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인기가요
SBS에서 방영중인 생방송 음악 프로그램

《SBS 인기가요》는 매주 일요일 오후에 방송되는 가요 순위 프로그램이다.
![]() SBS Inkigayo | |
장르 | 대중음악 |
---|---|
방송 국가 | ![]() |
방송 채널 | SBS TV |
방송 기간 | 1991년 12월 15일 ~ 1993년 10월 17일 1998년 2월 1일 ~ 현재 |
방송 시간 | 매주 일요일 오후 3:20 ~ 4시 20분 (매주 상황에 따라 변경됨) |
방송 분량 | 60분 |
추가 채널 | SBS M SBS F!L |
연출 | 정익승 |
조연출 | 김주원 |
작가 |
|
진행자 | 연준, 박지후, 운학 (2023년 7월 23일 ~ 현재) |
음성 | 2채널 스테레오 사운드 |
자막 | 자막#폐쇄 자막 방송 |
HD 방송 여부 | HDTV 생방송 |
관련 프로그램 | 뮤직뱅크 쇼! 음악중심 엠카운트다운 |
전편 | 생방송 TV 가요 20 |
SBS 인기가요 역사 편집
- 다음 가수의 무대를 소개하는 구호는 "MUSIC START!"이다.
- 방송 시작 시 MC멘트(역사)는 아래와 같다.
역대 MC | MC 멘트 |
---|---|
이전 MC | ( )월 ( )째주 생방송 SBS 인기가요! |
공승연, 김민석, 정연 (트와이스) | 생방송 SBS 인기가요! 오늘도 잘하자! |
진영 (GOT7), 지수 (블랙핑크), 도영 (NCT) | 생방송 SBS 인기가요! 진. 지. 도! 우리랑 함께가요! |
민규 (세븐틴), 정채연, 송강 | 멋진가요! 예쁜가요! 핫한가요! 생방송 SBS 인기가요! |
민규 (세븐틴), 정채연 | |
민규 (세븐틴), 신은수, 강민 (베리베리), 임지민 (저스트비) | 지금 가장 핫한가요! 보고싶은가요! 생방송 SBS 인기가요! |
민혁 (몬스타엑스), 이나은, 재현 (NCT) | 일요일엔 어디가요? 인기가요! 생방송 SBS 인기가요! |
성찬 (NCT), 안유진 (IVE), 지훈 (트레저) | |
서범준, 노정의, 연준 (투모로우바이투게더) | |
형원 (몬스타엑스), 김지은 | |
연준 (투모로우바이투게더), 박지후, 운학 (BOYNEXTDOOR) |
- 1991년 12월 24일 ~ 1993년 10월 17일 : SBS TV 개국 후 SBS 인기가요가 첫 선을 보였다.
- 1993년 10월 24일 ~ 1994년 4월 17일 : SBS 인기가요 종영 후 그 뒤를 이어 스타 서울 스타가 방송되었다.
- 1994년 4월 24일 ~ 1998년 1월 25일 : SBS 인기가요 방송 시작 전까지 생방송 TV 가요 20이 방송되었다.
- 1998년 2월 1일 : SBS 인기가요가 부활하였다.
- 2002년 2월 3일 : JIBS 개국 이후, HDTV 방송을 실시하였다.
- 2002년 4월 28일 : 야외를 제외한 방송 모두 HDTV 송신을 시작했다.
- 2003년 2월 9일 : 순위제 《Take 7》을 실시했다.
- 2007년 6월 24일 : 녹화방송으로 전환.
- 2007년 10월 21일 : 생방송으로 전환.
- 2008년 11월 2일 : 시청률 하락을 이유로 기존에 방송되었던 3시 20분에서 4시 10분으로 약 50분 늦춰졌다.
- 2010년 10월 17일 : 음원사이트 '멜론(Melon)' 가상광고를 시행했다.[1]
- 2012년 7월 15일 : 뮤티즌송 제도 폐지.
- 2012년 8월 26일 : 로고가 변경되었다.
- 2013년 3월 17일 : 인기가요 차트 시행.
- 2015년 9월 20일 : 로고가 변경되었다.
- 2016년 6월 : 기존 MC의 하차로 한 달 간 스페셜 MC 체제로 운영되었다.
- 2016년 7월 : MC응원 이벤트를 진행했다.
- 2016년 7월 ~ 12월 : 매달 스페셜 스테이지를 진행했다. (7월: UDF(Ultra Dance Festival) / 8월: VOICE OF INKIGAYO / 9월: INKIGAYO UNPLUGGED / 11~12월: 음원프로젝트- INKIGAYO MUSIC CRUSH)
- 2016년 10월 : 가을 개편 이후, 방송 시간이 낮 12시 10분으로 앞당겨지고 로고가 변경되었다.(10월 2일)
- 2016년 10월 9일 : 방송 문자투표에서 ARS투표를 추가하여 집계했다.
- 2016년 12월 18일 : 음원사이트 '멜론 (Melon)' 가상광고를 종료했다. (무대 시작 시 하단 자막이 인기가요 / 인기가요 차트 디자인으로 변경)
- 2017년 2월 12일 : 음원사이트 '멜론 (Melon)' 가상광고를 다시 시행했다. (무대 시작 시 하단 자막이 멜론 디자인으로 변경)
- 2018년 4월 1일 : 로고가 변경되었다. ※ 무대 종료 후 오른쪽 아래에 표시되는 곡 소개 틀의 색깔(역사)은 다음과 같다.
색상 | 사용기간 |
---|---|
분홍색 | 2018년 4월 1일 ~ 6월 10일, 2018년 10월 7일 ~ 2019년 7월 7일, 2019년 9월 29일 ~ 2022년 3월 27일 |
파란색 | 2018년 6월 17일 ~ 9월 30일, 2019년 7월 14일 ~ 9월 22일, 2022년 4월 3일 ~ 현재 |
- 2018년 9월 9일 : 가을 개편 이후, 방송 시간이 오후 3시 35분으로 환원되었다.
- 2018년 10월 21일 : UHD TV 송신 시작
- 2019년 1월 6일 : 신년 개편 이후, 방송 시간이 오후 3시 50분으로 15분 늦춰졌다.
- 2019년 4월 28일 : 1000회를 맞이하였다. 별도의 특별 순서는 없이 평소 방송분과 동일하게 진행되었다.
- 2019년 10월 20일 : 가수들의 무대 시, 좌측 하단에 나오는 가사 자막 폰트(글꼴)가 변경되었다.
- 2020년 2월 2일 ~ 2022년 5월 8일 :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유행으로 관객 없이 사전녹화와 생방송을 진행하였다.
- 2021년 1월 24일 : 1위 선정을 위한 실시간 앱 투표가 도입되었다.
- 2021년 7월 4일 : 1100회를 맞이하였다. 기본적인 흐름은 평소 방송분과 동일하게 진행되었으나, 중간에 MC 스페셜 무대(곡목 : '냉면')가 있었다.
- 2022년 3월 27일 : 최고의 퍼포먼스 스타에게 자유 투표하는 '핫스테이지 투표'가 도입되었다.
역대 MC 편집
공식 MC 편집
역대 | 진행자 | 방송 기간 | |||
---|---|---|---|---|---|
1대 | 서세원 | 1991년 12월 15일 ~ 1992년 12월 29일 | |||
2대 | 배철수 | 빈칸 | 1993년 1월 7일 ~ 1993년 4월 29일 | ||
3대 | 김희선 | 1993년 5월 2일 ~ 1993년 10월 17일 | |||
4대 | 김승현 | 빈칸 | 1998년 2월 1일 ~ 1998년 2월 22일 | ||
5대 | 전지현 | 1998년 3월 1일 ~ 1998년 5월 24일 | |||
6대 | 이동건, 김규리 | 1998년 6월 28일 ~ 1998년 11월 29일 | |||
7대 | 김진, 김소연 | 1998년 12월 6일 ~ 2000년 4월 16일 | |||
8대 | 안재모 | 김민희 | 2000년 4월 23일 ~ 2000년 12월 24일 | ||
9대 | 손태영 | 2001년 1월 7일 ~ 2001년 3월 11일 | |||
10대 | 송창환 | 소유진 | 2001년 3월 18일 ~ 2001년 7월 29일 | ||
11대 | 이종수 | 2001년 8월 5일 ~ 2001년 12월 23일 | |||
12대 | 김재원 | 김정화 | 2002년 1월 20일 ~ 2002년 8월 18일 | ||
13대 | 김정훈 | 2002년 8월 25일 ~ 2003년 1월 26일 | |||
14대 | 강타, 유민 | 2003년 2월 9일 ~ 2003년 8월 31일 | |||
15대 | 김동완 (신화) | 박한별 | 2003년 9월 7일 ~ 2004년 10월 17일 | ||
16대 | 한예슬 | 2004년 10월 31일 ~ 2005년 6월 5일 | |||
17대 | 앤디 (신화) | 박혜원 | 2005년 6월 12일 ~ 2005년 10월 23일 | ||
18대 | 한효주 | 2005년 11월 27일 ~ 2006년 3월 19일 | |||
19대 | 구혜선 | 2006년 4월 23일 ~ 2007년 2월 4일 | |||
20대 | 김희철 (슈퍼주니어) | 장근석 | 2007년 2월 25일 ~ 2007년 10월 7일 | ||
21대 | 송지효 | 2007년 11월 11일 ~ 2008년 5월 4일 | |||
22대 | 은지원 (젝스키스) | 허이재 | 2008년 5월 11일 ~ 2008년 11월 30일 | ||
23대 | 이특 (슈퍼주니어) | 2008년 12월 7일 ~ 2009년 1월 11일 | |||
24대 | 유설아, 이홍기 (FT아일랜드) | 2009년 1월 18일 ~ 2009년 7월 19일 | |||
25대 | 택연 & 우영 (2PM) | 하연주 | 2009년 7월 26일 ~ 2010년 1월 24일 | ||
26대 | 설리 | 2010년 2월 7일 ~ 2010년 7월 11일 | |||
27대 | 조권 (2AM), 설리 | 정용화 (씨엔블루) | 2010년 7월 18일 ~ 2011년 3월 13일 | ||
28대 | 이기광 (하이라이트) | 아이유 | 2011년 3월 20일 ~ 2011년 11월 13일 | ||
29대 | 구하라 & 니콜 (카라) | 2011년 11월 20일 ~ 2012년 5월 27일 | |||
30대 | 이종석 | 구하라 & 니콜 (카라) | 2012년 6월 3일 ~ 2012년 8월 19일 | ||
31대 | 아이유 | 2012년 8월 26일 ~ 2012년 12월 2일 | |||
32대 | 황광희 | 이현우 | 2012년 12월 16일 ~ 2013년 7월 28일 | ||
33대 | 방민아 | 2013년 8월 4일 ~ 2014년 1월 26일 | |||
34대 | 이유비 | 2014년 2월 2일 ~ 2014년 2월 9일 | |||
35대 | 수호 & 백현 (EXO) | 2014년 2월 16일 ~ 2014년 11월 9일 | |||
36대 | 김유정 | 2014년 11월 16일 ~ 2014년 12월 14일 | |||
37대 | 홍종현 | 2014년 12월 28일 ~ 2015년 4월 5일 | |||
38대 | 2015년 4월 12일 ~ 2015년 5월 10일 | ||||
39대 | 잭슨 (GOT7) | 2015년 5월 17일 ~ 2015년 8월 30일 | |||
40대 | 육성재 (비투비) | 2015년 9월 13일 ~ 2016년 4월 3일 | |||
41대 | 빈칸 | 2016년 4월 10일 ~ 2016년 5월 29일 | |||
42대 | 공승연, 김민석, 정연 (트와이스) | 2016년 7월 3일 ~ 2017년 1월 22일 | |||
43대 | 진영 (GOT7), 지수 (블랙핑크), 도영 (NCT) | 2017년 2월 5일 ~ 2018년 2월 4일 | |||
44대 | 민규 (세븐틴) | 정채연 | 송강 | 2018년 2월 18일 ~ 2018년 10월 28일 | |
45대 | 2018년 11월 11일 ~ 2019년 2월 3일 | ||||
46대 | 신은수 | 2019년 2월 17일 ~ 2019년 10월 6일 | |||
47대 | 민혁 (몬스타엑스), 재현 (NCT), 이나은 | 2019년 10월 20일 ~ 2021년 2월 28일 | |||
48대 | 지훈 (트레저), 성찬 (RIIZE), 안유진 (IVE) | 2021년 3월 7일 ~ 2022년 3월 27일 | |||
49대 | 연준 (투모로우바이투게더), 노정의, 서범준 | 2022년 4월 3일 ~ 2023년 4월 2일 | |||
50대 | 형원 (몬스타엑스), 김지은 | 2023년 4월 9일 ~ 2023년 7월 16일 | |||
51대 | 연준 (투모로우바이투게더), 박지후, 운학 (BOYNEXTDOOR) | 2023년 7월 23일 ~ 현재 |
인턴 MC 편집
진행자 | 방송 기간 |
---|---|
강민 (베리베리), 임지민 (저스트비) | 2019년 6월 23일 ~ 2019년 10월 6일 |
스페셜 MC 편집
방송 시간 편집
방송 채널 | 방송 기간 | 방송 시간 |
---|---|---|
SBS TV[3] | ||
1991년 12월 15일 ~ 1992년 3월 15일 | 매주 일요일 저녁 6시 ~ 7시 | |
1992년 3월 24일 ~ 1992년 12월 29일 | 매주 화요일 저녁 7시 5분 ~ 8시 | |
1993년 1월 7일 ~ 1993년 4월 22일 | 매주 목요일 저녁 7시 5분 ~ 8시 | |
1993년 5월 2일 ~ 1993년 10월 17일 | 매주 일요일 저녁 5시 10분 ~ 6시 | |
1998년 2월 1일 ~ 1999년 10월 10일 | ||
1999년 10월 24일 ~ 2001년 3월 11일 | 매주 일요일 오후 4시 50분 ~ 저녁 5시 45분 | |
2001년 3월 18일 ~ 2007년 11월 4일 | 매주 일요일 오후 3시 55분 ~ 4시 55분 | |
2007년 11월 11일 ~ 2008년 10월 26일 | 매주 일요일 오후 3시 20분 ~ 4시 30분 | |
2008년 11월 2일 ~ 2022년 1월 2일 | 매주 일요일 오후 4시 ~ 저녁 5시 10분 | |
2010년 6월 20일 ~ 2020년 8월 23일 | 매주 일요일 오후 3시 ~ 4시 10분 | |
2010년 6월 27일 ~ 2021년 7월 4일 | 매주 일요일 오후 3시 35분 ~ 4시 45분 | |
2021년 8월 15일 ~ 2021년 11월 21일 | 매주 일요일 오후 3시 40분 ~ 4시 50분 | |
2014년 5월 18일 ~ 2021년 8월 8일 | 매주 일요일 오후 2시 55분 ~ 4시 | |
2014년 8월 31일 ~ 2014년 11월 9일 2022년 6월 19일 | 매주 일요일 오후 2시 35분 ~ 3시 45분 | |
2014년 9월 14일 | 일요일 오후 2시 ~ 3시 10분 | |
2014년 9월 7일 ~ 2021년 6월 20일 | 매주 일요일 오후 2시 10분 ~ 3시 20분 | |
2014년 11월 16일 ~ 2015년 4월 12일 | 매주 일요일 오후 1시 10분 ~ 2시 20분 | |
2010년 7월 4일 ~ 2016년 9월 25일 | 매주 일요일 오후 3시 25분 ~ 4시 35분 | |
2015년 9월 27일 | 일요일 오후 3시 20분 ~ 4시 20분 | |
2016년 10월 2일 ~ 2019년 10월 27일 | 매주 일요일 낮 12시 10분 ~ 오후 1시 20분 | |
2010년 6월 13일 ~ 2018년 10월 21일 | 매주 일요일 오후 3시 15분 ~ 4시 40분 | |
2023년 6월 18일 ~ 현재 | 매주 일요일 오후 3시 50분 ~ 4시 50분 | |
2019년 3월 3일 | 매주 일요일 오후 3시 45분 ~ 4시 55분 | |
2020년 11월 29일 | 일요일 오후 3시 10분 ~ 4시 20분 | |
2021년 1월 31일 | 일요일 오후 2시 25분 ~ 3시 35분 |
POWER ROOKIE (2008.04. ~ 2010.12.) 편집
- 매달의 신인을 뽑았던 코너이다.
2008년
- 4월 - 피터
- 5월 - 뎁
- 6월 - 나비
- 7월 - H7美人 Project The b
- 8월 - TGUS
- 9월 - 2AM
- 10월 - symmetry
- 11월 - 아이유
- 12월 - XING
2009년
- 1월 - ZY
- 2월 - 악퉁
- 3월 - 메이다니
- 4월 - 점퍼
- 5월 - 이기광
- 6월 - Answer
- 7월 - 술제이
- 8월 - 포미닛
- 9월 - 슈프림팀
- 10월 - 비투와이
- 11월 - 슈아이
- 12월 - 비스트
2010년
순위 선정 방식 및 역대 수상자 편집
- 1991년 12월 24일 : SBS 인기가요가 첫방송 되면서 순위제가 시작되었으며 매주 1위 후보가 선정되어 1위를 결정했다.
- 1998년 2월 1일 : SBS 인기가요가 부활했으며, 이 당시에는 매주 두 팀의 1위 후보가 선정되어 1위를 결정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이 당시는 1곡이 최대 4번 1위를 수상할 수 있었으며, 1999년부터는 1곡이 최대 3번 1위를 수상할 수 있게 됐다.
- 2003년 1월 26일 : 순위제가 중단되었다.
- 2003년 2월 9일 ~ 2012년 7월 8일 : 매주 7명의 뮤지션을 선정하는 Take7 제도가 새로 도입되어 매주 시행되었다. 그 중 최고의 인기를 얻은 가수 한 명을 1위가 아닌 뮤티즌송으로 선정하여 발표했으며, 기존 정식 순위제와 마찬가지로 한 곡은 뮤티즌송을 최대 3번 받을 수 있다.
- 2013년 3월 17일 : '인기가요 차트'로 순위제가 부활했으며 매주 3팀의 1위 후보를 사전 점수를 통하여 선정 후 실시간 문자투표와 같이 합산하여 1위를 결정하며, 이 때 기존 순위제와 마찬가지로 3주간 1위를 차지한 곡은 차트에서 제외된다.
- 2016년 10월 9일 : 1위 투표 방법에 ARS 투표방식을 추가하여 1위 집계를 실시했다.
- 2017년 2월 5일 : 1위 선정 방식이 변경되었다. (음원 55% + 음반 5% + SNS 35% + 사전투표 5% + 온에어 (방송 점수) 10% / 실시간 투표는 제외)
- 2017년 2월 26일 : 인기가요 차트 사전투표를 '멜론 아지톡'에서 재시행하게 되었다.
- 2019년 2월 3일 : 1위 선정 방식이 일부 변경되었다. (음원 55% + 음반 10% + SNS 30% + 사전투표 5% + 온에어 (방송 점수) 10% / 실시간 투표는 제외)
- 2021년 1월 24일 : 1위 선정 방식이 일부 변경되었다. (음원 55% + 음반 10% + SNS 30% + 사전투표 5% + 온에어 (방송 점수) 10% + 실시간 투표 5%)
1위 수상자 목록 편집
결방 및 편성 변경 안내 편집
- 1998년
- 5월 31일 : 《1998 드림콘서트》가 편성되었다 (일부 지역 자체 방송).
- 6월 7일 : 1998년 프랑스 월드컵 특집.
- 6월 14일 : 김대중 방미귀국회견 저녁 5시 뉴스특보 관계로 오후 4시에 방송.
- 8월 2일 : 여름방학 특집.
- 10월 4일 : 추석 특집.
- 10월 25일 : 《1998 신세대 가요제》가 편성되었다.
- 11월 1일 : 《1998 사랑의 콘서트》가 편성되었다.
- 12월 13일 : 《WINTER FANTASY》.
- 12월 20일 : 《WINTER 특급》.
- 12월 27일 : 《1998 SBS 가요대전》 중계방송으로 대체되었다.
- 1999년
- 1월 3일 : SBS 러브FM 개국 특집.
- 2월 14일 : 설날 특집.
- 2월 21일 : 《김대중 대통령 국민과의 대화》 중계 방송으로 대체되었다.
- 5월 16일 : 민영TV의 날 특집.
- 5월 23일 : 《1999 드림콘서트》가 대체 편성되었다. (일부 지역 자체 방송).
- 6월 6일 : 《기아체험 24시간》이 대체 편성되었다.
- 6월 13일 : 《SUMMER COUNTDOWN》.
- 6월 27일 : 상반기 결산 특집.
- 7월 18일 ~ 7월 25일, 8월 15일 : 여름방학 특집.
- 10월 17일 : 《디지털 콘서트 99》가 대체 편성되었다.
- 11월 14일 : 창사특집 장충체육관 특집 생방송.
- 11월 28일 : 겨울특집 《Oh, Happy Winter》
- 12월 12일 : 겨울특집 《WINTER FANTASY》
- 2000년
- 1월 16일 : 겨울방학 특집.
- 2월 6일 : 《New! 밀레니엄 콘서트》 특집으로 대체.
- 2월 27일 : 100회 특집.
- 5월 14일 : 민영TV의 날 특집.
- 5월 28일 : 《2000 드림콘서트》가 대체 편성되었다. (일부 지역 자체 방송).
- 7월 2일 : 상반기 결산 특집.
- 7월 23일 ~ 8월 20일 : 여름방학 특집.
- 9월 17일, 10월 1일 : 2000년 시드니 하계 올림픽 중계 방송으로 한 주씩 연기되었다.
- 11월 12일 : SBS 창사 10주년 특집.
- 12월 24일 : 크리스마스 특집.
- 12월 31일 : 12월 29일 《2000 SBS 가요대전》 중계방송으로 《송년특집 지상 최고의 선물》이 대체 편성되었다.
- 2001년
- 1월 14일 : 겨울방학 특집.
- 5월 20일 : 《2001 드림콘서트》가 대체 편성되었다. (일부 지역 자체 방송).
- 7월 1일: 상반기 결산 특집.
- 7월 22일 ~ 8월 19일 : 여름방학 특집.[4]
- 10월 14일 : 2001 환경 콘서트 대체 편성.
- 12월 16일 : GTB(현 G1) 강원민방 개국 특집.
- 12월 30일 : 12월 29일 《2001 SBS 가요대전》 생방송으로 《송년특집 호기심천국》이 대체 편성되었다.
- 2002년
- 1월 6일 : 겨울방학 특집.
- 3월 17일 : 200회 특집.
- 5월 19일 : 원주치악체육관 특집 생방송.
- 6월 9일 : JIBS 제주방송 개국 기념으로 제주 한라체육관 특집 생방송.
- 6월 23일 : 부산 BEXCO 특집 생방송.
- 6월 30일 : 2002년 한일월드컵 특집 '다이나믹 코리아' 방송.
- 7월 7일 : 구미 박정희체육관 특집 생방송.
- 7월 28일 : 광주염주종합체육관 특집 생방송.
- 8월 25일 : KBS 울산홀 특집 생방송.
- 9월 1일 : 대전 충무체육관 특집 생방송.
- 9월 15일 : 군산 월명실내체육관 특집 생방송.
- 9월 22일 : 추석 특집 편성으로 대체되었다.
- 10월 27일 : SBS 스포츠 2002 프로야구 중계방송 관계로 결방.
- 12월 29일 : 《2002 SBS 가요대전》 생방송 관계로 1주 연기되었다.
- 2003년
- 2월 2일 : 설 특집 편성으로 대체되었다.
- 2월 23일 : 대구 도시철도 1호선 중앙로역에서 일어난 화재 사건의 여파로 방송을 긴급 연기하였다.
- 4월 20일 : 장애인의 날 특집.
- 5월 18일 : 《2003 F 콘서트》로 대체되었다. (일부 지역 자체 방송).
- 6월 8일 : JIBS 개국 1주년 특집 제주 한라체육관 특집 생방송.
- 6월 22일 : 창원 실내 체육관 특집 생방송.
- 5월 25일 : 하이 서울 페스티벌로 대체 편성되었다.
- 7월 13일 : 피스컵 대축제 특집.
- 7월 27일 : 정전50주년 평화콘서트 방송으로 인해 결방.
- 8월 3일 : 대구 하계 유니버시아드 대회 특집.
- 8월 24일 : 청주 실내 체육관 특집 생방송.
- 8월 31일 : KBS 울산홀 특집 생방송[출처 필요].
- 9월 21일 : JTV 창사 6주년 기념 전주 실내 체육관 특집 생방송.
- 11월 9일 : 광주염주종합체육관 특집 생방송.
- 11월 16일 : 《사랑 나눔 콘서트》가 대체 편성되었다.
- 12월 14일 : 춘천 호반체육관 특집 생방송.
- 2004년
- 3월 7일 : SBS 신사옥 오픈 특집.
- 4월 18일 : 300회 특집 및 민영TV의 날 특집.
- 5월 9일 : 서울광장 특집.
- 6월 6일 : 《기아체험 24시간》가 대체 편성되었다..
- 6월 13일 : 《2004 F 콘서트》가 대체되었다. (일부 지역 자체 방송).
- 10월 24일 : 특집 방송으로 인해 1주 연기되었다.
- 11월 14일 : 《사랑 나눔 콘서트》가 대체 편성되었다.
- 2005년
- 1월 1일 : 2004 SBS 연기대상 재방송으로 인한 결방.
- 5월 8일 : 어버이날 특집 방송으로 인한 결방
- 5월 22일 : 결혼식 방송으로 결방.(5월 29일로 대체.)
- 7월 10일 : 《2005 i콘서트》 방송. (일부 지역 자체 방송).
- 9월 18일 : 추석 특집 편성으로 인한 결방.
- 10월 2일 : 태풍 룽왕으로 결방.
- 10월 30일 : 편성 변경으로 인한 결방.
- 11월 13일 : 《사랑 나눔 콘서트》 방송.
- 12월 4일 : SBS DMB 개국특집.
- 12월 25일 : 크리스마스 특집 《뮤직 인 크리스마스》 방송.
- 2006년
- 1월 1일 : 2005 SBS 연기대상 재방송으로 인한 결방.
- 1월 29일 : 설 특집 편성으로 인한 결방.
- 3월 26일 : K리그 축구 《포항 스틸러스 VS 전남 드래곤즈》 중계로 인한 결방.
- 5월 28일 : 《2006 i콘서트》으로 편성.
- 6월 9일 : 2006 FIFA 월드컵으로 인한 결방.
- 7월 2일 : 400회 특집.
- 10월 8일 : 추석 특집 편성으로 인한 결방.
- 10월 22일 : 골프 중계로 인한 결방.
- 10월 29일 : 제주특별자치도 출범기념음악회.
- 11월 12일 : 《사랑 나눔 콘서트》 방송
- 12월 29일 : 《2006 SBS 가요대전》 방송
- 2007년
- 2월 18일 : 설 특집 방송으로 인한 결방.
- 3월 25일 : 수원컵 국제 청소년 축구대회 《대한민국: 폴란드》 중계로 인한 결방.
- 4월 15일 : 드라마 재방송으로 인한 결방.
- 6월 10일 : 《2007 드림콘서트》 방송. (일부 지역 자체 방송).
- 9월 23일 : 추석 특집 편성으로 인한 결방.
- 10월 14일 : SBS 드라마 로비스트 1~4회 연속 재방송.
- 10월 28일 : SBS 코리안투어 골프중계로 인해 예정보다 1시간 늦게 방송됨.
- 11월 4일 : 《사랑 나눔 콘서트》 방송.
- 11월 11일 : 예정보다 1시간 늦게 방송.
- 12월 23일 : 크리스마스 특집.
- 12월 30일 : 《2007 SBS 가요대전》 중계방송 준비로 인한 결방
- 2008년
- 2월 10일 : 설 특집 프로그램 대체방송.
- 4월 6일 : 스페이스 코리아 특집.
- 6월 8일 : 《2008 드림콘서트》 방송으로 인한 결방. (일부 지역 자체 방송).
- 6월 15일 : SBS 코리안투어 필로스오픈 중계 관계로 1시간 늦게 방송되었다.
- 6월 29일 : 상반기 결산 특집.
- 8월 10일 : 2008년 베이징 하계 올림픽 특집 및 오후 3시 30분에 방송.
- 9월 7일 : 500회 특집.
- 9월 14일 : 추석 특집 프로그램으로 대체되었다.
- 11월 9일 : 《사랑 나눔 콘서트》의 방송으로 대체되었다.
- 11월 16일 : 수능 특집.
- 12월 28일 : 《2008 SBS 가요대전》 준비로 결방되었으며, 그 시간대에는 순간포착 세상에 이런 일이 재방송으로 대체되었다.
- 2009년
- 1월 25일 : 설 특집 편성으로 인한 결방.
- 2월 8일 : 새봄 맞이 특집.
- 5월 24일 : 노무현 전(前) 대통령 서거로 국민장을 애도하며 결방되었다.
- 8월 2일 ~ 8월 16일 : 여름방학 특집.
- 8월 23일 : 김대중 전(前) 대통령 서거로 국장을 애도하며 결방되었다.
- 10월 4일 : 추석 특집 편성으로 인한 결방.
- 10월 11일 : 《2009 드림콘서트》 방송으로 대체.
- 11월 22일 : 《사랑 나눔 콘서트》로 대체 편성.
- 12월 20일 : 크리스마스 특집.
- 12월 27일 : 《2009 SBS 가요대전》 방송 준비로 인한 결방
- 2010년
- 1월 3일 : 신년 특집
- 1월 31일 : 밴쿠버 동계 올림픽 선전기원 특집
- 2월 14일 : 설날 특집
- 3월 28일 ~ 4월 4일, 4월 18일 ~ 4월 25일 : 천안함 침몰 사건의 여파로 인하여 약 한 달간 방송이 중단되었다.
- 5월 23일 : 2010 남아공 월드컵 선전기원 특집
- 5월 30일 : 《2010 드림콘서트》의 방송으로 대체되었다.
- 6월 6일 : 《2010 남아공 월드컵 특집다큐 - 붉은악마 다시 심장이 뛴다》 대체 방송
- 6월 13일 ~ 6월 20일 : 2010 남아공 월드컵 특집
- 7월 18일 ~ 8월 1일 : 여름방학 특집
- 9월 19일 : 《추석특집 한류 드림콘서트》 방송
- 10월 10일 : SBS 스포츠 《2010 마구마구 프로야구 플레이오프 3차전 두산 베어스 VS 삼성 라이온즈》 연장 중계로 인한 결방
- 10월 31일 : 할로윈데이 특집
- 11월 14일 : 창사 20주년 특집 《2010 사랑 나눔 콘서트》 방송으로 대체되었다.
- 12월 12일 : 600회 특집
- 2011년
- 1월 2일 : 《Seoul 도쿄 뮤직페스티벌》 대체 방송
- 2월 6일 : 설날 특집
- 2월 13일 : 발렌타인 데이 특집
- 7월 17일 ~ 7월 24일 : 여름방학 특집
- 9월 12일 : 2011 추석 특집방송.
- 10월 2일 : 지구살리기 그린콘서트 특집 편성 (마산실내체육관 특집 생방송)
- 11월 6일 : 2011 K-POP 슈퍼콘서트 특집 편성
- 2012년
- 1월 1일 : 신년 특집.
- 1월 22일 :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 성공 기원 콘서트》 특집 편성
- 7월 29일 ~ 8월 12일 : 《2012년 런던 올림픽》 특집
- 9월 30일 : 추석 특집 방송
- 10월 28일 : SBS 스포츠 《2012 팔도 프로야구 한국시리즈 4차전 삼성 라이온즈 VS SK 와이번스》 중계방송으로 인한 결방
- 11월 11일 : 《사랑 나눔 콘서트》 방송으로 대체
- 11월 25일 : 외국인 관광객 천만 명 돌파 기념 특집
- 12월 9일 : 700회 특집
- 12월 30일 : 《2012 SBS 가요대전》 재방송으로 인한 결방
- 2013년
- 5월 12일 : 2013 충주세계조정선수권대회 D-100 기념 생방송
- 7월 7일 : 아시아나항공 214편 추락 사고와 관련된 뉴스 속보로 인한 결방
- 12월 29일 : 《2013 SBS 가요대전》 중계방송 준비 관계로 결방 및 SBS 드라마 별에서 온 그대가 재방송 편성
- 2014년
- 4월 20일 ~ 5월 11일 : 세월호 침몰 사고의 여파로 인하여 약 한 달간 방송이 중단되었다.
- 6월 15일 : 《2014 드림콘서트》 녹화방송으로 대체되었다.
- 9월 28일 : 2014 인천 아시안 게임 중계방송으로 인한 결방.
- 12월 21일 : 《2014 SBS 가요대전》 방송 관계로 인한 결방.
- 2015년
- 1월 25일 : 800회 특집
- 2월 22일 : 설 특집 《아빠를 부탁해》 재방송
- 10월 11일 : 2015 프레지던츠컵 중계방송으로 인한 결방
- 10월 18일 : SBS 스포츠 2015년 KBO 리그 플레이오프 중계방송으로 낮 12시 40분 방송
- 11월 22일 : 김영삼 전 대통령 서거로 국가장을 애도하며 결방되었으며, 29일에 당일 녹화분 편성.
- 12월 27일 : 《2015 SBS 가요대전》 중계방송 관계로 결방.
- 2016년
- 2월 7일 : 설 연휴 기간으로 인해 결방되었으며, 이 시간대에는 《정글의 법칙》 재방송으로 대체되었다.
- 9월 18일 : 추석 연휴 기간으로 인하여 결방되었으며, 이 시간대에는 추석 특집 《부르는 스타》 재방송으로 대체되었다.
- 10월 30일 : 《부산원아시아페스티벌》 특집방송
- 12월 25일 : 다음날 (26일) 방송된 《2016 SBS 가요대전》 중계방송 준비로 결방되었으며, 이 시간대에는 씬스틸러 스페셜 방송으로 대체되었다.
- 2017년
- 1월 29일 : 설 연휴 기간으로 인하여 결방되었으며, 이 시간대에는 《SBS 수목드라마 사임당, 빛의 일기》 재방송으로 대체되었다.
- 2월 19일 : 900회 특집
- 3월 19일 : SBS 특별기획 "복싱 세계 미들급 챔피언전 골로프킨 VS 제이콥스 위성 생중계 방송"으로 결방되었다.
- 4월 16일 : 세월호 참사 3주년 특집 그것이 알고싶다 재방송 관계로 결방
- 9월 17일 : "WBA, WBC, IBF 미들급 통합 챔피언쉽 골로프킨 VS 알바레스 위성 생중계 방송"으로 인해 결방되었다.
- 10월 1일 : 《2017 슈퍼콘서트 in 대전》 특집방송
- 10월 22일 : "PGA투어 THE CJ컵 @ 나인 브릿지 방송"으로 인해 결방되었다.
- 12월 24일 : 다음 날 (12월 25일)에 방송된 《2017 SBS 가요대전》 중계방송 준비로 인해 결방되었으며, 이 시간에는 불타는 청춘이 재방송되었다.
- 12월 31일 : 12월 25일에 방송되었던 《2017 SBS 가요대전》 재방송으로 인해 결방되었다.
- 2018년
- 2월 11일 : 2018 평창 올림픽 중계방송으로 인한 결방
- 8월 19일 : 2018 자카르타 아시안 게임 중계방송으로 인한 결방
- 10월 21일 : 《UHD SBS 인기가요》 특집 방송 (오후 3:15 방송)
- 10월 28일 : SBS 스포츠 2018년 KBO 리그 플레이오프 2차전 넥센 히어로즈 VS SK 와이번스 중계방송으로 인한 방송시간 변경 (낮 12:10 방송)
- 11월 4일 : SBS 스포츠 2018년 한국시리즈 1차전 SK 와이번스 VS 두산 베어스 중계방송으로 인해 결방
- 11월 18일 : 2018 SBS 슈퍼콘서트 in 수원 재방송으로 인한 결방
- 12월 23일 : 《2018 SBS 가요대전》 중계방송 준비로 인한 결방
- 12월 30일 : 《2018 SBS 가요대전》 재방송으로 인한 결방
- 2019년
- 2월 10일 : SBS 스포츠 isu 4대륙 피겨 세계남자 피겨선수권 위성생중계로 인한 결방
- 6월 30일 : 한북미 정상회담 관련 뉴스특보 편성으로 인한 결방
- 10월 13일 : 2019 SBS 슈퍼콘서트 in 인천 재방송으로 인한 결방
- 10월 27일 : SBS 스포츠 2019년 한국시리즈 5차전 두산 베어스 VS 키움 히어로즈 중계방송으로 결방 예정이었으나, 이후 중계방송이 취소되어 정글의 법칙 재방송 편성 대체로 인해 결방되었다.
- 12월 22일 : 12월 25일에 방송되는 《2019 SBS 가요대전》 중계방송 준비로 인해 결방되었으며, 이 시간대에는 《SBS 금토드라마 스토브리그》가 재방송되었다.
- 12월 29일 : 《2019 SBS 연예대상》 재방송으로 인한 결방 《2019 SBS 가요대전》 재방송은 낮 12:10 방영
- 2020년
- 1월 26일 : 설 연휴 기간으로 인하여 결방되었으며, 이 시간대에는 《SBS 월화드라마 낭만닥터 김사부 2》가 재방송되었다.
- 10월 4일 : 추석연휴 기간 휴식 및 추석특집 《홈스타워즈》 재방송으로 인한 결방
- 11월 1일 : 《펜트하우스》 20분 정주행 방송으로 인해 결방되었다.
- 12월 20일 : 《어쩌다 마주친 그 개》 재방송으로 인한 결방되었다.
- 12월 27일 : 《2020 SBS 가요대전》 편성으로 인한 결방.
- 2021년
- 1월 3일 : 《백종원의 골목식당》 재방송으로 인한 결방
- 1월 31일 : 《제 30회 하이원 서울가요대상》 참석으로 인해 오후 2시 30분에 방송되었다.
- 2월 14일 : 설 연휴 기간 및 《펜트하우스2 히든룸 - 은밀한 이야기》 재방송으로 인한 결방
- 6월 20일 : 골프 중계 방송로 인해 오후 2시 15분에 방송되었다.
- 7월 25일 ~ 8월 1일 : 2020 도쿄 올림픽 중계방송으로 2주 결방.
- 11월 7일 : 2021 SBS 슈퍼콘서트 in 대구 재방송 편성으로 인한 결방.
- 12월 19일 ~ 12월 26일 : 대한민국 아이디어리그 편성으로 인한 결방.
- 2022년
- 1월 2일 : 대한민국 아이디어리그 편성으로 인한 결방.
- 2월 6일 : 신발 벗고 돌싱포맨 재방송으로 인한 결방.
- 2월 13일 : 2022 베이징 동계 올림픽 중계방송으로 인한 결방.
- 9월 11일 : 추석특선영화 미션 파서블 편성으로 인한 결방.
- 10월 30일 : 할로윈 이태원 압사 사고로 인한 결방.
- 12월 18일 : 《2022 SBS 연예대상》 재방송 편성으로 인한 결방.
- 12월 25일 : 《순정파이터》 재방송 편성으로 인한 결방.
- 2023년
- 1월 1일 : SBS 금토 드라마 《소방서 옆 경찰서》 재방송 편성으로 인한 결방.
- 1월 22일 : 설 연휴 기간 및 SBS 금토 드라마 《법쩐》 재방송 편성으로 인한 결방.
- 3월 12일 : 2023 ISU 쇼트트랙 선수권 남녀 1000m 결승 혼성 계주 준결승 중계방송으로 인한 결방.
- 9월 24일 ~ 10월 8일 :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중계방송으로 인한 결방.[5]
- 10월 15일 : 인기가요 in 울산 방송 특집[6]
시청률 편집
시청률 조사회사인 TNmS와 닐슨코리아에 따르면 매주 일요일 생방송 시청률 0~1%대를 최하위 집계한 것이다.
코로나 시기 때문에 시민들의 일요일 외출이 적어지면서 타 음악프로그램에 비해서는 시청률이 잘 나오는 듯 하나 그마저도 0~2%대라 SBS 내에서는 한동안 음악프로그램의 방영을 대폭 줄이는 대신, 편성 공백을 메우기 위해 예능 또는 교양을 방영하자는 목소리가 곳곳에서 적지 않다.
1990년대 당시에는 10대(초,중,고) 혹은 젊은층 사이에 인기를 누렀다가, 2000년대 초중반 이후에 인터넷 음원 사이트 발달로 시청률이 크게 떨어졌고, 최하위 저조한 성적이다.
기타 편집
- SBS 등촌동 사옥 공개홀 매점에서 판매하는 샌드위치가 ‘인기가요 샌드위치’라는 이름으로 알려져 있다. 2007년[7]부터 판매되기 시작한 이 샌드위치에는 양배추 샐러드, 감자 달걀 샐러드, 딸기잼 등의 재료가 들어가며, 오직 인기가요 출연자와 방송 관계자만 구입할 수 있다.[8] 이것과 비슷한 이름과 재료로 구성된 상품이 2018년 8월 30일부터 GS25에서, 또 9월 4일부터 세븐일레븐에서 판매되거나 판매될 예정인데, 이에 대해 SBS 측은 상품 출시에 대하여 협의가 없었다고 입장을 밝혔다.[9]
- 1990년대 후반과 2001년까지 가운데에 노래 가사가 들어간 자막을 삽입해왔으나, 2002년 2월부터 HD 시대를 맞으면서 왼쪽으로 한줄 가사 자막을 고정해서 사용하고 있다.
- 온라인 탑골공원을 통해 유튜브 채널에서 본 프로그램의 옛날 영상 라이브를 볼 수 있다.
각주 편집
- ↑ 무대 시작 시 하단 자막이 멜론 디자인으로 변경.
- ↑ 당일 방송은 여름방학 특집 워커홀 이원 생방송으로 진행되었다.
- ↑ 전국 각 지역 9개 민방 동시 네트워크로 송출
- ↑ 7월 29일 부산사직체육관 특집 생방송.
- ↑ [결방 공지 9월 24일, 10월 1일, 10월 8일 인기가요 결방 안내]
- ↑ FIFTY FIFTY, VIVIZ, BB GIRLS, 영탁, EL72 UP, 더보이즈, ITZY, TWICE, STAYC, 최예나, 조유리, IVE, LE SSERAFIM, 정국, 김강임, 최동혁, 이재환 출연 예정
- ↑ 인PD (2018년 8월 17일). “#121 매주 일요일 ‘관계자만 먹을 수 있다’는 샌드위치”. 《SBS PD노트》. 2018년 9월 2일에 확인함.
- ↑ “[모닝 스브스] 얼마나 맛있길래?…'인기가요 샌드위치' 화제”. SBS 뉴스. 2018년 8월 10일. 2018년 9월 2일에 확인함.
- ↑ 인세현 (2018년 8월 31일). “[단독] GS25·세븐일레븐 ‘인기가요’ 샌드위치, SBS 측과 협의 없었다”. 쿠키뉴스. 2018년 9월 2일에 확인함.
같이 보기 편집
외부 링크 편집
- SBS 인기가요 - 공식 웹사이트
- SBS 인기가요의 채널 - 유튜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