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드록시진

1세대 항히스타민제

히드록시진(하이드록시진, hydroxyzine)은 아타락스(Atarax), 비스타릴(Vistaril) 등의 상품명으로 판매되는 항히스타민제이다.[5] 가려움증, 불면증, 불안, (멀미로 인한 것을 포함한) 구역질 등의 치료에 사용한다.[5] 경구근육 주사 제형이 있다.[5]

히드록시진
체계적 명칭 (IUPAC 명명법)
(±)-2-(2-{4-[(4-chlorophenyl)-phenylmethyl]piperazin-1-yl}ethoxy)ethanol
식별 정보
CAS 등록번호 68-88-2 10246-75-0 (pamoate)
ATC 코드 N05BB01 N05BB51
PubChem 3658
드러그뱅크 DB00557
ChemSpider 3531
화학적 성질
화학식 C21H27ClN2O2 
분자량 ?
유의어 UCB-4492
약동학 정보
생체적합성 높음
단백질 결합 93%
동등생물의약품 ?
약물 대사
생물학적 반감기 성인: 20.0시간[1][2]
노인: 29.3시간[3]
유아: 7.1시간[1]
배출 소변, 대변
처방 주의사항
허가 정보

US Daily Med:바로가기

임부투여안전성 ?
법적 상태
  • AU: S4 (처방전 필요)
  • CA: ℞-only
  • UK: POM (Prescription only)
  • US: ℞-only
  • EU: Rx-only
  • In general: ℞ (Prescription only)
중독 경향 없음[4]
투여 방법 경구 투여, 근육 주사

흔한 부작용에는 졸림, 두통, 구강건조증이 있다.[5][6] 심각한 부작용에는 심전도상의 QT 연장 등이 있을 수 있다.[6] 임신이나 수유 중 사용이 안전한지는 불명확하다.[5] 히드록시진은 히스타민 작용을 차단해 작용한다.[6] 화학적으로는 피페라진 계열에 속하며 약리학적으로는 1세대 항히스타민제이다.[5][7]

1956년 UCB가 처음 합성했으며, 그해 말 미국에서 화이자가 판매 승인을 받았다.[5][8] 2021년 기준으로 미국에서 한 해 동안 1,100만 건 이상 처방되어, 가장 많이 처방된 약물 58위에 올랐다.[9][10]

의학적 사용

편집

히드록시진은 가려움증, 불안, 멀미로 인한 구역질 치료에 쓰인다.[5] 보다 구체적으로는 수술 후 신경증에서 나타나는 불안, 그리고 습진이나 피부염 등으로 인한 가려움증이 그 적응증이다.[11]

체계적 문헌고찰 연구에서는 플라시보군에 비해 히드록시진이 범불안장애 치료에 효과가 있다고 보고했다. 벤조디아제핀이나 부스피론과의 효과 비교에 관한 자료는 충분치 않았다.[12]

진정제로서 예비투약 시, 아트로핀 등의 트로판 알칼로이드 등에는 효과가 없다. 그러나 메피리딘(페티딘)이나 바르비투르산 같은 약제로 전신마취를 한 이후, 혹은 마취 전 보조요법으로는 환자 개인의 상태에 따라 사용 가능하다.[13]

각주

편집
  1. Paton DM, Webster DR (1985). “Clinical pharmacokinetics of H1-receptor antagonists (the antihistamines)”. 《Clinical Pharmacokinetics》 10 (6): 477–497. doi:10.2165/00003088-198510060-00002. PMID 2866055. S2CID 33541001. 
  2. Simons FE, Simons KJ, Frith EM (January 1984). “The pharmacokinetics and antihistaminic of the H1 receptor antagonist hydroxyzine”. 《The Journal of Allergy and Clinical Immunology》 73 (1 Pt 1): 69–75. doi:10.1016/0091-6749(84)90486-x. PMID 6141198. 
  3. Simons KJ, Watson WT, Chen XY, Simons FE (January 1989). “Pharmacokinetic and pharmacodynamic studies of the H1-receptor antagonist hydroxyzine in the elderly”. 《Clinical Pharmacology and Therapeutics》 45 (1): 9–14. doi:10.1038/clpt.1989.2. PMID 2562944. S2CID 24571876. 
  4. Hubbard JR, Martin PR (2001). 《Substance Abuse in the Mentally and Physically Disabled》. CRC Press. 26쪽. ISBN 9780824744977. 
  5. “Hydroxyzine Hydrochloride Monograph for Professionals”. 《Drugs.com》. American Society of Health-System Pharmacists. 2018년 11월 21일에 확인함. 
  6. 《British national formulary : BNF 74》 74판. British Medical Association. 2017. X쪽. ISBN 978-0857112989. 
  7. “Hydroxyzine”. United State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NLM). 2020년 3월 4일에 확인함. 
  8. Shorter E (2009). 《Before Prozac: the troubled history of mood disorders in psychiatry》. Oxford [Oxfordshire]: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5368741. 
  9. “The Top 300 of 2021”. 《ClinCalc》. 2024년 1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4년 1월 14일에 확인함. 
  10. “Hydroxyzine - Drug Usage Statistics”. 《ClinCalc》. 2024년 1월 14일에 확인함. 
  11. “아디팜정”. 《약학정보원》. 2024년 5월 30일에 확인함. 
  12. Guaiana G, Barbui C, Cipriani A (December 2010). “Hydroxyzine for generalised anxiety disorder”. 《The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12): CD006815. doi:10.1002/14651858.CD006815.pub2. PMID 21154375. 
  13. United States Food & Drug Administration, (2004), p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