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O 리그 개인 통산 최다 안타
위키미디어 목록 항목
개인 통산 최다 안타 순위
편집다음은 한국 프로 야구 개인 통산 최다 안타 선수 기록의 목록(30위)이다. 2022년 6월 11일 기준이며, 진한 색 줄은 현재 뛰고 있는 선수이다.
순위 | 안타 수 | 선수 | 소속 | 기간 | 시즌 수 | 통산 경기수 | 주석 및 기타 |
1 | 2505 | 손아섭 | 롯데 - NC | 2007년 - | 16시즌 - | 1756경기 - | |
2 | 2504 | 박용택 | LG | 2002년 - 2020년 | 19시즌 | 2236경기 | |
3 | 2318 | 양준혁 | 삼성 - 해태 - LG - 삼성 | 1993년 - 2010년 | 18시즌 | 2135경기 | |
4 | 2209 | 김태균 | 한화 | 2001년 - 2009년 / 2012년 - | 15시즌 - | 2014경기 - | 2010년부터 2011년까지 일본 진출(일본에서 안타 167개 기록. 한일 통산 2376 안타) |
5 | 2199 | 이대호 | 롯데 | 2001년 - 2011년 / 2017년 - | 18시즌 - | 1885경기 - | 2012년 - 2018년 오릭스 버펄로스 /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 시애틀 매리너스에서 활동 |
6 | 2174 | 박한이 | 삼성 | 2001년 - 2019년 | 19시즌 | 2127경기 | |
7 | 2159 | 정성훈 | 해태 (KIA) - 현대 - 히어로즈 - LG - KIA | 1999년 - 2018년 | 20시즌 | 2127경기 | |
8 | 2156 | 이승엽 | 삼성 | 1995년 - 2003년 / 2012년 - 2017년 | 15시즌 | 1906경기 | 입단 당시 투수였으나 팔꿈치 부상으로 타자로 전향. 2004년부터 2011년까지 일본 진출 |
9 | 2125 | 이진영 | 쌍방울 - SK - LG - kt | 1999년 - 2018년 | 20시즌 | 2160경기 | |
10 | 2115 | 최형우 | 삼성 - KIA | 2002년, 2004년, 2008년 - | 17시즌 - | 1868경기 - | |
11 | 2100 | 장성호 | 해태 (KIA) - 한화 - 롯데 - kt | 1996년 - 2015년 | 20시즌 | 2064경기 | |
12 | 2046 | 홍성흔 | 두산 -롯데 - 두산 | 1999년 - 2016년 | 18시즌 | 1957경기 | |
13 | 2043 | 이병규 | LG | 1997년 - 2006년 / 2010년 - 2016년 | 17시즌 | 1741경기 | 2007년부터 2009년까지 일본에서 활약(일본에서 안타 253개 기록. 한일 통산 2296안타) |
14 | 2018 | 전준호 | 롯데 - 현대 - 우리(히어로즈/넥센) | 1991년 - 2009년 | 19시즌 | 2091경기 | |
15 | 2006 | 김현수 | 두산 - LG | 2006년 - 2015년 / 2018년 - | 15시즌 - | 1728경기 - | 2016-17년 볼티모어 오리올스 / 필라델피아 필리스에서 활동 |
16 | 2006 | 이용규 | LG - KIA - 한화 - 키움 | 2004년 - 2018년, 2020년 - | 17시즌 - | 1854경기 - | 2019년 당시 구단과의 마찰로 인해서 무기한 활동 정지 처분을 받았었다가 해당 시즌 막판에 해지되어 복귀. |
17 | 1927 | 최정 | SK - SSG | 2005년 - | 18시즌 - | 1964경기 - | |
18 | 1887 | 김주찬 | 롯데 - KIA | 2000년 - 2020년 | 20시즌 | 1778경기 | |
19 | 1880 | 이호준 | 해태 (KIA) - SK - NC | 1996년 - 2017년 | 21시즌 | 2053경기 | 1994년 투수로 입단. 1996년부터 타자로 전향 |
20 | 1877 | 정근우 | SK - 한화 - LG | 2005년 - 2020년 | 16시즌 | 1746경기 | 2020년 은퇴 |
21 | 1870 | 송지만 | 한화 - 현대 - 우리(히어로즈/넥센) | 1996년 - 2013년 | 19시즌 | 1938경기 | 2014년 은퇴 |
22 | 1830 | 황재균 | 현대 - 넥센 - 롯데 - KT | 2006년 ~ 2017년/ 2018년 - | 16시즌 - | 1757경기 - | |
23 | 1797 | 이종범 | 해태 (KIA) | 1993년 - 1997년 / 2001년 - 2011년 | 16시즌 | 1706경기 | 1998년부터 2001년 6월까지 일본 진출(일본에서 안타 286개 기록. 한일 통산 2083 안타) |
24 | 1792 | 강민호 | 롯데 - 삼성 | 2005년 - | 18시즌 - | 2026경기 | |
25 | 1771 | 장종훈 | 빙그레 - 한화 | 1987년 - 2005년 | 19시즌 | 1952경기 | |
26 | 1732 | 박재홍 | 현대 - KIA - SK | 1996년 - 2012년 | 17시즌 | 1797경기 | |
27 | 1727 | 이범호 | 한화 - KIA | 2000년 - 2009년 / 2011년-2019년 | 19시즌 | 2001경기 | 2010년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에서 활동 |
28 | 1727 | 이숭용 | 태평양 (현대) - 우리(히어로즈/넥센) | 1994년 - 2011년 | 18시즌 | 2001경기 | |
29 | 1710 | 김동주 | OB (두산) | 1998년 - 2013년 | 16시즌 | 1625경기 | 2015년 은퇴 |
30 | 1681 | 김재현 | LG - SK | 1994년 - 2010년 | 16시즌 | 1770경기 |
개인 통산 최다 안타 기록 추이
편집기록 | 선수 | 소속 | 날짜 | 구장 | 상대 팀 | 상대 투수 | 경기 결과 | 타석수 | 경기수 | 달성 당시 나이 | 주석 및 기타 |
1안타 | 이만수 | 삼성 | 1982. 03. 27 | 서울 | MBC | 이길환 | 7 - 11 | 1 | 1회초 1타점 좌전 2루타[1] | ||
2-4안타 | 정구왕 | 삼성 | 1982. 03. 27 | 서울 | MBC | 이길환 | 7 - 11 | 1 | 4타수 4안타(2,4,6,8회)[1][2] | ||
10안타 | 신경식 | OB | 1982. 04. 07 | ||||||||
11안타 | 신경식 | OB | 1982. 04. 08 | ||||||||
14안타 | 백인천 | MBC | 1982. 04. 11 | ||||||||
16안타 | 신경식 | OB | 1982. 04. 15 | ||||||||
19안타 | 백인천 | MBC | 1982. 04. 21 | ||||||||
25안타 | 이종도 | MBC | 1982. 05. 02 | 5일도 25안타 | |||||||
28안타 | 이종도 | MBC | 1982. 05. 09 | ||||||||
29안타 | 이종도 | MBC | 1982. 05. 12 | ||||||||
31안타 | 이종도 | MBC | 1982. 05. 17 | 신경식 30 | |||||||
40안타 | 이종도 | MBC | 5월 31일 현재 | 신경식 38안타 | |||||||
41안타 | 이종도 | MBC | 6월 2일 현재 | 윤동균 41안타 | |||||||
55안타 | 신경식 | OB | 전기 리그 기록 | ||||||||
56안타 | 이종도 | MBC | 1982. 07. 07 | 서울 | 삼미 | 1회말 1점 홈런(55안타), 5회말 2점 홈런(56안타)[3] | |||||
100안타 | 백인천 | MBC | 1982. 9. 28 | 서울 | OB | 1회말 좌월 2점 홈런[4] | |||||
103안타 | MBC | 1982년 최다 안타상 | |||||||||
200안타 | 김성한 | 해태 | 1983. 09. 26 | 인천 | 삼미 | 4회초 중전 안타[5] | |||||
400안타 | 김성한 | 해태 | 1985. 08. 12 | 광주 | OB | 김진욱 | |||||
500안타 | 김성한 | 해태 | 1986. 06. 13 | 청주 | 한화 | 1629타수째, 중전 안타[6] | |||||
600안타 | 김성한 | 해태 | 1987. 08. 05 | OB | 8회초 우월 2루타 | ||||||
1000안타 | 김성한 | 해태 | 1991. 04. 19 | 사직 | 롯데 | 노상수 | 13 - 0 | 886 | 32세 11개월 1일 | 2루타[7][8] | |
1389안타 | 김성한 | 해태 | [7] | ||||||||
1390안타 | 장종훈 | 한화 | 2000. 4. | 롯데 | [7] | ||||||
1500안타 | 장종훈 | 한화 | 2000. 10. 1 | 대전 | 롯데 | 1561 | 32세 5개월 21일 | [7] | |||
1771안타 | 장종훈 | 한화 | [7] | ||||||||
1772안타 | 양준혁 | 삼성 | 2005. 6 | [7] | |||||||
1800안타 | 양준혁 | 삼성 | 2005. 08. 05 | 대구 | LG | 1595 | 36세 2개월 10일 | ||||
2000안타 | 양준혁 | 삼성 | 2007. 06. 09 | 잠실 | 두산 | 이승학 | 1803 | 38세 14일 | 중견수 앞 안타.[7] | ||
2318안타 | 양준혁 | 삼성 | |||||||||
2319안타 | 박용택 | LG | 2018. 06. 23 | 잠실 | 롯데 | 고효준 | 8 - 18 | 4회 1사 1ㆍ2루에서 우월 동점 2타점 2루타 | |||
2500안타 | 박용택 | LG | 2020. 10. 06 | 잠실 | 삼성 | 이승현 | 2 - 2 | 2222 | 9회 1사 1루에서 우월 2루타 |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가 나 '이종도(청룡) 굿바이 만루홈런' 보관됨 2016-03-06 - 웨이백 머신,《한국일보》1982,3,28
- ↑ '청룡이 사자를 물었다'[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서울신문》,1982,3,28
- ↑ '개막전에 강한 이종도,...이번에 홈런 2발', 《경향신문》1982,7,8
- ↑ 'OB, MBC에 덜미'[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동아일보》1982,9,29
- ↑ '해태 김성한 200안타, 김일권은 도루 1백 개'[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경향신문》1983,9,27
- ↑ '김성한 500안타 프로 통산 처음'[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동아일보》1986,6,14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2010 Korean Baseball Record Book》,(사)한국야구위원회, 2010
- ↑ '김성한 1천 안타 금자탑', '8연패 독수리 태평양 출어 1승 월척[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경향신문》1991,4,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