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VB-T
(DVB-T2에서 넘어옴)
DVB-T(Digital Video Broadcasting — Terrestrial)는 1997년 처음 제정된 디지털 지상파 방송을 위한 DVB 유럽 기반 컨소시엄 표준이며[1] 1998년 영국에서 처음 방송으로 채용되었다.[1] 이 시스템은 압축된 디지털 오디오, 디지털 비디오, 그리고 기타 데이터를 MPEG 트랜스포트 스트림 형태로 전송하며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COFDM 또는 OFDM) 변조를 사용한다.
DVB-T 또는 DVB-T2를 사용하는 국가 및 영토
편집아메리카
편집- 버뮤다 (decided on 2007년 7월 10일)[3]
- 콜롬비아 (decided on 2008년 8월 28일)[4] (Uses DVB-T/H.264/MPEG-4 for SD and HD. In 2011 is moving to DVB-T2/H.264/MPEG-4)[5]
- 그린란드 (Nuuk TV)
- 프랑스령 기아나
- 파나마 (decided on 2009년 5월 12일)[6] (uses DVB-T/MPEG-2 for SD and DVB-T/H.264/MPEG-4 for HD transmissions.)
- 아이티
- 생피에르 미클롱
- 트리니다드토바고
- 퀴라소 (experimental DVB-T MPEG2)
- 수리남 (experimental ATSC)
- 포클랜드 제도 (In 2008 KTV Ltd. implemented DVB-T, 64QAM, 7/8, 1/32, MPEG2 for both SD and HD transmissions)[7]
유럽
편집- 알바니아 (uses MPEG-2 for SD and H.264/MPEG-4 AVC for HD transmissions).
- 안도라
- 오스트리아 (transition to DVB-T2)
- 벨기에 (uses MPEG-2 for SD transmissions)
- 벨라루스 (uses DVB-T H.264/MPEG-4 AVC for SD transmission and DVB-T2 for pay SD transmissions)
- 불가리아 (H.264/MPEG-4 AVC, FEC=2/3, guard interval - 1/4, 64 QAM. Official simulcast started in March 2013, full switch has been done on 2013년 9월 30일.)[8][9]
- 크로아티아 (see DVB-T in Croatia)
- 체코 (MPEG-2, DVB-T2 HEVC H.265 started in 2017)
- 키프로스 (H.264/MPEG-4 AVC video)
- 덴마크 (uses H.264/AVC for SD and HD transmissions. See DVB-T in Denmark.)
- 에스토니아 (uses H.264/AVC video)
- 페로 제도
- 핀란드
- 프랑스 (uses MPEG-2 for free SD and H.264/AVC for free HD, pay SD and pay HD transmissions.See Digital terrestrial television#France.)
- 독일 (partly still DVB-T MPEG-2, SD only; since 2016 transition to DVB-T2 H.265/HEVC with HD 1080p50 - see Television in Germany)
- 조지아
- 그리스 (ERT Digital and Digital Union Archived 2019년 1월 13일 - 웨이백 머신 use MPEG-2 but will shift to H.264/MPEG-4 AVC. Digea, ERT / ERT HD and Digital Union (in Region of Thessalia) Archived 2019년 1월 13일 - 웨이백 머신 use H.264/MPEG-4 AVC)
- 헝가리 (branded MinDigTV, uses H.264/MPEG-4 AVC video exclusively.)
- 아이슬란드[10]
- 아일랜드 (uses H.264/MPEG-4 AVC for HD and SD transmissions, see Saorview)
- 이탈리아 (uses MPEG-2 for SD, H.264/MPEG-4 AVC for HD)
- 라트비아 (uses H.264/MPEG-4 AVC)
- 리투아니아 (uses H.264/MPEG-4 AVC)
- 룩셈부르크
- 마케도니아 (DVB-T in Macedonia)
- 몰타
- 몰도바 (uses MPEG-2. H.264/AVC is being tested.)
- 몬테네그로
- 네덜란드 (MPEG-2 SD DVN-T2 HD, operated by Digitenne)
- 노르웨이 (uses H.264/MPEG-4 AVC for SD and HD transmissions)
- 폴란드 (uses H.264/AVC video for SD and HD transmissions; see DVB-T in Poland)
- 포르투갈 (uses H.264/AVC video;)
- 루마니아 DVB-T was only used experimentally in two cities, and is being phased out. The official terrestrial broadcasting standard in Romania is DVB-T2, and implementations started in 2015.
- 러시아 (uses DVB-T2 H.264/AVC[11])
- 세르비아 (uses DVB-T2 H.264/AVC[12])
- 슬로바키아 (uses MPEG-2 for SD and H.264/MPEG-4 AVC for HD, testing DVB-T2 H.264/AVC)
- 슬로베니아 (uses H.264/MPEG-4 AVC video since 2007. See DVB-T in Slovenia)
- 스페인 (uses DVB-T MPEG-2 for SD and DVB-T H.264/MPEG-4 for HD transmissions.)
- 스웨덴 (uses MPEG-2 and H.264/MPEG-4 AVC) for SD, and DVB-T2 with H.264/AVC for SD and HD transmissions. See DVB-T in Sweden.)
- 스위스
- 튀르키예 (experimental)
- 영국 (uses DVB-T MPEG-2 for SD and DVB-T2 H.264/AVC for HD transmissions. See DVB-T in United Kingdom.)
- 우크라이나 (uses DVB-T2 H.264/AVC for all nationwide broadcasts)
오세아니아
편집아시아
편집- 아프가니스탄 (uses DVB-T2 MPEG-4 launched April 2015)[13]
- 바레인 (in assessment)[14]
- 방글라데시 (Announced)[15]
- 인도 (uses MPEG-2 for SD and MPEG-4 for HD transmissions)
- 인도네시아 (adopted DVB-T2 H.264/AVC[16] on 2012년 2월 2일)[17]
- 이란 (uses DVB-T MPEG-4/H.264/AAC SD :720x576i HD :1920x1080i)
- 이라크 (started in Kurdistan region-Iraq by MIX Media 2011년 12월 31일 uses MPEG-4)
- 이스라엘 (uses MPEG-4/H.264 video)
- 요르단[14]
- 쿠웨이트 (will use DVB-T2)[18]
- 키르기스스탄 (DVB-T2)[19]
- 레바논[14]
- 말레이시아 (uses DVB-T2 nationwide, plans to abandon analog by 2019)
- 몽골 (uses DVB-T2)
- 미얀마
- 오만 (in assessment)[14]
- 팔레스타인 (in assessment)
- 카타르[20]
- 싱가포르 (4 DVB-T Channels on 2007년 1월 1일 and 7 DVB-T2 Channels on 2013년 12월 13일)
- 사우디 아라비아[14]
- 시리아 (implement it using DVB-T, MPEG-2 and MPEG-4.)[14]
- 중화민국 (uses DVB-T/MPEG-2 for SD and DVB-T/H.264/MPEG-4 for HD transmissions)
- 타지키스탄 (DVB-T2)[21]
- 타이 (uses DVB-T2/MPEG-4 for both SD and HD transmissions launched on 2014년 4월 1일)
- 베트남
- 아랍에미리트[14]
- 우즈베키스탄
- 예멘[14]
- 북한
아프리카
편집- 앙골라
- 알제리
- 카메룬
- 가나
- 카보베르데
- 케냐 (Will use DVB-T2MPEG-4)
- 마다가스카르 (use DVB-T2 on paid network)
- 모리셔스
- 모로코
- 나미비아
- 나이지리아
- 보츠와나 (ISDB-T on 2013년 2월 26일, first in African countries)
- 르완다 (is already using DVB-T1/MPEG-4 and will soon migrate to DVB-T2)
- 남아프리카 공화국 (will use DVB-T2, after briefly considering ISDB-T)[22][23]
- 튀니지 (실험적)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가 나 “What is DVB-T”. 2009년 7월 19일에 확인함.
- ↑ DVB.org Archived 2011년 3월 20일 - 웨이백 머신, Official information taken from the DVB website
- ↑ “About - DVB”. 2013년 9월 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6월 26일에 확인함.
- ↑ El Espectador, Colombia adopta el estándar europeo para la tv digital terrestre Archived 2019년 4월 13일 - 웨이백 머신, 2008년 8월 28일
- ↑ Evaluamos, TV Digital no ha llegado a toda Colombia y la CNTV ya piensa en modificar la norma, July 2011
- ↑ “News - DVB”. 2013년 9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6월 26일에 확인함.
- ↑ “KTV Ltd.”. 2016년 6월 26일에 확인함.
- ↑ “Plan for the introduction of terrestrial digital television broadcasting(DVB-T) in the Republic of Bulgaria” (불가리아어). Ministry of Transportation, Information Technology and Communications. 2012년 12월 17일에 확인함.
- ↑ “Digital Television”. NURTS (TV tower operator). 2012년 12월 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12월 17일에 확인함.
- ↑ “Digital Ísland” (아이슬란드어). fjarskiptahandbokin.is. 2009년 8월 3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10월 27일에 확인함.
- ↑ “Russia adopts DVB-T2”.
- ↑ “ETV: trial DVB-T2 network” (세르비아어). 2012년 4월 1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2 March 2012에 확인함.
- ↑ “100,000 likes – Oqaab reaches over 1 Mio TV Households”. 2015년 3월 31일. 2016년 3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6월 26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Samart eyes Middle East market for digital TV-enabled smartphone”. 2016년 5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6월 26일에 확인함.
- ↑ “보관된 사본”. 2017년 7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5월 13일에 확인함.
- ↑ “PERSYARATAN TEKNIS ALAT DAN PERANGKAT PENERIMA TELEVISI SIARAN DIGITAL BERBASIS STANDAR DIGITAL VIDEO BROADCASTING TERRESTRIAL – SECOND GENERATION” (PDF). 《Kominfo》. 2017년 4월 1일에 확인함.
- ↑ “Standar Penyiaran Televisi Digital” (PDF). 2017년 6월 27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5월 13일에 확인함.
- ↑ Hawkes, Rebecca (2014년 2월 26일). “Kuwait TV opts for Harris DVB-T2 technology”. 《rapidtvnews.com/》. 2014년 4월 1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4월 11일에 확인함.
- ↑ “Kyrgyztelecom launches DVB-T2 & DVB-S2”. 2016년 4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5월 13일에 확인함.
- ↑ “Qatar Goes DVB-T2”. 《DVB》. 2013년 12월 11일. 2019년 9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 “Tajikistan Confirms DVB-T2 Adoption”. 2016년 12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5월 13일에 확인함.
- ↑ Mochiko, Thabiso (2010년 11월 26일). “BusinessDay - State U-turn on Nyanda's digital-TV signal plan”. 《BusinessDay.co.za》. BDFM Publishers. 2010년 11월 3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11월 26일에 확인함.
- ↑ “DVB-T2 chosen as digital TV standard”. 2011년 1월 3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