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선
강원선(江原線)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철도 노선이다.
강원선 | |
---|---|
![]() 강원선의 위치 | |
기본 정보 | |
운행 국가 | ![]() |
종류 | 간선철도 |
상태 | 영업 중 |
기점 | 고원역 (함경남도 고원군) |
종점 | 평강역 (강원도 평강군) |
역 수 | 23개 |
노선 제원 | |
영업 거리 | 145.8km |
궤간 | 1,435 mm |
선로 수 | 단선 |
전철화 | 전 구간(직류 3000V) |
강원선(고원역-월정리역) | ||||||||||||||||||||||||||||||||||||||||||||||||||||||||||||||||||||||||||||||||||||||||||||||||||||||||||||||||||||||||||||||||||||||||||||||||||||||||||||||||||||||||||||||||||||||||||||||||||||||||||||||||||||||||||||
---|---|---|---|---|---|---|---|---|---|---|---|---|---|---|---|---|---|---|---|---|---|---|---|---|---|---|---|---|---|---|---|---|---|---|---|---|---|---|---|---|---|---|---|---|---|---|---|---|---|---|---|---|---|---|---|---|---|---|---|---|---|---|---|---|---|---|---|---|---|---|---|---|---|---|---|---|---|---|---|---|---|---|---|---|---|---|---|---|---|---|---|---|---|---|---|---|---|---|---|---|---|---|---|---|---|---|---|---|---|---|---|---|---|---|---|---|---|---|---|---|---|---|---|---|---|---|---|---|---|---|---|---|---|---|---|---|---|---|---|---|---|---|---|---|---|---|---|---|---|---|---|---|---|---|---|---|---|---|---|---|---|---|---|---|---|---|---|---|---|---|---|---|---|---|---|---|---|---|---|---|---|---|---|---|---|---|---|---|---|---|---|---|---|---|---|---|---|---|---|---|---|---|---|---|---|---|---|---|---|---|---|---|---|---|---|---|---|---|---|---|
| ||||||||||||||||||||||||||||||||||||||||||||||||||||||||||||||||||||||||||||||||||||||||||||||||||||||||||||||||||||||||||||||||||||||||||||||||||||||||||||||||||||||||||||||||||||||||||||||||||||||||||||||||||||||||||||
|

개요편집
현재의 구간은 1913년 7월 10일에 경원선 철원~복계 구간의 개통을 시작으로 하여 1916년 7월 21일에 함경선 문천~영흥 구간의 개통으로 완성되었다. 분단 이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철도 노선명을 재편하면서 함경선(원산~상삼봉)을 분할하여 원산~고원 구간을 경원선의 자국측 구간과 합하여 강원선으로 이름지었다. 참고로 함경선의 잔여 구간 중에서 고원~청진간은 평라선에, 청진~상삼봉간은 함북선에 편입되었다.경원선과도 연결될 예정이다.
본 노선은 한국 내에서 최초로 전철화된 구간인 복계~고산간이 포함된 노선으로, 해당 구간에서 활약한 데로형 전기 기관차도 대부분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승계 사용되었다. 참고로 북한의 철도 노선은 해당 구간의 전철화 방식인 직류 3kV를 그대로 답습하여 전국의 철도 노선의 80%가 직류 3kV로 전철화되어 있다.
노선 정보편집
- 구간과 거리 : 고원역~평강역 145.8km
- 역 수 : 23개(기종점역 포함)
- 궤도 간격 : 1435mm(표준궤)
- 복선 구간 : 없음
- 전철화 구간 : 전 구간(직류 3000V)
운행 계통편집
1980년대의 자료[1]에 의하면 전 구간을 운행하는 열차로는 평양~평강을 오가는 열차가 있었고 사리원~함흥을 오가는 청년이천선 열차도 이 노선의 세포~고원 구간을 운행하였다고 한다. 한편 1997년 금강산청년선이 개통됨에 따라 금강산청년선 열차도 이 노선의 안변~고원 구간을 운행할 가능성이 있다.
역목록편집
고원 - 평강편집
역명 | 로마자 역명 | 한자 역명 | 접속 노선 |
---|---|---|---|
고원 | Kowŏn | 高原 | 평라선 |
전탄 | Ryongdam | 前灘 | |
룡담 | Susŏng | 龍潭 | 천내선 |
옥평 | Okp'yŏng | 玉坪 | 문천항선 |
문천 | Munch'ŏn | 文川 | |
세길 | Segil | ||
원산 | Wŏnsan | 元山 | 송도원선 |
갈마 | Kalma | 葛麻 | 원산항선 |
배화 | Paehwa | 培花 | |
안변 | Anbyŏn | 安邊 | 금강산청년선 |
남산 | Namsan | 南山 | |
광명 | Kwangmyŏng | 光明 | |
룡지원 | Ryongjiwŏn | 龍池院 | |
고산 | Kosan | 高山 | |
동가리 | Tongga-ri | 董家里 | |
락천 | Rakch'ŏn | 落川 | |
삼방 | Sambang | 三防 | |
세포청년 | Sep'o Ch'ŏngnyŏn | 洗浦靑年 | 청년이천선 |
성산 | Sŏngsan | 城山 | |
검불랑 | Kŏmbullang | 劍拂浪 | |
리목 | Rimok | 梨木 | |
복계 | Pokkye | 福溪 | |
평강 | P'yŏnggang | 平康 |
평강 - 백마고지편집
역명 | 로마자 역명 | 한자 역명 | 접속 노선 |
---|---|---|---|
평강 | P'yŏnggang | 平康 | |
MDL 구간 | |||
대한민국 관할 구간 | |||
백마고지 | Baengmagoji | 白馬高地 | 경원선 |
각주 및 참고 문헌편집
- 고쿠부 하야토(国分隼人), 《将軍様の鉄道 北朝鮮鉄道事情》, 新潮社, 2007, ISBN 978-4-10-303731-6
- 鉄道省 編, 《鉄道停車場一覧. 昭和12年10月1日現在》, 1937, p495〜496
- 한국철도공사, 《철도주요연표 2010》, 2010
외부 링크편집
- (일본어) 京元線 福渓-高山間の分水嶺越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