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공개 기록
위키백과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모든 기록이 표시됩니다. 기록 종류나 사용자 이름(대소문자 구별) 또는 영향을 받는 문서(대소문자 구별)를 선택하여 범위를 좁혀서 살펴볼 수 있습니다.
- 2023년 3월 20일 (월) 07:40 Aspere 토론 기여님이 거문고자리 RR형변광성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거문고자리 RR형 변광성 문서로 넘겨주기) 태그: 새 넘겨주기 2017 원본 편집
- 2023년 3월 12일 (일) 03:10 Aspere 토론 기여님이 틀토론:핼리 함대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우주 개발 프로젝트|품질=기타|중요도=기타}}) 태그: 2017 원본 편집
- 2023년 3월 7일 (화) 03:26 Aspere 토론 기여님이 틀토론:궤도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물리학 프로젝트|품질=기타|중요도=기타}}) 태그: 2017 원본 편집
- 2023년 3월 7일 (화) 03:19 Aspere 토론 기여님이 토론:중심체 (물리학)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물리학 프로젝트}} {{번역된 문서|en|Primary body|1115819279}}) 태그: 2017 원본 편집
- 2023년 3월 7일 (화) 03:18 Aspere 토론 기여님이 중심체 (물리학)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중심체'''({{lang|en|central body}}) 또는 '''기본체'''({{lang|en|primary body}})는 중력적으로 묶여 있는 다체계의 주요 물체로, 보통 속한 계의 질량 대부분을 차지하여 질량중심의 근처에 위치한 경우가 많다. 태양계에서의 중심체는 태양으로, 모든 천체가 태양을 중심으로 공전하고 있다. 같은 원리로 모든 위성은 행성이 중심체에 해당한...) 태그: 2017 원본 편집
- 2023년 3월 7일 (화) 02:53 Aspere 토론 기여님이 사용자토론:Aspere/2022년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보존}} == 오래된 초안 문서 삭제 예정 알림 == 안녕하세요. Aspere님이 만들었던 초안 문서 초안:하우메아의 발견에 대한 논란 등이 6개월 이상 개선이 되지 않고 방치되어 있습니다. 편집 작업이 1년 이상 이뤄지지 않고 방치된 초안 문서는 삭제 정책에 따라 삭제될 수도 있음을 미리 알려드립니다. 혹시나 삭제를 원하지 않는다면 사...) 태그: 2017 원본 편집
- 2023년 1월 12일 (목) 03:33 Aspere 토론 기여님이 틀토론:전역상자 소련 이후의 충돌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정치 프로젝트|품질=기타|중요도=기타}} {{군사 프로젝트|품질=기타|중요도=기타}}) 태그: 2017 원본 편집
- 2022년 12월 26일 (월) 18:23 Aspere 토론 기여님이 분류:12세기 일본의 시인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시간 분류 둘러보기}} 분류:13세기 시인 분류:세기별 일본의 시인 분류:13세기 아시아 사람) 태그: 2017 원본 편집
- 2022년 12월 26일 (월) 18:22 Aspere 토론 기여님이 분류:13세기의 가인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13세기 (출생 또는 사망)의 가인에 관한 분류. 분류:13세기 일본의 시인 분류:일본의 가인 (세기별)) 태그: 2017 원본 편집
- 2022년 12월 26일 (월) 18:17 Aspere 토론 기여님이 분류:짧은 설명을 포함한 사용자 문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위키백과 분류|hidden=yes}} {{CatAutoTOC}}) 태그: 2017 원본 편집
- 2022년 12월 26일 (월) 18:11 Aspere 토론 기여님이 분류:제목 변수가 있는 내포된 정보상자 틀을 사용하는 문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tracking category|hidden=예}} {{Category used by module|Module:Infobox}}) 태그: 2017 원본 편집
- 2022년 12월 25일 (일) 20:00 Aspere 토론 기여님이 틀토론:북키프로스의 정치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아시아 프로젝트|품질=기타|중요도=기타}} {{정치 프로젝트|품질=기타|중요도=기타}}) 태그: 2017 원본 편집
- 2022년 12월 22일 (목) 21:46 Aspere 토론 기여님이 카테네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사슬형 충돌구 문서로 넘겨주기) 태그: 새 넘겨주기 2017 원본 편집
- 2022년 12월 22일 (목) 21:45 Aspere 토론 기여님이 카테나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사슬형 충돌구 문서로 넘겨주기) 태그: 새 넘겨주기 2017 원본 편집
- 2022년 12월 22일 (목) 21:45 Aspere 토론 기여님이 충돌구 사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사슬형 충돌구 문서로 넘겨주기) 태그: 새 넘겨주기 2017 원본 편집
- 2022년 12월 22일 (목) 21:45 Aspere 토론 기여님이 토론:사슬형 충돌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천문학 프로젝트}} {{번역된 문서|en|Crater chain|1031098369}}) 태그: 2017 원본 편집
- 2022년 12월 22일 (목) 21:43 Aspere 토론 기여님이 초안:사슬형 충돌구 문서를 사슬형 충돌구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2년 12월 22일 (목) 21:33 Aspere 토론 기여님이 Saturn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턴 문서로 넘겨주기) 태그: 새 넘겨주기 2017 원본 편집 동음이의 링크
- 2022년 12월 22일 (목) 21:32 Aspere 토론 기여님이 초안:사슬형 충돌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thumb|right|[[가니메데 (위성)|에 있는 길이 161 km의 엔키 카테나로, 분열한 혜성이 충돌하며 생겨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사슬형 충돌구'''({{lang|en|Crater chain}})는 천체 표면에 충돌구가 늘어선 모양의 지형을 가리키는 용어로, 국제천문연맹에서는 '''카테나'''({{llang|la|catena}})라는 용어를 지정하여 사용하고 있다.<r...) 태그: 2017 원본 편집 동음이의 링크
- 2022년 12월 22일 (목) 21:16 Aspere 토론 기여님이 별의 형성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항성 형성 문서로 넘겨주기) 태그: 새 넘겨주기 2017 원본 편집
- 2022년 12월 22일 (목) 20:19 Aspere 토론 기여님이 분류:태양계 천체의 지표면 특징 문서를 분류:태양계 천체의 지형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2년 12월 21일 (수) 04:03 Aspere 토론 기여님이 조석 꼬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조석꼬리 문서로 넘겨주기) 태그: 새 넘겨주기 m 모바일 웹
- 2022년 12월 16일 (금) 22:29 Aspere 토론 기여님이 토론:잃어버린 혜성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천문학 프로젝트}} {{번역된 문서|en|Lost comet|1127722625}}) 태그: 2017 원본 편집
- 2022년 12월 16일 (금) 22:28 Aspere 토론 기여님이 초안:잃어버린 혜성 문서를 잃어버린 혜성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2년 12월 16일 (금) 21:37 Aspere 토론 기여님이 분류:잃어버린 혜성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분류:혜성) 태그: 2017 원본 편집
- 2022년 12월 16일 (금) 17:42 Aspere 토론 기여님이 초안:잃어버린 혜성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thumb|right|[[비엘라 혜성은 1846년 두 조각으로 갈라진 모습이 관측된 이후, 다음 근일점 통과 시점인 1852년부터 전혀 관측되지 않았다.]] '''잃어버린 혜성'''({{lang|en|Lost comet}})은 가장 최근의 근일점 통과 시 관측이 이루어지지 못한 혜성을 통칭하는 말로, 보통 궤도를 계산할 수 있을 정도로 관측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못한 경우 많이 발생한다...) 태그: 2017 원본 편집 동음이의 링크
- 2022년 12월 16일 (금) 17:13 Aspere 토론 기여님이 틀토론:M+J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천문학 프로젝트|품질=기타|중요도=기타}}) 태그: 2017 원본 편집
- 2022년 12월 16일 (금) 17:12 Aspere 토론 기여님이 틀:M+J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MPC|{{{1}}}}}{{·}}{{JPL|{{{1}}}}}<noinclude> 분류:천문학 외부 링크 틀 분류:소행성체에 관한 틀 </noinclude>) 태그: 2017 원본 편집
- 2022년 12월 16일 (금) 10:33 Aspere 토론 기여님이 초안:핼리형 혜성 목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The following is a list of Halley-type comets (HTCs), which are periodic comets with an orbital period between 20 and 200 years, often appearing only once or twice within one's lifetime. The majority come from between the orbits of Saturn and Neptune. Due to the nature of their orbits, they can be perturbed by the giant planets and sent into orbits too far from the Sun to outgas, and vice versa. Minor planets in comet-like orbits similar to HTCs that never come close...) 태그: 2017 원본 편집 동음이의 링크
- 2022년 12월 16일 (금) 10:31 Aspere 토론 기여님이 분류:엥케형 혜성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분류:혜성) 태그: 2017 원본 편집
- 2022년 12월 16일 (금) 01:44 Aspere 토론 기여님이 1729년 혜성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1729년의 혜성 문서로 넘겨주기) 태그: 새 넘겨주기 2017 원본 편집
- 2022년 12월 16일 (금) 01:44 Aspere 토론 기여님이 사라바트 혜성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1729년의 혜성 문서로 넘겨주기) 태그: 새 넘겨주기 2017 원본 편집
- 2022년 12월 16일 (금) 01:43 Aspere 토론 기여님이 분류:1729년 과학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시간 분류 둘러보기}} 과학 분류:18세기 과학) 태그: 2017 원본 편집
- 2022년 12월 16일 (금) 01:41 Aspere 토론 기여님이 분류토론:1729년 발견한 천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천문학 프로젝트|품질=기타|중요도=기타}}) 태그: 2017 원본 편집
- 2022년 12월 16일 (금) 01:41 Aspere 토론 기여님이 분류:1729년 발견한 천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시간 분류 둘러보기}} 분류:발견 연도별 천체 천체) 태그: 2017 원본 편집
- 2022년 12월 16일 (금) 01:40 Aspere 토론 기여님이 토론:1729년의 혜성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천문학 프로젝트}} {{번역된 문서|en|Comet of 1729|1063018381}}) 태그: 2017 원본 편집
- 2022년 12월 16일 (금) 01:38 Aspere 토론 기여님이 1729년의 혜성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혜성 정보 | 이름 = 1729년의 혜성 | 공식 이름 = C/1729 P1 | 그림 = Comete of 1729.jpg | 그림설명 = 자크 카시니가 1729년의 혜성의 천구 상 움직임을 그린 그림. | 발견자 = 니콜라스 사라바트 | 발견일 = 1729년 8월 1일 | 로마자이름 = Comet of 1729 | 다른 이름 = 사라바트 혜성<br><small>Comet Sarabat</small> | 역기점 = 2352731.148 (1729년 6월 16일) | 근일점 = 4.05054 AU<re...) 태그: 2017 원본 편집 동음이의 링크
- 2022년 12월 16일 (금) 01:07 Aspere 토론 기여님이 혜성 핵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혜성의 핵 문서로 넘겨주기) 태그: 새 넘겨주기 2017 원본 편집
- 2022년 12월 16일 (금) 01:06 Aspere 토론 기여님이 토론:혜성의 핵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천문학 프로젝트}} {{번역된 문서|en|Comet nucleus|1124207941}}) 태그: 2017 원본 편집
- 2022년 12월 16일 (금) 01:06 Aspere 토론 기여님이 초안:혜성의 핵 문서를 혜성의 핵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태그: 동음이의 링크
- 2022년 12월 15일 (목) 04:25 Aspere 토론 기여님이 초안:혜성의 핵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right|thumb|[[템펠 1 혜성의 핵.]] The '''nucleus''' is the solid, central part of a comet, once termed a ''dirty snowball'' or an ''icy dirtball''. A cometary nucleus is composed of rock, dust, and frozen gases. When heated by the Sun, the gases sublime and produce an atmosphere surrounding the nucleus known as the coma. The force exerted on the coma by t...) 태그: 2017 원본 편집 동음이의 링크
- 2022년 12월 15일 (목) 04:19 Aspere 토론 기여님이 틀:ArXiv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arXiv:[https://arxiv.org/abs/<!-- -->{{#if:{{{archive|{{{2|}}}}}}<!-- -->|{{{archive|{{{1}}}}}}/{{{id|{{{2}}}}}}<!-- -->|{{{id|{{{1}}}}}}<!-- -->}} {{#if:{{{archive|{{{2|}}}}}}<!-- -->|{{{archive|{{{1}}}}}}/{{{id|{{{2}}}}}}<!-- -->|{{{id|{{{1}}}}}}<!-- -->}}]<!-- -->{{#if:{{{archive|{{{2|}}}}}}|{{#if:{{Arxiv/archive}}}}}}<noinclude> 분류:외부 링크 틀 분류:수학 출처 틀 </noinclude>) 태그: 2017 원본 편집
- 2022년 12월 15일 (목) 04:17 Aspere 토론 기여님이 은하 기조력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은하 조석 문서로 넘겨주기) 태그: 새 넘겨주기 2017 원본 편집
- 2022년 12월 15일 (목) 04:17 Aspere 토론 기여님이 은하 조석력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은하 조석 문서로 넘겨주기) 태그: 새 넘겨주기 2017 원본 편집
- 2022년 12월 15일 (목) 04:16 Aspere 토론 기여님이 은하조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은하 조석 문서로 넘겨주기) 태그: 새 넘겨주기 2017 원본 편집
- 2022년 12월 15일 (목) 04:16 Aspere 토론 기여님이 토론:은하 조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천문학 프로젝트}} {{번역된 문서|en|Galactic tide|1103546140}}) 태그: 2017 원본 편집
- 2022년 12월 15일 (목) 04:15 Aspere 토론 기여님이 초안:은하 조석 문서를 은하 조석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2년 12월 15일 (목) 02:52 Aspere 토론 기여님이 초안:은하 조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thumb|300 px|[[생쥐 은하.]] '''은하 조석'''({{lang|en|Galactic tide}})은 은하의 중력장에 의해 발생하는 조석력의 일종으로, 주요 효과로는 상호작용은하, 왜소은하나 위성은하의 분해, 오르트 구름의 섭동 (천문학) 등이 있다. == 외부 은하 == {{main|상호작용은하}} === 은하 간의 충돌 === thumb|200 px|[[더듬이 은하...) 태그: 2017 원본 편집 동음이의 링크
- 2022년 12월 15일 (목) 02:35 Aspere 토론 기여님이 토론:맹크스 혜성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천문학 프로젝트}} {{번역된 문서|en|Manx comet|1030842227}}) 태그: 2017 원본 편집
- 2022년 12월 15일 (목) 02:34 Aspere 토론 기여님이 맹크스 혜성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맹크스 혜성'''({{lang|en|Manx comet}})은 궤도 모양은 장주기 혜성과 비슷하나, 물리적 성질은 내태양계 소행성과 비슷하게 꼬리가 거의 없다시피한 혜성을 가리킨다.<ref>{{cite news |url=https://earthsky.org/space/orbit-like-a-comet-rocky-like-an-asteroid-c2014-s3-panstarrs|title=Orbit like a comet, rocky like an asteroid |work=earthsky.org |date=3 May 2016}}</ref> 이름은 꼬리가 없는 고양이인 [[맹크스]...) 태그: 2017 원본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