 6위 3 0 1 2 4 6 1
  2009년 준결승 3위 4 1 2 1 2 2 5
  2010년 우승 1위 5 3 2 0 7 2 11
  2013년 준결승 3위 5 3 0 2 9 3 9
  2014년 예선탈락 5위 3 1 1 1 3 7 4
  2017년 실격[8]
합계 22회 출전(22/23) 우승(10회) 107 55 23 29 192 104 188

WAFF 서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 편집

서아시안컵 기록
년도 결과 순위 경기 무* 득점 실점 승점
  2000년 불참
  2002년
  2004년
  2007년
  2008년
  2010년 우승 1위 4 2 2 0 7 5 8
  2012년 예선탈락 5위 3 2 0 1 4 4 6
  2014년 준결승 4위 4 1 1 2 3 5 4
  2017년 실격[9]
합계 3회 출전(3/9) 우승(1회) 11 5 3 3 14 14 18

UAFA 아랍 네이션스컵 편집

아랍 네이션스컵 기록
년도 결과 순위 경기 무* 득점 실점 승점
  1963년 결선리그 4위 4 1 0 3 5 15 3
  1964년 결선리그 3위 4 1 1 2 5 5 4
  1966년 조별리그 7위 4 0 2 2 8 11 2
  1985년 불참
  1988년 조별리그 8위 4 1 1 2 2 3 4
  1992년 준결승 3위 4 2 0 2 6 5 6
  1998년 준결승 3위 4 3 0 1 13 4 9
  2002년 조별리그 6위 4 1 2 1 5 5 5
  2012년 조별리그 6위 2 1 0 1 2 4 3
합계 8회 출전(8/9) 3위(3회) 30 10 6 14 46 52 36

판 아랍 게임 편집

판 아랍 게임 기록
년도 결과 순위 경기 무* 득점 실점 승점
  1953년 독립 이전
  1957년
  1961년 결선리그 6위 5 0 1 4 3 18 1
  1965년 불참
  1976년
  1985년
  1992년 동메달 3위 4 2 0 2 6 5 6
  1997년 준결승 4위 5 2 0 3 8 9 6
  1999년 불참
  2004년 축구 종목 제외
  2007년 불참
  2011년 동메달 3위 4 3 0 1 7 2 9
합계 4회 출전(4/9[10]) 동메달(2회) 18 7 1 10 24 34 22

주요 선수  편집

  • 파이살 아자브 알아제미
  • 후사인 알무사위
  • 파이살 자이드
  • 유세프 나세르
  • 아흐메드 알데피리
  • 아흐메드 잔키
  • 사미 알사네아
  • 무바라크 알파네니

각주 편집

  1. 월드컵 출전 횟수 비율. 독립 이후로 계산
  2. 아시안 게임 출전 횟수 비율. 독립 이후로 계산
  3. 쿠웨이트 축구협회 창립 이전
  4. 아시안컵 출전 횟수 비율. 독립 이후로 계산
  5. 쿠웨이트 축구 협회 창립 이전
  6. 아시안 게임 출전 횟수 비율. 독립 이후로 계산
  7. 이라크(중도기권) 경기 포함
  8. FIFA의 자격 정지 처분으로 인해 실격 처리됨
  9. FIFA의 자격 정지 처분으로 인해 실격 처리됨
  10. 본선진출 횟수. 독립 이후로 계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