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와이 귀고리

일반위상수학에서 하와이 귀고리(Hawaiʻi-, 영어: Hawaiian earring)는 여러 특이한 성질들을 보이는 위상 공간이다.

하와이 귀고리

정의 편집

하와이 귀고리는 유클리드 평면 속의 다음과 같은 부분 공간이다.

 

하와이 귀고리는 유클리드 평면의 부분 공간이므로, 거리 공간 구조를 갖는다.

이는  알렉산드로프 콤팩트화위상 동형이다.

성질 편집

하와이 귀고리는 다음 성질들을 가진다.

하와이 귀고리는 가산 무한 개의 들의 쐐기합위상 동형이 아니다. (후자는 콤팩트 공간이 아니며 CW 복합체이다.)

하와이 귀고리의 기본군  은 다음과 같은 성질을 갖는다.

  • 비가산군이다.
  • 자유군이 아니다. 그러나 가산 무한 집합 위의 자유군을 고유 부분군으로 갖는다.
  •  정규 부분군  이 존재한다. 몫군  베어-슈페커 군(영어: Baer–Specker group)이라고 하며, 무한 순환군의 가산 무한 개의 직접곱이다 (직합이 아니다).

참고 문헌 편집

  • Steen, Lynn Arthur; Seebach, J. Arthur, Jr. (1978). 《Counterexamples in topology》 (영어) 2판. Springer. doi:10.1007/978-1-4612-6290-9. ISBN 978-0-387-90312-5. MR 507446. Zbl 0386.54001. 
  • Cannon, J. W.; Conner, G. R. (2000). “The big fundamental group, big Hawaiian earrings, and the big free groups”. 《Topology and its Applications》 (영어) 106 (3): 273–291. doi:10.1016/S0166-8641(99)00104-2. 
  • Conner, G.; Spencer, K. (2005). “Anomalous behavior of the Hawaiian earring group”. 《Journal of Group Theory》 (영어) 8 (2): 223–227. doi:10.1515/jgth.2005.8.2.223. 
  • Cannon, J. W.; Conner, G. R. (2000). “The combinatorial structure of the Hawaiian earring group” (PDF). 《Topology and its Applications》 (영어) 106 (3): 225–271. MR 1775709. 2003년 8월 24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월 11일에 확인함. 
  • Eda, Katsuya (2002). “The fundamental groups of one-dimensional wild spaces and the Hawaiian earring”. 《Proceedings of the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영어) 130 (5): 1515–1522. doi:10.1090/S0002-9939-01-06431-0. 
  • Eda, Katsuya; Kawamura, Kazuhiro (2000). “The singular homology of the Hawaiian earring”. 《Journal of the London Mathematical Society》 (영어) 62 (1): 305–310. doi:10.1112/S0024610700001071. 
  • Fabel, P. (2005). “The topological Hawaiian earring group does not embed in the inverse limit of free groups”. 《Algebraic & Geometric Topology》 (영어) 5: 1585–1587. arXiv:math/0501482. doi:10.2140/agt.2005.5.1585. 
  • Morgan, J. W.; Morrison, I. (1986). “A van Kampen theorem for weak joins”. 《Proceedings of the London Mathematical Society》 (영어) 53 (3): 562–576. doi:10.1112/plms/s3-53.3.562.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