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2017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영어: 2017 FIFA Confederations Cup, 러시아어: Кубок конфедераций 2017)은 2018년 FIFA 월드컵에 앞서 2017년 6월 17일에서 7월 2일까지 러시아에서 개최된 10번째이자 마지막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이다. 독일이 결승전에서 칠레를 1-0으로 누르고 처음이자 마지막 우승을 차지했다.
Кубок конфедераций 2017 | |
---|---|
대회 개요 | |
개최국 | ![]() |
개최 기간 | 6월 17일 ~ 7월 2일 |
참가국 | 8개국 |
경기장 | 4개 (4개 도시) |
최종 순위 | |
● 우승국 | ![]() |
● 준우승국 | ![]() |
● 3위 | ![]() |
● 4위 | ![]() |
통계 | |
총 경기수 | 16경기 |
득점 총합 | 43골 (경기당 2.69골) |
총 관중수 | 628,304명 (경기당 39,269명) |
최다 득점 선수 | ![]() ![]() ![]() |
최우수 선수 | ![]() |
페어 플레이 | ![]() |
이전 대회 / 다음 대회 | |
← 2013 | |
참가국편집
국가대표팀 | 자격 | 출전 횟수 |
---|---|---|
러시아 | 2018년 FIFA 월드컵 개최국 | 1번째 출전 |
독일 | 2014년 FIFA 월드컵 우승 팀 | 3번째 출전 |
오스트레일리아 | 2015년 AFC 아시안컵 우승 팀 | 4번째 출전 |
칠레 | 2015년 코파 아메리카 우승 팀 | 1번째 출전 |
멕시코 | 2015년 CONCACAF컵 승리 팀 | 7번째 출전 |
뉴질랜드 | 2016년 OFC 네이션스컵 우승 팀 | 4번째 출전 |
포르투갈 | UEFA 유로 2016 우승 팀 | 1번째 출전 |
카메룬 | 2017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우승 팀 | 3번째 출전 |
- 오스트레일리아는 2006년 아시아 축구 연맹에 가입한 이후로는 첫 출전 기록이다.
- 2015년 CONCACAF 골드컵 우승국인 멕시코는 2013년 CONCACAF 골드컵 우승국인 미국과의 대결에서 3-2로 승리하여 이 대회에 진출하였다.
- 코트디부아르는 2015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서 우승하였다. 그러나 2017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은 2017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우승 팀에게만 출전권이 주어졌다.
- 칠레는 2015년 코파 아메리카, 2016년 코파 아메리카 센테나리오에서 우승했지만 이 대회에서는 2015년 코파 아메리카 우승 팀 자격으로 참가하였다.
개최 도시 및 경기장편집
다음의 4개 도시에서 경기가 치러진다. 이 경기장들은 모두 2018년 FIFA 월드컵에도 그대로 사용할 예정이다.
상트페테르부르크 | 모스크바 | ||
---|---|---|---|
크레스톱스키 스타디움 | 옷크리티예 아레나 | ||
수용 인원: 66,881명 | 수용 인원: 44,829명 | ||
카잔 | 소치 | ||
카잔 아레나 | 피시트 올림픽 스타디움 | ||
수용 인원: 45,105명 | 수용 인원: 47,659명 | ||
시드 배정편집
시드 배정은 2016년 11월 26일에 카잔의 테니스 아카데미에서 모스크바 시간(UTC+3) 18:00에 열렸다.[1]
8개의 팀들이 2개의 포트에 배정되었다. 포트 1에는 개최국인 러시아와 2016년 11월 FIFA 랭킹 기준으로 상위의 3팀인 독일, 칠레, 포르투갈이 배정되었고,[2] 포트 2에는 나머지 4개의 팀들인 멕시코,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그리고 2017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의 우승팀(시드 배정 당시에 확정되지 않았지만, 2016년 11월 FIFA 랭킹 기준으로 모든 CAF의 소속 팀들이 상위 3개의 팀들보다 랭킹이 낮았다.)이 배정되었다.[3] 2017년 2월 5일에 카메룬이 우승함에 따라서 모든 참가팀이 확정되었다.[4]
8개의 팀들이 포트 1과 포트 2에서 각각 2개의 팀들이 포함된 2개의 조로 배정받았다. A조와 B조가 번갈아가며 추첨되었고, 또 다른 공을 뽑아서 그룹 안의 포지션이 할당되었다. 다만, 러시아는 개최국의 자격으로 자동으로 A조 1번째 자리(A1)에 배정받았다. 이번 대회에서 3개의 유럽 팀들이 출전함에 따라서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역사상 처음으로 같은 대륙의 팀들(러시아와 포르투갈)이 조별 리그에서 만나게 되었다.[5]
포트 1 | 포트 2 |
---|---|
(*) 추첨 당시에는 우승 팀이 결정되지 않았다.
심판진편집
총 9명의 심판들과 대기심 1명, 비디오 판독심 8명이 이 대회를 위해 지명되었다.[6][7] 심판진은 팀당 3명(주심 1명과 부심 2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연맹 | 주심 | 부심 | 대기심 | 비디오 판독심 |
---|---|---|---|---|
AFC (아시아) | 파하드 알미르다시 | 압둘라 알샬라위 모함메드 알아바크리 |
– | 랍샨 이르마토프 |
알리레자 파가니 | 레자 소한단 모함마드레자 만수리 | |||
CAF (아프리카) | 바카리 가사마 | 장-클로드 비루무샤후 마와 랑게 |
– | 말랑 디에디우 |
CONCACAF (북중미&카리브) | 마크 가이거 | 조 플레처 찰스 저스틴 모건트 |
– | 제이어 마루포 |
CONMEBOL (남아메리카) | 네스토르 피타나 | 에르난 마이다나 후안 파블로 벨라티 |
– | 엔리케 카세레스 산드루 히시 |
윌마르 롤단 | 알렉산데르 구스만 크리스티안 델라크루스 | |||
OFC (오세아니아) | – | – | 압델카데르 지투니 | – |
UEFA (유럽) | 밀로라드 마지치 | 밀로반 리스티치 달리보르 주르제비치 |
– | 아르투르 소아르스 디아스 오비디우 하체간 클레망 튀르팽 |
잔루카 로키 | 엘레니토 디 리베라토레 마우로 토놀리니 | |||
다미르 스코미나 | 유레 프라프로트니크 로베르트 부칸 |
공인구편집
선수 명단편집
조별 리그편집
A조편집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
포르투갈 | 3 | 2 | 1 | 0 | 7 | 2 | +5 | 7 |
멕시코 | 3 | 2 | 1 | 0 | 6 | 4 | +2 | 7 |
러시아 | 3 | 1 | 0 | 2 | 3 | 3 | 0 | 3 |
뉴질랜드 | 3 | 0 | 0 | 3 | 1 | 8 | -7 | 0 |
2017년 6월 17일 18:00 | ||||||
러시아 | 2 – 0 | 뉴질랜드 | 크레스톱스키 스타디움, 상트페테르부르크 관중수: 50,251명 심판: 윌마르 롤단 (콜롬비아) | |||
복스올 31′ (자책골) 스몰로프 69' |
리포트 | |||||
2017년 6월 18일 18:00 | ||||||
포르투갈 | 2 – 2 | 멕시코 | 카잔 아레나, 카잔 관중수: 34,372명 심판: 네스토르 피타나 (아르헨티나) | |||
쿠아레즈마 34' 세드리크 86' |
리포트 | 에르난데스 42' 모레노 90+1' | ||||
2017년 6월 21일 18:00 | ||||||
러시아 | 0 – 1 | 포르투갈 | 옷크리티예 아레나, 모스크바 관중수: 42,759명 심판: 잔루카 로키 (이탈리아) | |||
리포트 | 호날두 8' | |||||
2017년 6월 21일 21:00 | ||||||
멕시코 | 2 – 1 | 뉴질랜드 | 피시트 올림픽 스타디움, 소치 관중수: 25,133명 심판: 바카리 가사마 (감비아) | |||
히메네스 54' 페랄타 72' |
리포트 | 우드 42' | ||||
2017년 6월 24일 18:00 | ||||||
멕시코 | 2 – 1 | 러시아 | 카잔 아레나, 카잔 관중수: 41,585명 심판: 파하드 알미르다시 (사우디아라비아) | |||
아라우호 30' 로사노 52' |
리포트 | 사메도프 25' | ||||
2017년 6월 24일 18:00 | ||||||
뉴질랜드 | 0 – 4 | 포르투갈 | 크레스톱스키 스타디움, 상트페테르부르크 관중수: 56,290명 심판: 마크 가이거 (미국) | |||
리포트 | 호날두 33' (페널티골) B. 실바 37' A. 실바 80' 나니 90+1' | |||||
B조편집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
독일 | 3 | 2 | 1 | 0 | 7 | 4 | +3 | 7 |
칠레 | 3 | 1 | 2 | 0 | 4 | 2 | +2 | 5 |
오스트레일리아 | 3 | 0 | 2 | 1 | 4 | 5 | -1 | 2 |
카메룬 | 3 | 0 | 1 | 2 | 2 | 6 | -4 | 1 |
2017년 6월 18일 21:00 | ||||||
카메룬 | 0 – 2 | 칠레 | 옷크리티예 아레나, 모스크바 관중수: 33,492명 심판: 다미르 스코미나 (슬로베니아) | |||
리포트 | 비달 87' 바르가스 90+1' | |||||
2017년 6월 19일 18:00 | ||||||
오스트레일리아 | 2 – 3 | 독일 | 피시트 올림픽 스타디움, 소치 관중수: 28,605명 심판: 마크 가이거 (미국) | |||
로기치 41' 유리치 56' |
리포트 | 슈틴들 5' 드락슬러 44' (페널티골) 고레츠카 48' | ||||
2017년 6월 22일 18:00 | ||||||
카메룬 | 1 – 1 | 오스트레일리아 | 크레스톱스키 스타디움, 상트페테르부르크 관중수: 35,021명 심판: 밀로라드 마지치 (세르비아) | |||
앙기사 45+1' | 리포트 | 밀리건 60' (페널티골) | ||||
2017년 6월 22일 21:00 | ||||||
독일 | 1 – 1 | 칠레 | 카잔 아레나, 카잔 관중수: 38,222명 심판: 알리레자 파가니 (이란) | |||
슈틴들 41' | 리포트 | 산체스 6' | ||||
2017년 6월 25일 18:00 | ||||||
독일 | 3 – 1 | 카메룬 | 피시트 올림픽 스타디움, 소치 관중수: 30,230명 심판: 윌마르 롤단 (콜롬비아) | |||
데미르바이 48' 베르너 66', 81' |
리포트 | 아부바카르 78' | ||||
2017년 6월 25일 18:00 | ||||||
칠레 | 1 – 1 | 오스트레일리아 | 옷크리티예 아레나, 모스크바 관중수: 33,639명 심판: 잔루카 로키 (이탈리아) | |||
로드리게스 67' | 리포트 | 트로이시 42' | ||||
결선 토너먼트편집
준결승전 | 결승전 | |||||
6월 28일 - 카잔 | ||||||
포르투갈 | 0 (0) | |||||
칠레 (PSO) | 0 (3) | |||||
7월 2일 - 상트페테르부르크 | ||||||
칠레 | 0 | |||||
독일 | 1 | |||||
3·4위전 | ||||||
6월 29일 - 소치 | 7월 2일 - 모스크바 | |||||
독일 | 4 | 포르투갈 (AET) | 2 | |||
멕시코 | 1 | 멕시코 | 1 |
준결승전편집
2017년 6월 28일 21:00 | ||||||
포르투갈 | 0 – 0 (연장) | 칠레 | 카잔 아레나, 카잔 관중수: 40,855명 심판: 알리레자 파가니 (이란) | |||
리포트 | ||||||
승부차기 | ||||||
쿠아레즈마 모티뉴 나니 |
0 – 3 | 비달 아랑기스 산체스 |
||||
2017년 6월 29일 21:00 | ||||||
독일 | 4 – 1 | 멕시코 | 피시트 올림픽 스타디움, 소치 관중수: 37,923명 심판: 네스토르 피타나 (아르헨티나) | |||
고레츠카 6', 8' 베르너 59' 유네스 90+1' |
리포트 | 파비안 89' | ||||
3·4위전편집
2017년 7월 2일 15:00 | ||||||
포르투갈 | 2 – 1 (연장) | 멕시코 | 옷크리티예 아레나, 모스크바 관중수: 42,659명 심판: 파하드 알미르다시 (사우디아라비아) | |||
페페 90+1' A. 실바 104' (페널티골) |
리포트 | 네투 54′ (자책골) | ||||
결승전편집
2017년 7월 2일 21:00 | ||||||
칠레 | 0 – 1 | 독일 | 크레스톱스키 스타디움, 상트페테르부르크 관중수: 57,268명 심판: 밀로라드 마지치 (세르비아) | |||
리포트 | 슈틴들 20' | |||||
우승편집
2017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
---|
독일 1번째 우승 |
수상편집
아디다스 골든 볼 |
아디다스 실버 볼 |
아디다스 브론즈 볼 |
---|---|---|
아디다스 골든 슈 |
아디다스 실버 슈 | |
3골 (2도움) | 3골 (0도움) | |
아디다스 골든 글러브 | ||
클라우디오 브라보 | ||
FIFA 페어 플레이 상 | ||
독일 |
최종 순위편집
순위 | 팀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 | 실 | 득실차 | 승점 |
---|---|---|---|---|---|---|---|---|---|
1 | 독일 | 5 | 4 | 1 | 0 | 12 | 5 | +7 | 13 |
2 | 칠레 | 5 | 1 | 3 | 1 | 4 | 3 | +1 | 6 |
3 | 포르투갈 | 5 | 3 | 2 | 0 | 9 | 3 | +6 | 11 |
4 | 멕시코 | 5 | 2 | 1 | 2 | 8 | 10 | -2 | 7 |
5 | 러시아 | 3 | 1 | 0 | 2 | 3 | 3 | 0 | 3 |
6 | 오스트레일리아 | 3 | 0 | 2 | 1 | 4 | 5 | -1 | 2 |
7 | 카메룬 | 3 | 0 | 1 | 2 | 2 | 6 | -4 | 1 |
8 | 뉴질랜드 | 3 | 0 | 0 | 3 | 1 | 8 | -7 | 0 |
득점 선수편집
|
기록편집
상금편집
최종 순위에 기반하여, 대회에 참가한 대표팀들은 FIFA로부터 다음과 같이 상금을 받는다.[8]
대회 단계 | 최종 순위 | 상금 (미국 달러) |
---|---|---|
결승전 | 우승 | $5,000,000 |
준우승 | $4,500,000 | |
3-4위전 | 3위 | $3,500,000 |
4위 | $3,000,000 | |
조별 리그 | 5-8위 | $2,000,000 |
후원편집
2017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후원 업체는 다음과 같다.
FIFA 파트너 | FIFA 월드컵 스폰서 | 유럽 서포터 |
---|---|---|
각주편집
- ↑ “Tournament of Champions map drawn in Kazan”. FIFA.com. 2016년 11월 26일. 2016년 11월 26일에 확인함.
- ↑ “Men's Ranking (24 November 2016)”. FIFA.com. 2016년 11월 24일.
- ↑ “Draw procedures of the Official Draw confirmed”. FIFA.com. 2016년 11월 24일.
- ↑ “Cameroon complete Russia 2017 line-up”. FIFA.com. 2017년 2월 5일.
- ↑ “FIFA Confederations Cup Russia 2017 Draw Procedure” (PDF). FIFA.com.
- ↑ “Match officials appointed for FIFA Confederations Cup Russia 2017”. 《FIFA.com》. Fédération Internationale de Football Association. 2017년 4월 27일.
- ↑ “List of appointed match officials” (PDF). 《FIFA.com》. Fédération Internationale de Football Association. 2017년 4월 27일.
- ↑ Confederations Cup 2017: the economic prizes that will win the first 3 places (in Spanish) http://larepublica.pe/
- ↑ “FIFA and adidas extend partnership until 2030”. 《FIFA.com》. FIFA. 2017년 5월 10일에 확인함.
- ↑ “Coca-Cola renews Fifa football sponsorship until 2022”. 《Campaignlive.co.uk》. Campagin. 2017년 5월 10일에 확인함.
- ↑ “Gazprom agrees Fifa sponsorship deal”. 《SportsProMedia.com》. SportsPro. 2017년 5월 10일에 확인함.
- ↑ “Hyundai-Kia drives on as FIFA Partner until 2022”. 《FIFA.com》. FIFA. 2017년 5월 10일에 확인함.
- ↑ “Qatar Airways announced as Official Partner and Official Airline of FIFA until 2022”. 《FIFA.com》. FIFA. 2017년 5월 10일에 확인함.
- ↑ “Visa extending World Cup deal for eight years”. 《SportsBusinessDaily.com》. Sports Business Daily. 2017년 5월 10일에 확인함.
- ↑ “Wanda Group becomes new FIFA Partner”. 《FIFA.com》. FIFA. 2017년 5월 10일에 확인함.
- ↑ “FIFA and Anheuser-Busch InBev announce FIFA World Cup™ sponsorship for 2018 / 2022”. 《FIFA.com》. FIFA. 2017년 5월 10일에 확인함.
- ↑ “Hisense becomes Official Sponsor of 2018 FIFA World Cup™”. 《FIFA.com》. FIFA. 2017년 5월 10일에 확인함.
- ↑ “McDonald’s looking ahead to 2018”. 《FIFA.com》. FIFA. 2017년 5월 10일에 확인함.
- ↑ “Fifa agrees massive World Cup deal with Vivo”. 《SportsProMedia.com》. SportsPro. 2017년 5월 31일에 확인함.
- ↑ “Alfa-Bank unveiled as first-ever Regional Supporter for the FIFA World Cup™”. 《FIFA.com》. FIFA. 2017년 5월 10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