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경선(咸鏡線)은 함경남도 원산시원산역함경북도 종성군에 있는 상삼봉역(현재는 온성군에 있음.)을 연결하던 철도 노선으로, 그 길이는 664.0km였다. 1914년 원산역-영흥역 구간이 착공되었고 1928년 완공되었다. 현재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의해 원산역-고원역 구간은 구경원선과 합쳐져서 강원선으로 되었고, 고원역~청진역 구간은 평원선과 합쳐져서 평라선에 편입되었다. 그리고 청진역~상삼봉역 구간은 현재 함북선에 포함되어 있다.

창평역 일대의 선로 부설 공사

연혁 편집

  • 1914년 10월 1일: 원산역~문천역 구간 착공.[1]
  • 1916년 9월 21일: 문천역~영흥역 34.4km 구간 개통.
  • 1916년 11월 5일: 청진역(청진청년역)~창평역 55.7km 구간 개통.
  • 1917년 9월 16일: 창평역~풍산역 13.4km 구간 개통.
  • 1917년 11월 25일: 풍산역~회령역 24.7km 구간 개통.
  • 1919년 12월 10일: 나남역~수성역 14.9km 구간 개통.(현재의 강덕선 구간 포함)
  • 1919년 12월 15일: 영흥역~함흥역 69.5km 구간 개통.
  • 1920년 11월 11일: 주을역(경성역)~나남역 21.0km 구간 개통.
  • 1922년 12월 1일: 함흥역~서호진역(서호역) 18.0km 구간 개통.
  • 1923년 9월 25일: 서호진역~퇴조역(락원역) 18.4km 구간 개통.
  • 1924년 10월 11일: 퇴조역~양화역, 단천역(단천청년역)~길주역(길주청년역), 수남역[2]~주을역 구간 개통.[3]
  • 1925년 11월 1일: 양화역~속후역 구간(14.1km) 개통. 석막역 개업.
  • 1926년 11월 11일: 속후역~신북청역 8.9km 구간 개통.
  • 1926년 12월 1일: 극동역~수남역 구간 개통.
  • 1927년 6월 10일: 용담역 개업.
  • 1927년 8월 1일: 용동역~극동역 8.1km 구간 개통.
  • 1927년 12월 1일: 신북청역~반송역(盤松驛)[4], 군선역(리원역)~단천역, 길주역~용동역 구간 개통.
  • 1927년 12월 21일: 문봉역 개업.
  • 1928년 8월 31일: 반송역(盤松驛) 폐지.[5]
  • 1928년 9월 1일: 거산역~군선역(리원역) 26.1km 구간의 개통으로 전구간 개통. 원산역~회령역 구간은 '함경본선'(咸鏡本線)으로, 청진역~수성역 구간은 '청진선'(淸津線)으로 개명됨.[5]
  • 1929년 6월 15일: 상룡전역(상룡반역) 개업.
  • 1930년 4월 1일: 영업거리 단위를 마일에서 킬로미터로 개정.[6]
  • 1931년 6월 15일: 만춘역 개업.[7]
  • 1931년 9월 10일: 영안역(삼향역) 개업.
  • 1931년 12월 26일: 흥남본정역(일본어: 興南本町驛) 개업(원산역 기점 135.9km 지점).
  • 1933년 10월 1일: 본선 중 수성역~회령역 구간, 청진선, 회령탄광선, 도문선남만주철도에 의하여 위탁경영됨.
  • 1935년 5월 1일: 범포역 개업.
  • 1935년 11월 1일: 용평역을 어대진역으로 개명함.[8]
  • 1937년 1월 1일: 송단역을 이원역으로 개명함.[9]
  • 1937년 5월 16일: 의호역을 원산역 방향으로 1.9km 이전함.[10]
  • 1937년 8월 1일: 의호역을 강상리역으로 개명함.[11]
  • 1939년 8월 16일: 학중역(송상역) 개업.[12]
  • 1939년 9월 16일: 현흥역, 마전역 개업.[13]
  • 1939년 11월 1일: 세포리역, 온수평역 개업.[14]
  • 1940년 9월 30일: 흥남본정역 폐지.[15]
  • 1940년 10월 1일: 도문선구간 중 회령역~상삼봉역 구간이 본선에 편입됨.
  • 1941년 4월 16일: 신성진역(장평역) 개업.[16]
  • 1941년 12월 1일: 나남역~청진역 구간 개통. 이에 따라 기존구간인 나남역~수성역 구간은 강덕선으로 분리됨.[17]
  • 1942년 2월 1일: 선로의 개축공사가 완료되어 본선의 청진역~창평역 구간의 영업거리가 변경됨. 이에 따라 청진역~수성역 구간의 거리가 9.0km에서 7.8km로 축소됨.[18]
  • 1942년 2월 16일: 대덕역 개업.[19]
  • 1945년 2월 1일: 중호역 개업.[20]

역목록(1945년 7월 기준) 편집

역이름 현재의 역이름 영업거리
(km)
접속노선 소재지
(1945년 당시)
원산(元山) 0.0 경원선(강원선일부) 함경남도 원산부
덕원(德源) 세길(―) 5.5 문천군 덕원면
문평(文坪) 문천(文川) 12.6 북성면
문천(文川) 옥평(玉坪) 20.0 조선무연탄주식회사철도(문천항선) 문천면
용담(龍潭) 룡담 29.9 천내리선(천내선) 천내읍
전탄(箭灘) 34.5 고원군 상산면
고원(高原) 42.0 평원선(평라선일부) 고원읍
현흥(玄興) 47.0 군내면
영흥(永興) 금야(金野) 54.4 영흥군 영흥읍
마장(馬場) 인흥(仁興) 62.8 덕흥면
범포(范浦) 70.1 인흥면
왕장(旺場) 77.7
문봉(文峰) 82.5 정평군 문산면
신상(新上) 87.0 신상면
부평(富坪) 93.8 광덕면
정평(定平) 103.5 정평면
함남흥상(咸南興上) 함주(咸州) 111.7 함주군 주지면
함흥(咸興) 123.9 신흥철도 장진선(신흥선 일부) 함흥부
본궁(本宮) 창흥(昌興) 132.7 흥남부
흥남(興南) 139.3
서호진(西湖津) 서호(西湖) 141.9 신흥철도 흥남선(신흥선 지선)
마전(麻田) 146.4
여호(呂湖) 려호 156.1 함주군 퇴조면
퇴조(退潮) 락원(樂園) 160.3
세포리(細浦里) 165.6 홍원군 보청면
삼호(三湖) 173.4 삼호면
용운(龍雲) 룡운 181.5 홍원읍
전진(前津) 홍원(洪原) 186.5
경포(景浦) 192.5 경운면
운포(雲浦) 199.9
중호(中湖) 203.5 용원면
영무(靈武) 풍어(豊漁) 205.8
신포(新浦) 212.3 북청군 신포읍
양화(陽化) 218.3 양화면
강상리(江上里) 225.4 속후면
속후(俗厚) 232.4
신북청(新北靑) 241.3 북청선(덕성선) 신북청면
신창(新昌) 경안(景安) 246.7 신창읍
거산(居山) 254.9 거산면
건자(乾自) 260.0
나흥(羅興) 라흥 263.8 이원철산선(리원선) 이원군 남송면
증산(曾山) 267.1 차호선(리원선)
염분(鹽盆) 273.9
이원(利原) 송단(松端) 277.3
군선(群仙) 리원(利原) 281.0 동면
쌍암(雙巖) 286.4
곡구(谷口) 291.4
기암(奇巖) 296.3 단천군 복귀면
용강(龍崗) 신단천(新端川) 302.2
오몽리(五夢里) 307.8
단천(端川) 단천청년(端川靑年) 312.5 단풍철도(단풍선) 단천읍
여해진(汝海津) 321.1 조선마그네사이트개발철도(금골선) 이중면
용대(龍臺) 룡대 328.3 함경북도 학성군 학남면
일신(日新) 335.1
만춘(晩春) 342.8
쌍룡(雙龍) 348.5 성진부
성진(城津) 김책(金策) 354.9
신성진(新城津) 장평(長坪) 361.2
농성(農城) 학성(鶴城) 363.9 학성군 학상면
학중(鶴中) 송상(松上) 368.3 학중면
업억(業億) 375.7 학서면
원평(院坪) 381.6
노동(蘆洞) 로동 389.6 길주군 덕산면
길주(吉州) 길주청년(吉州靑年) 397.2 혜산선(백두산청년선) 길주읍
금송(金松) 404.8
온수평(溫水坪) 408.8
고참(古站) 명천(明川) 414.9 명천군 아간면
내포(內浦) 423.6
명천(明川) 룡반(龍蟠) 428.1 상우북면
상룡전(上龍田) 432.1 하우면
용동(龍洞) 룡동 436.6 서면
영안(永安) 삼향(三鄕) 441.4
극동(極洞) 444.7 동면
조막산(造幕山) 451.2
봉강(鳳岡) 462.0 경성군 어랑면
어대진(漁大津) 470.8
회문(會文) 어랑(漁郞) 480.1 주북면
용현(龍峴) 룡현 489.7 주을읍
주을(朱乙) 경성(鏡城) 496.9
생기령(生氣嶺) 501.5
경성(鏡城) 승암(勝巖) 509.6 경성면
나남(羅南) 라남 517.9 강덕선 청진부
청진서항(淸津西港) 송평(松坪) 525.9
청진어항(淸津漁港) 수남(水南) 528.3
청진(淸津) 청진청년(淸津靑年) 531.0
수성(輸城) 538.8 강덕선
석막(石幕) 544.4 부령군 석막면
장흥(章興) 552.2
부령(富寧) 566.7 부령면
고무산(古茂山) 573.0 무산선 서상면
창평(蒼坪) 585.5
전거리(全巨里) 592.8 회령군 창두면
풍산(豊山) 598.9
중도(中島) 610.5 벽성면
대덕(大德) 616.5
회령(會寧) 회령청년(會寧靑年) 623.6 회령탄광선 회령읍
금생(金生) 627.3 팔을면
고령진(高嶺鎭) 633.0 화풍면
학포(鶴浦) 641.3 종성군 남산면
신전(新田) 650.7
간평(間坪) 657.1
상삼봉(上三峰) 삼봉(三峰) 664.0 만주철도 북선서부선(함북선 일부)[21]

만주국철 조개선(朝開線) [22]

  • 장흥역과 상삼봉역(삼봉역) 구간의 거리는 1937년도 자료에 의거하여 작성함.

각주 및 참고 문헌 편집

  1. 조선총독부관보 大正 881호, 1914년 10월 1일자
  2. 봉강역으로 추정됨.
  3. “運輸營業開始”. 《국립중앙도서관》. 조선총독부관보 제3642호. 1924년 10월 3일. 20쪽. 2021년 1월 4일에 확인함. 
  4. 거산역과 건자역 사이에 존재했다.
  5. 조선총독부관보 昭和 제486호, 1928년 8월 10일자
  6. “조선총독부 고시 제70호”. 《국립중앙도서관》. 조선총독부관보 제943호. 1930년 2월 26일. 279-285쪽. 2021년 1월 4일에 확인함. 
  7. “조선총독부 고시 제303호”. 《국립중앙도서관》. 조선총독부관보 제319호. 1931년 6월 1일. 1쪽. 2021년 1월 4일에 확인함. 
  8. 조선총독부관보 昭和 제2631호, 1935년 10월 19일자
  9. 조선총독부관보 昭和 제2980호, 1936년 12월 18일자
  10. 조선총독부관보 昭和 제3095호, 1937년 5월 13일자
  11. 조선총독부관보 昭和 제3142호, 1937년 7월 7일자
  12. 조선총독부관보 昭和 제3769호, 1939년 8월 12일자
  13. 조선총독부관보 昭和 제3788호, 1939년 9월 4일자
  14. 조선총독부관보 昭和 제3825호, 1939년 10월 18일자
  15. 조선총독부관보 昭和 제4082호, 1940년 8월 18일자
  16. 조선총독부관보 昭和 제4261호, 1941년 4월 9일자
  17. 조선총독부관보 昭和 제4449호, 1941년 11월 22일자
  18. 조선총독부관보 昭和 제4479호, 1941년 12월 29일자
  19. 조선총독부관보 昭和 제4508호, 1942년 2월 7일자
  20. 조선총독부관보 昭和 제5394호, 1945년 1월 31일자
  21. 상삼봉역과 남양역을 연결했던 철도노선. 상세한 것은 남만주 철도 문서를 참조할 것.
  22. 중국의 朝陽川驛과 상삼봉역을 연결했던 철도노선. 상세한 것은 일본어판 남만주 철도 문서를 참조할 것.
  • 고쿠부 하야토(国分隼人), 《将軍様の鉄道 北朝鮮鉄道事情》, 新潮社, 2007, ISBN 978-4-10-303731-6
  • 鉄道省 編, 《鉄道停車場一覧. 昭和12年10月1日現在》, 1937, p498~500, 504~505
  • 한국철도공사, 《철도주요연표 2010》,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