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체론 에서 힐베르트 기호 (영어 : Hilbert symbol )는 국소체 의 0이 아닌 원소에 대하여 정의된 르장드르 기호 의 일반화이다. 이를 사용하여, 이차 상호 법칙 을 모든 위치에 대칭적인 형태로 적을 수 있는데, 이를 힐베르트 상호 법칙 (영어 : Hilbert reciprocity law )이라고 한다.
p
∈
{
∞
,
2
,
3
,
5
,
7
,
…
}
{\displaystyle {\mathfrak {p}}\in \{\infty ,2,3,5,7,\dots \}}
가 유리수체 의 자리 라고 하자. 즉,
Q
p
=
{
R
p
=
∞
Q
p
p
=
p
<
∞
{\displaystyle \mathbb {Q} _{\mathfrak {p}}={\begin{cases}\mathbb {R} &{\mathfrak {p}}=\infty \\\mathbb {Q} _{p}&p={\mathfrak {p}}<\infty \end{cases}}}
는 실수체 또는 p진수체 이다. 체
K
{\displaystyle K}
의 가역원군 을
K
×
=
K
∖
{
0
}
{\displaystyle K^{\times }=K\setminus \{0\}}
라고 하자. 그렇다면, 유리수체의
p
{\displaystyle {\mathfrak {p}}}
에서의 힐베르트 기호 는 다음과 같은 함수 이다.
(
−
,
−
p
)
:
Q
p
×
×
Q
p
×
→
{
−
1
,
+
1
}
{\displaystyle \left({\frac {-,-}{\mathfrak {p}}}\right)\colon \mathbb {Q} _{\mathfrak {p}}^{\times }\times \mathbb {Q} _{\mathfrak {p}}^{\times }\to \{-1,+1\}}
(
a
,
b
p
)
=
{
1
∃
(
x
,
y
,
z
)
∈
Q
p
3
:
z
2
=
a
x
2
+
b
y
2
−
1
∄
(
x
,
y
,
z
)
∈
Q
p
3
:
z
2
=
a
x
2
+
b
y
2
{\displaystyle \left({\frac {a,b}{\mathfrak {p}}}\right)={\begin{cases}1&\exists (x,y,z)\in \mathbb {Q} _{\mathfrak {p}}^{3}\colon z^{2}=ax^{2}+by^{2}\\-1&\nexists (x,y,z)\in \mathbb {Q} _{\mathfrak {p}}^{3}\colon z^{2}=ax^{2}+by^{2}\end{cases}}}
위의 힐베르트 기호는 유리수체 의 자리에 대한 것이며, 이를 임의의 대수적 수체 에 대하여 일반화할 수 있다.
대수적 수체
K
{\displaystyle K}
의 자리
p
{\displaystyle {\mathfrak {p}}}
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함수를 힐베르트 기호 라고 한다.[ 1] :201, §II.7.3.1 [ 2] :333, Proposition V.3.1
(
−
,
−
p
)
:
K
p
×
×
K
p
×
→
μ
(
K
×
)
{\displaystyle \left({\frac {-,-}{\mathfrak {p}}}\right)\colon K_{\mathfrak {p}}^{\times }\times K_{\mathfrak {p}}^{\times }\to \mu (K^{\times })}
(
a
,
b
p
)
=
(
K
p
(
a
m
)
/
K
p
b
)
a
m
a
m
{\displaystyle \left({\frac {a,b}{\mathfrak {p}}}\right)={\frac {({\frac {K_{\mathfrak {p}}({\sqrt[{m}]{a}})/K_{\mathfrak {p}}}{b}}){\sqrt[{m}]{a}}}{\sqrt[{m}]{a}}}}
여기서
K
p
{\displaystyle K_{\mathfrak {p}}}
는 자리
p
{\displaystyle {\mathfrak {p}}}
에서의 국소체 이다.
μ
(
K
×
)
⊆
K
{\displaystyle \mu (K^{\times })\subseteq K}
는
K
{\displaystyle K}
에 포함된 1의 거듭제곱근 들로 구성된 아벨 군 이다.
m
=
|
μ
(
K
)
|
{\displaystyle m=|\mu (K)|}
는
K
{\displaystyle K}
에 포함된 1의 거듭제곱근 의 수이다.
(
K
p
(
a
m
)
/
K
p
b
)
∈
Gal
(
K
p
(
a
m
)
/
K
p
)
{\displaystyle ({\tfrac {K_{\mathfrak {p}}({\sqrt[{m}]{a}})/K_{\mathfrak {p}}}{b}})\in \operatorname {Gal} (K_{\mathfrak {p}}({\sqrt[{m}]{a}})/K_{\mathfrak {p}})}
는 원분 확대
K
p
(
a
m
)
/
K
p
{\displaystyle K_{\mathfrak {p}}({\sqrt[{m}]{a}})/K_{\mathfrak {p}}}
에 대한 국소 아르틴 기호 이다. 이는 갈루아 군 의 원소이므로 원분 확대체의 원소
a
m
∈
K
p
(
a
m
)
{\displaystyle {\sqrt[{m}]{a}}\in K_{\mathfrak {p}}({\sqrt[{m}]{a}})}
위에 작용 한다.
사실, 힐베르트 기호는
m
{\displaystyle m}
제곱 잉여류에만 의존한다. 즉, 이는 다음과 같은 함수를 정의한다.
(
−
,
−
p
)
:
K
p
×
(
K
p
×
)
m
×
K
p
×
(
K
p
×
)
m
→
μ
(
K
×
)
{\displaystyle \left({\frac {-,-}{\mathfrak {p}}}\right)\colon {\frac {K_{\mathfrak {p}}^{\times }}{(K_{\mathfrak {p}}^{\times })^{m}}}\times {\frac {K_{\mathfrak {p}}^{\times }}{(K_{\mathfrak {p}}^{\times })^{m}}}\to \mu (K^{\times })}
만약
p
{\displaystyle {\mathfrak {p}}}
가 복소수 자리라면 (
K
p
≅
C
{\displaystyle K_{\mathfrak {p}}\cong \mathbb {C} }
),
K
p
(
a
m
)
/
K
p
≅
C
/
C
{\displaystyle K_{\mathfrak {p}}({\sqrt[{m}]{a}})/K_{\mathfrak {p}}\cong \mathbb {C} /\mathbb {C} }
는 자명한 확대 이므로, 그 갈루아 군
Gal
(
K
p
(
a
m
)
/
K
p
)
=
1
{\displaystyle \operatorname {Gal} (K_{\mathfrak {p}}({\sqrt[{m}]{a}})/K_{\mathfrak {p}})=1}
은 자명군 이며, 따라서
(
a
,
b
p
)
=
1
∀
a
,
b
∈
K
p
≅
C
{\displaystyle ({\tfrac {a,b}{\mathfrak {p}}})=1\;\forall a,b\in K_{\mathfrak {p}}\cong \mathbb {C} }
이다.
임의의 대수적 수체
K
{\displaystyle K}
의 자리
p
{\displaystyle {\mathfrak {p}}}
에 대하여, 힐베르트 기호는 다음 성질들을 만족시킨다.[ 1] :195, Proposition II.7.1.1 [ 2] :334, Proposition V.3.2
(
a
,
1
−
a
)
p
=
1
∀
a
∈
K
p
∖
{
0
,
1
}
{\displaystyle (a,1-a)_{\mathfrak {p}}=1\qquad \forall a\in K_{\mathfrak {p}}\setminus \{0,1\}}
(
a
,
−
a
)
p
=
1
∀
a
∈
K
p
×
{\displaystyle (a,-a)_{\mathfrak {p}}=1\qquad \forall a\in K_{\mathfrak {p}}^{\times }}
(
a
,
b
)
p
=
(
b
,
a
)
p
−
1
∀
a
,
b
∈
K
p
×
{\displaystyle (a,b)_{\mathfrak {p}}=(b,a)_{\mathfrak {p}}^{-1}\qquad \forall a,b\in K_{\mathfrak {p}}^{\times }}
(
a
,
b
c
)
p
=
(
a
,
b
)
p
(
a
,
c
)
p
∀
a
,
b
,
c
∈
K
p
×
{\displaystyle (a,bc)_{\mathfrak {p}}=(a,b)_{\mathfrak {p}}(a,c)_{\mathfrak {p}}\qquad \forall a,b,c\in K_{\mathfrak {p}}^{\times }}
(
a
b
,
c
)
p
=
(
a
,
c
)
p
(
b
,
c
)
p
∀
a
,
b
,
c
∈
K
p
×
{\displaystyle (ab,c)_{\mathfrak {p}}=(a,c)_{\mathfrak {p}}(b,c)_{\mathfrak {p}}\qquad \forall a,b,c\in K_{\mathfrak {p}}^{\times }}
실수체 에서는
(
a
,
b
∞
)
=
{
+
1
max
a
,
b
>
0
−
1
max
a
,
b
<
0
{\displaystyle \left({\frac {a,b}{\infty }}\right)={\begin{cases}+1&\max {a,b}>0\\-1&\max {a,b}<0\end{cases}}}
이다.
2진수체 에서,
a
{\displaystyle a}
와
b
{\displaystyle b}
가 정수이고
a
=
2
α
u
{\displaystyle a=2^{\alpha }u}
b
=
2
β
v
{\displaystyle b=2^{\beta }v}
2
∤
u
,
v
{\displaystyle 2\nmid u,v}
라면,
(
a
,
b
2
)
=
(
−
1
)
(
u
−
1
)
(
v
−
1
)
/
4
+
α
(
v
2
−
1
)
/
8
+
β
(
u
2
−
1
)
/
8
{\displaystyle \left({\frac {a,b}{2}}\right)=(-1)^{(u-1)(v-1)/4+\alpha (v^{2}-1)/8+\beta (u^{2}-1)/8}}
이다.
홀수 소수
p
{\displaystyle p}
에 대한
p
{\displaystyle p}
진수체 에서,
a
{\displaystyle a}
와
b
{\displaystyle b}
가 정수이고
a
=
p
α
u
{\displaystyle a=p^{\alpha }u}
b
=
p
β
v
{\displaystyle b=p^{\beta }v}
p
∤
u
,
v
{\displaystyle p\nmid u,v}
라면,
(
a
,
b
p
)
=
(
−
1
)
α
β
(
p
−
1
)
/
2
(
u
p
)
β
(
v
p
)
α
{\displaystyle \left({\frac {a,b}{p}}\right)=(-1)^{\alpha \beta (p-1)/2}\left({\frac {u}{p}}\right)^{\beta }\left({\frac {v}{p}}\right)^{\alpha }}
이다. 여기서
(
a
b
)
{\displaystyle \textstyle ({\frac {a}{b}})}
는 르장드르 기호 이다.
힐베르트 상호 법칙 (Hilbert相互法則, 영어 : Hilbert reciprocity law )에 따르면, 임의의 대수적 수체
K
{\displaystyle K}
의 두 원소
a
,
b
∈
K
{\displaystyle a,b\in K}
에 대하여,
(
a
,
b
p
)
≠
1
{\displaystyle ({\tfrac {a,b}{\mathfrak {p}}})\neq 1}
인 자리
p
{\displaystyle {\mathfrak {p}}}
의 수는 유한하며, 또한
∏
p
(
a
,
b
p
)
=
1
{\displaystyle \prod _{\mathfrak {p}}\left({\frac {a,b}{\mathfrak {p}}}\right)=1}
이다.[ 1] :201, §I.7.3.1 [ 2] :414, Theorem VI.8.1 여기서
∏
p
{\displaystyle \textstyle \prod _{\mathfrak {p}}}
는 모든 자리 에 대한 곱이다.
힐베르트 상호 법칙은 이차 상호 법칙 을 일반화한다. 만약
a
{\displaystyle a}
와
b
{\displaystyle b}
가 서로 다른 양의 홀수 소수 라면, 유리수체 의 국소 힐베르트 기호들을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
a
,
b
∞
)
=
1
{\displaystyle \left({\frac {a,b}{\infty }}\right)=1}
(
a
,
b
2
)
=
(
−
1
)
(
a
−
1
)
(
b
−
1
)
/
4
{\displaystyle \left({\frac {a,b}{2}}\right)=(-1)^{(a-1)(b-1)/4}}
(
a
,
b
p
)
=
1
(
a
≠
p
≠
b
)
{\displaystyle \left({\frac {a,b}{p}}\right)=1\qquad (a\neq p\neq b)}
(
a
,
b
a
)
=
(
b
a
)
{\displaystyle \left({\frac {a,b}{a}}\right)=\left({\frac {b}{a}}\right)}
(
a
,
b
b
)
=
(
a
b
)
{\displaystyle \left({\frac {a,b}{b}}\right)=\left({\frac {a}{b}}\right)}
따라서
∏
p
(
a
,
b
p
)
=
(
−
1
)
(
a
−
1
)
(
b
−
1
)
/
4
(
a
b
)
(
b
a
)
=
1
{\displaystyle \prod _{\mathfrak {p}}\left({\frac {a,b}{\mathfrak {p}}}\right)=(-1)^{(a-1)(b-1)/4}\left({\frac {a}{b}}\right)\left({\frac {b}{a}}\right)=1}
이다.
Vostokov, Sergei V. (2000). 〈I.8 Explicit formulas for the Hilbert symbol〉. 《Invitation to higher local fields》. Geom. Topol. Monogr (영어) 3 . 81–89쪽. arXiv :math/001213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