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슴골
역사
편집고대
편집기원전 2600년, 이집트 제4왕조의 노프레트 공주는 깊게 파인 넥라인이 있는 브이넥 가운을 입은 것으로 묘사되었으며, 정교한 목걸이와 눈에 띄게 튀어나온 젖꼭지로 더욱 강조된 가슴골을 드러냈다.[2][3]
고대 미노스 문명에서 여성들은 날씬한 허리와 풍만한 가슴을 보완하는 옷을 입었다. 고대 미노스 패션의 가장 잘 알려진 특징 중 하나는 가슴 노출인데, 여성들은 가슴을 완전히 덮거나 노출시킬 수 있는 상의를 입었고, 몸통은 가슴골을 강조했다.[4][5] 기원전 1600년에는 드레스 앞부분이 열려 가슴 전체가 드러나는 뱀 여신 조각상이 미노스에서 조각되었다. 그 무렵, 크노소스의 크레탄족 여성들은 갈라진 틈이 열린 장식용 몸을 입고 있었고, 때로는 페플로스를 달고 있었다.[6] 기원전 1500년에 제작된 또 다른 미노스 조각상들은 맨몸의 코르셋을 입은 여성들을 보여준다.[7][8]
고대 그리스 여성들은 카테마(kathema)라고 불리는 긴 펜던트 목걸이로 가슴골을 장식했다.[9] 고대 그리스의 여신 헤라는 트로이아 전쟁에서 제우스를 돌려놓기 위해 "금 브로치"와 "100개의 술병"이 장식된 푸쉬업 브라의 초기 버전과 같은 것을 입었다고 일리아스에 묘사되어 있다. 그리스와 로마 문명의 여성들은 작은 가슴을 강조하기 위해 로마에서 태니아와 같은 가슴밴드를 사용하기도 했지만, 흔히 남녀 공용의 옷을 선호했던 남성적인 그레코로만형 세계의 여성들은 가슴을 억누르기 위해 그리스에서는 시인과 같은 가슴밴드를, 로마에서는 페시아나 마밀라레를 사용했다. 이러한 마밀라레 중에서도 특히 가슴이 큰 여성들을 억누르기 위한 엄격한 가죽 코르셋이 있었다.[10][11] 기원전 3세기에 남아라비아에서 발견된 은화는 데콜타주가 많고 정교한 머리 모양을 한 부섬한 외국 통치자를 보여준다.[12] 랍비 아하 b. 라바(5세기경)와 바빌로니아인 나단(2세기경)은 가슴 사이의 적절한 크기를 "여성 가슴 사이의 한 손 너비"로 측정했다.[13]
중세
편집당나라(7~9세기) 동안 중국 여성들은 이전보다 점점 더 자유로워졌고, 당나라 중기에는 데콜테 드레스가 상당히 해방되었다.[14] 당대 여성들은 초기 중국 여성들이 입었던 보수적인 의상보다는 의도적으로 가슴골을 강조했다.[15]
11세기에서 16세기 사이에 인도의 펀자브, 구자라트, 라자스탄 여성들의 데콜테 옷은 이 지역이 점차 외세의 지배를 받게 되면서 가려진 가슴과 긴 베일로 대체되었다.[16] 이 시기에 이탈리아의 베네치아, 제노바, 피렌체에서 데콜레타주가 있는 정교하고 화려한 궁중 드레스가 인기를 끌었다.[17]
12세기까지 기독교 서구는 가슴골에 우호적이지 않았으나 14세기에 이르러 프랑스가 주도하면서 태도에 변화가 일어나는데,[18] 목선이 낮아지고 옷이 조여지고 가슴이 다시 한 번 과시되었다.[19] 데콜레 드레스는 15세기에 도입되었다.[20] 당시 발명된 유방등급제에서는 '작고 하얗고 둥글고 사과처럼 단단하고 넓은' 유방에 가장 높은 등급을 부여했다.
여성들은 가슴을 쥐어짜고 화장을 하여 갈라진 틈을 더 매력적으로 만들기 시작했다.[21] 가슴골은 당대 벨기에의 연대기 작가 장 프로사르트에 의해 "가슴선의 미소"라고 불렸다.[22] 동시대 프랑스 예의 매뉴얼인 라 클레프 다모르(La Clef d'Amors)는 "가슴과 목이 아름답다면 가리지 말고 드레스는 모두가 쳐다보고 입을 벌릴 수 있도록 낮게 재단되어야 한다"고 조언했다. 동시대 시인 외스타슈 데샹(Eustache Deschamps)은 "목선이 넓게 열려 있고 가슴과 목이 더 잘 보일 수 있도록 틈이 있는 타이트한 드레스"를 조언했다.
그러나 프랑스의 로마 가톨릭교회는 가슴골이 과시하는 것을 막으려고 노력했다. "지옥의 문"이라고 불리는 가슴골과 여성의 몸통에 끈을 묶도록 명령했다. 프랑스 신부 올리버 마이야르는 가슴을 노출한 여성들은 "유두에 의해 지옥에 갇힐 것"이라고 말했다. 프랑스의 샤를 7세와 같은 군주들은 교회를 무시했다. 그의 궁정에서 여성들은 가슴, 가슴골, 유두를 볼 수 있는 옷을 입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1450년 샤를 7세의 정부였던 아녜스 소렐은 프랑스 궁정에서 가슴을 완전히 드러낸 깊고 낮은 사각형의 데콜레 드레스를 입으면서 패션 유행을 시작했다.
초기 근대
편집유럽 전역에서, 데콜타주는 종종 중세 후기 드레스의 특징이었다. 이는 빅토리아 시대까지 계속되었다. 여성의 목과 가슴 윗부분을 드러내는 드레스들은 적어도 11세기부터 19세기 중반까지 유럽에서 매우 흔했고 논란의 여지가 없었다. 무도복과 이브닝 드레스들은 특히 갈라짐을 드러내고 강조하기 위해 디자인된 낮고 정사각형의 데콜타주를 가졌다.[26][27]
르네상스와 19세기 사이의 많은 유럽 사회에서는 한쪽 또는 양쪽 가슴을 드러내는 로우컷 드레스를 입는 것이 21세기 초보다 더 용인되었다. 드러난 여성의 다리, 발목, 어깨는 노출된 가슴보다 더 외설적인 것으로 간주되었다.[28][29]
귀족과 상류층에서, 유방의 과시는 때때로 아름다움, 부, 사회적 지위의 표시인 지위 상징으로 간주되었다.[30] 드러난 가슴은 그 시대의 예술, 조각, 건축에 영향을 준 고대 그리스의 누드 조각과의 연관성을 불러일으켰다.[31]
16세기 중반 튀르키예에서는 쉴레이만 1세 통치 기간 동안 존경받는 규정에 따라 "존경받는" 여성들이 가슴골이 노출된 세련된 드레스를 입는 것이 허용되었다. 이 특권은 "매춘부"에게 거부되어 생계에 관심을 끌 수 없었다.[32] 오스만 제국의 인기 있는 여성 의류인 엔타리는 코르셋이 없는 유럽의 코르셋 보디체와 비슷했다. 좁은 상단과 좁고 길고 급락하는 데콜테는 넉넉한 가슴골을 드러냈다.[33][34] 이 무렵, 가슴이 출산의 상징으로 여겨졌던 레반트 지역의 기혼 여성들 사이에서 가슴골이 드러나는 감바즈 가운이 받아들여졌다.[35]
16세기 인도 무굴 제국시대에 힌두교 여성들은 어깨와 가슴을 가리며 옷을 많이 입은 정복자들을 모방하기 시작했지만,[36] 동시대 그림에서는 무굴 궁전의 여성들이 라지푸트 스타일의 콜리스와[37] 가슴 장신구를 착용한 것으로 종종 묘사되었다.[38] 무굴 그림은 종종 매우 대담한 데콜테를 가진 여성을 묘사했다.[39] 동시대의 라지푸트 회화는 가슴 윗부분만 덮는 반투명 콜리스를 입은 여성을 묘사하는 경우가 많다.[40] 16세기에 스페인 정복자들이 잉카 제국을 식민지화했을 때, 전통적인 가슴골이 드러나는 화려한 잉카 드레스는 높은 목과 가려진 가슴으로 대체되었다.[41]
16세기 유럽 사회에서는 가슴을 노출한 여성 패션이 계층을 막론하고 흔했다. 안 드 브르타뉴 여공작은 스퀘어 넥라인의 드레스를 입고 그려져 있다. 낮은 사각형 데콜테 스타일은 17세기 영국에서 인기가 있었다. 메리 2세 여왕과 찰스 1세의 아내 앙리에트 마리아는 가슴을 크게 드러낸 모습으로 그려졌다. 건축가 이니고 존스는 앙리에트 마리아의 가슴을 모두 드러내는 가면극 의상을 디자인했다.[42] 고래뼈 등 뻣뻣한 소재를 사용해 원하는 실루엣을 연출한 가슴골 강조 코르셋은 16세기 중반 남성들도 코트를 위해 채택한 패션이다.[43][44]
16세기에는 어깨끈이 어깨에 붙어 있었으나 17세기에 들어서면서 어깨 아래로 내려와 팔 윗부분을 가로지르게 되었고, 17세기 중반에는 이 시대의 타원형 목선이 보편화되었다. 20세기 말에는 여성복 앞부분의 네크라인이 더욱 낮아지기 시작했다.[47] 엘리자베스 시대의 극심한 데콜타주 기간 동안 넥라인은 종종 프릴과 진주 끈으로 장식되었으며 때로는 터커와 파트렛(이탈리아에서는 태셀로[48], 프랑스에서는 라 모디스트라고 함)으로 덮였다.[49][50][51] 엘리자베스 시대 후기의 코르셋은 단단하고 억압적인 앞쪽을 가진 여성의 모습을 깊은 가슴골이 있는 평평하고 원통형의 실루엣으로 조작했다.[52] 1610년경, 플랫 칼라가 넥트림을 대체하기 시작했고, 때로는 손수건으로 덮인 자극적인 갈라짐을 허용했다.[53] 조지 시대 동안, 펜던트는 데콜타주 장식으로 인기를 얻었다.[54] 안 도트리슈는 그녀의 궁정의 여성 멤버들과 함께 가슴이 더 깊게 갈라지도록 강요하는 매우 꽉 끼는 신체와 코르셋을 착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가슴을 거의 전체적으로 노출시키는 매우 낮은 목선, 그리고 그것을 강조하기 위해 갈라진 틈에 누워있는 펜던트를 착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프랑스 대혁명 이후 데콜타주는 앞쪽이 커지고 뒤쪽이 줄어들었다.[55] 1795 ~ 1820년 패션 기간 동안 많은 여성들은 목, 가슴, 어깨가 드러나는 드레스를 입었다. 점점 더 데콜타주의 양이 일상복과 정장 가운의 주요 차이가 되었다.[56]
가슴골이 논란의 여지가 없는 것이 아니었다. 1713년 영국 신문 가디언지는 여성들이 턱걸이를 하고 목과 가슴 윗부분을 가린 채로 있는 것에 대해 불평했다. 영국 시인이자 수필가인 조지프 애디슨은 데콜타주가 너무 극단적이어서 "현재 멋진 여성의 목이 거의 몸의 절반을 차지한다"고 불평했다. 출판물들은 여성들에게 "미모를 벗기지 말라"고 충고했다. 18세기 뉴스 특파원들은 "그렇지 않으면 예의 바르고 신사적인 여성들은 평범한 매춘부처럼 보였다"고 썼다.[57]
프랑스 계몽주의 시대에 여성의 가슴은 단지 관능적인 유혹인지 아니면 어머니에서 아이에게 바치는 자연스러운 선물인지에 대한 논쟁이 있었다. 프랑스의 모든 여성들이 오픈넥 스타일을 변형하지 않고 착용한 것은 아니었다. 아델라이드 라비유기아르의 자화상(프랑스, 1785)은 세련된 데콜테 드레스를 입은 화가를 보여주고 그녀의 학생들은 얇은 손수건으로 가슴을 장식하고 있다. 거의 한 세기가 지난 후, 프랑스에서도 1855년 파리의 튀일리궁에서 열린 궁정 무도회에 참석한 지방 출신의 한 남성이 데콜레 드레스를 보고 혐오감을 느꼈으며, "젖을 뗀 이후로 그런 것을 본 적이 없다!"고 말했다고 한다.[58] 1890년에는 액체 파라핀 주사를 이용한 최초의 유방 확대술이 시행되었다.[59]
후기 근대
편집18세기 말 유럽 대륙에서는 가슴을 위로 밀어주는 가슴골을 강화하는 코르셋이 더욱 극적으로 성장했다.[61] 19세기와 20세기 초에 착용된 코르셋의 촘촘한 끈은 가슴과 엉덩이의 크기와 가슴골을 모두 강조했다. 이브닝 가운과 무도회 가운은 데콜타주를 돋보이게 하고 강조하기 위해 특별히 디자인되었다. 1849년에는 정교한 목걸이가 파티와 무도회에서 데콜타주를 장식했다.[62] 캐미솔 같은 옷을 입고, 가슴 부분이 분리되거나 가슴골이 나지 않는 고래뼈 코르셋을 입는 경향도 있었다.[63] 당시 데콜타주 드레스의 인기에도 불구하고, 초상화에서 가슴을 완전히 드러내는 것은 추잡한 여성(미녀와 매춘부)과 순수한 여성(모녀와 왕비)의 두 그룹으로 제한되었다. 북미에서는 도금 시대에 여성들이 옷에 꽃을 붙이고 보석을 세심하게 배치하여 가슴골을 장식했다.[64]
19세기 중후반의 빅토리아 시대에는 여성이 공공장소에서 가슴을 가려야 한다는 사회적 태도가 있었다. 높은 칼라는 평상복의 표준이었다. 이 기간이 끝날 무렵에는 풀 칼라가 유행했지만 일부 데콜테 드레스는 공식적인 자리에서 입었다. 이를 위해 어깨 아래로 눕혀져 있고 7.6 ~ 15.2㎝ 길이의 레이스나 다른 장식재로 다듬는 경우가 많았던 베르타 넥라인은 중상류층 여성들에게 인기를 끌었지만 서민층 여성들이 그만큼 피부를 드러내는 것은 사회적으로 용납될 수 없는 일이었다.[65][66] 데콜타주를 덮기 위해 진주 목걸이를 여러 개 착용했다.[67] 베르타 넥라인과 함께 코르셋에서 스트랩이 제거되고 숄이 필수로 만들어졌다.[68]
1904년에는 저녁 복장의 넥라인이 낮아져 어깨가 노출되었으며, 때로는 끈이 없었지만 넥라인은 여전히 가슴골 위로 끝났다.[69] 1913년경에 적당한 둥근 모양이나 V자 모양의 네크라인이 있는 드레스가 유행하자 전 세계의 성직자들은 충격을 받았다. 독일 제국에서는 로마 카톨릭 주교들도 합류하여 새로운 패션을 공격하는 목회 서한을 발행했다.[70] 에드워드 시대에는 가슴골의 기미가 없는 극한의 융기가 활처럼 유행했다.[71] 1908년에는 몸통 전면 내부에 단일 고무 패드 또는 "가슴 형태"를 착용하여 가슴골을 거의 볼 수 없게 만들었다.[72]
1920년대 플래퍼 세대는 가슴을 납작하게 만들어 가슴에 붕대를 감거나 가슴 래터너를 활용하는 유행하는 '소년 소녀' 룩을 채택했다.[73] 코르셋은 1917년에 유행에서 뒤처지게 되었는데, 이때는 제1차 세계대전[74]과 소년 같은 인물들의 유행으로 탱크와 군수품을 만들기 위해 금속이 필요했기 때문이다.[75] 뉴질랜드에서는 1914년 데콜테 의류의 초기 등장이 곧 "플랫" 패션으로 대체되었다.[76] 유방 억제가 서구 세계에서 널리 퍼져 있었기 때문에 미국 의사 릴리안 파라는 "처녀 위축성 탈출 유방"을 당시의 패션 필수 요소로 여겼다.[77] 1920년에는 유방확대술을 위해 파라핀을 복부와 엉덩이에서 채취한 지방 조직으로 대체했다.
1914년, 뉴욕의 사교계 명사인 메리 펠프스 제이콥(Mary Pelps Jacob)은 이 옷을 "뒷면이 없는 브래지어"라고 특허를 냈고, 몇 백 벌의 옷을 만든 후, 그녀는 그 특허를 워너 브라더스 코르셋 컴퍼니에 1,500달러에 팔았다. 이후 30년 동안 워너 브라더스는 제이콥의 디자인으로 1,500만 달러 이상을 벌었다.[80][81] 다음 세기 동안 브래지어 산업은 가슴골 수요의 영향을 받아 많은 부침을 겪었다.[82]
1930년대에 더욱 여성스러운 모습으로 돌아오면서 코르셋은 대공황이 한창일 때도 강력한 수요를 유지했다. 1920년대부터 1940년대까지 코르셋 제조업체들은 젊은 여성들에게 코르셋 사용법을 교육하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했지만,[83] 제1차 세계 대전 동안 서구 사회에서 다리 노출이 더 많이 받아들여지면서 거의 반세기 동안 패션은 데콜레타주 측면에서 더 절제되었다.[84]
1940년대에는 브래지어 중앙에 상당한 양의 천을 배치하여 가슴을 밀어넣는 대신 가슴골을 만들어 내는 효과를 냈다.[85] 1947년에는 할리우드의 프레데릭 멜린저가 처음으로 패딩 브래지어를 제작했고, 1년 후에는 "The Rising Star"라는 이름의 초기 푸시업 버전이 출시되었다. 그 10년 동안 크리스티앙 디오르는 신축성 있는 코르셋, 패드, 엉덩이를 넓어 보이게 하고 허리를 잘록하게 하며 가슴을 들어올려 주는 쉐이핑 거들이 포함된 "뉴룩"을 선보였다.[86]
1934년부터 1968년까지 미국에서 시행된 헤이스 코드에 따르면 과도한 가슴골 묘사는 허용되지 않았다. 많은 여성 배우들이 이러한 기준을 어겼으며, 다른 연예인, 연기자, 모델들도 이를 따랐고 대중들도 크게 뒤쳐지지 않았다. 다양한 깊이의 로우 컷 스타일이 일반적이었다.[87] 전후 기간에 가슴골은 결정적인 상징이 되었다. 작가 피터 루이스에 따르면 "가슴 또는 가슴골은 50년대에 성감대의 신격화였습니다. 가슴은 모든 눈의 사과였습니다."[88] 이 무렵부터 가슴 사이의 공간을 정의하는 데 미국 단어 "cleavage" 가슴골이 사용되기 시작했다.[89]
개선
편집역사를 통틀어, 여성들은 자신만의 신체적인 매력과 여성성을 강화하기 위해 패션과 겸손이라는 문화적인 규범의 맥락 안에서 유방의 강조와 표시를 포함한 많은 방법들을 사용해 왔다. 가슴 페티시화는 여성들에게 올바른 가슴을 가지고 그로 인한 가슴골에 대해 상당한 불안감을 초래한다. 이러한 필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모든 종류의 운동, 브래지어 및 기타 가슴 개선 방법들이 권장되고 광고되어 왔다.[90]
코르셋류 및 브래지어
편집코르셋류와 브래지어는 종종 가슴골을 강화하는 데 사용되는데, 작가 난 맥냅은 "여성이 가슴을 바꾸는 가장 빠른 방법은 브래지어를 사는 것이라고 한다"고 주장한다.[93] 브래지어가 인기를 끌기 전에는 가슴을 코르셋과 뼈대와 레이스로 만든 "가슴 개선제"라고 불리는 의류가 사용되었다.[94][95]
코르셋의 유행이 가라 앉으면서 브래지어와 패딩은 가슴을 투영하고 돋보이게 하며 강조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여성들은 긴 줄의 브래지어, 내장된 등받이, 컵 사이의 쐐기 모양의 삽입물, 더 넓은 끈, 라스텍스, 컵 아래의 단단한 밴드, 그리고 가벼운 뼈대를 선택할 수 있었다.[96] 2020년에는 원더브라, 프레드릭의 할리우드, 에이전트 프로보나터, 빅토리아 시크릿 등 여러 란제리 및 보정속옷 제조업체가 가슴골을 강화한 브래지어를 생산하며 언더와이어, 패딩, 플런지, 푸시업 브래지어 등 30여 종의 브래지어를 제공하고 있다.[97][98]
언더와이어 브래지어의 개발은 1930년대에 시작되었지만,[99]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나고 금속이 가정용으로 사용되던 1950년대까지 널리 인기를 얻지 못했다.[100][101] 언더와이어 브래지어에서, 금속, 플라스틱 또는 수지의 얇은 스트립(일반적으로 양쪽 끝에 나일론 코팅이 있음)이 브래지어 천에 꿰매어져 있으며, 센터 고어에서 겨드랑이까지 각 컵 아래에 꿰메어져 있다. 삽입물은 가슴을 들어올리고, 분리하고, 모양을 만들고, 지지하는 데 도움을 준다.[102][103] 언더와이어 브래지어는 가슴을 문지르고 눌러 피부 자극과 가슴 통증을 유발할 수 있으며, 착용한 브래지어의 와이어가 천에서 튀어나올 수 있다.[104]
패딩 브래지어는 컵에 폼, 실리콘, 젤, 공기, 액체 등의 추가 소재를 넣어 가슴을 더욱 풍만하게 보이도록 도와준다.[105] 다양한 디자인으로 커버력과 지지력을 제공하고, 젖꼭지를 숨기고, 멀리 떨어져 있는 가슴에 모양을 더해주며 편안함을 더한다. 점진적인 패딩은 컵 하단에 패딩이 더 많고, 상단으로 갈수록 점점 가늘어진다.[106] 일부 패딩 브라는 넥이 깊은 드레스에 맞게 제작된다.[107]
플런지 브래지어는 윗부분을 노출한 채 유두와 가슴 아랫부분을 감싸주며, 로우컷 탑과 깊은 브이넥에 적합하다.[107] 또한 플런지 브래지어는 더 낮고 짧으며 좁은 중앙 고어를 가지고 있어 고어가 가슴 중앙에서 몇 인치 아래로 떨어지도록 하여 가슴골을 증가시키면서 지지력을 유지한다.[108][109][110][111] 플런지 브래지어는 패드를 덧대거나 가슴을 밀어서 가슴골을 만들 수 있다.[109][112]
20세기 중반에 등장한 푸쉬업 브래지어는 패드의 위치가 다른 패딩 브라와 달리 패딩 컵을 사용하여 가슴을 위쪽으로 밀착시켜 더욱 풍성한 느낌을 주도록 디자인되었다.[113][114][115] 가슴의 윗부분과 안쪽 부분을 드러내지 않아 가슴골이 더 커진다. 대부분의 푸시업 브래지어에는 추가적인 리프팅과 지지력을 위해 언더와이어가 있으며, 패딩은 일반적으로 폼으로 만들어진다.[107] 원더브라는 푸시업 브래지어에 세 부분으로 구성된 컵, 언더와이어, 정밀하게 각진 등받이, 견고한 스트랩, 탈부착 가능한 "쿠키"를 포함하여 54가지 디자인 요소를 사용했다.[114]
어떤 형태의 운동에서는 스포츠 브라로 지지되지 않는 가슴이 처질 위험이 더 높다.[116][117] 저자 태피 브로데서 아크너는 스포츠 브라나 가슴을 함께 누르는 푸시업 브라를 장시간 착용하면 가슴골 주름이 발생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주름은 피부의 콜라겐이 나이가 들거나 햇빛에 노출됨에 따라 분해되기 시작하면서 더 오래 유지된다. 자연적이든 수술적이든 큰 가슴을 가진 여성들은 주름이 생기는 고통을 더 많이 받는다.[118] 가슴골 주름을 최소화하는 브래지어 디자인에 대한 주장이 있었다.[119] 스킨케어 제품 제조업체인 스킨 리퍼블릭의 설립자인 서맨사 윌슨은 보톡스[120][118]를 통해 주름을 줄일 수 있으며, 인텐시브 펄스광(IPM), 콜라겐 유도 요법(CIT) 및 고강도 집속 초음파를 통해서도 주름을 줄일 수 있다고 밝혔다.[121] 2009년 슬로베니아의 란제리 제조업체인 리스카는 착용자가 성적으로 흥분할 때 가슴을 더 밀어주는 첨단 기술인 "스마트 메모리 브라"를 출시했다.[122][123]
남성의 가슴골
편집낮은 목선이나 단추가 풀린 셔츠로 인해 발생하는 남성의 가슴골(영어로는 "heavage"라고도 함)는 1920년대부터 영화의 트렌드였다. 더글러스 페어뱅크스는 바그다드의 도둑 (1924년 영화)과 "아이언 마스크" (1929)를 포함한 영화에서 가슴을 드러냈고, 에롤 플린은 1938년 영화 "로빈 훗의 모험"과 같은 영화에서 남성의 가슴골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미학은 1950년대와 1960년대에도 로빈 후드의 모험에서 가슴을 드러낸 말론 브란도와 많은 제임스 본드 영화에서 숀 코너리와 같은 영화배우들과 함께 계속되었지만, 패션 역사가 로버트 브라이언에 따르면 1970년대 이후에는 유행에서 벗어났다. 이는 토요일 밤의 열기(1977)에서 존 트래볼타가 요약한 "남성 가슴털의 황금기"였다.[127]
이 룩은 1970년대 믹 재거와 버트 레이놀즈, 2010년대에는 해리 스타일스, 주드 로, 사이먼 코웰, 카니예 웨스트와 같은 유명인들에게도 인기를 끌었다.[128][129] 1970년대에는 남성과 여성 모두 옷에 대한 반패션적 접근 방식과 레저 웨어의 부상으로 인해 셔츠 단추를 풀고 편안한 유니섹스 스타일을 채택하는 남성이 많아졌다.[130][131][132] 새로운 남성적인 스타일이 발전하면서 게이 남성들은 "땀에 젖은 가슴 위로 단추가 반쯤 풀린 셔츠"와 타이트한 청바지를 입고 전통적으로 남성적이거나 노동계층적인 스타일을 채택하여 게이 남성이 여성이 되고 싶어한다는 생각을 거부했다.
인도에서는 발리우드 영화배우 살만 칸(이코노믹 타임즈에 의해 "가슴골의 왕"으로 명명됨), 1990년대 셰카르 수만, 2000년대 샤히드 카푸르와 악샤이 쿠마르가 함께 인기를 얻었다.[133][134][135] 남성의 가슴골은 2010년대에 특히 힙스터와 히스패닉계, 라틴계 미국인 사이에서 다시 유행했다.[127][128][129] 스타일리스트 크리스티안 초이는 남성의 가슴골이 다시 유행하기 시작한 이유를 몸매와 개인적인 스타일에 대한 욕구 때문이라고 말한다.[136] 패션 사업가 하비 폴빈은 남성용 브이넥은 칼라에서 2~4인치 사이여야 한다고 말했다.[137] 일부 남성은 가슴골을 개선하기 위해 가슴 털을 관리한다("맨스케이핑"이라고도 함).[138][127][128][129][133]
남성용 브래지어
편집여장을 하는 일부 남성은 다른 옷 중에서 브래지어를 선택한다.[139] 브래지어는 느낌이나 실루엣을 고려하여 착용할 수 있다.[140] 남성용 브래지어는 컵 내부에 충전재를 제공하여 가슴골을 만들 수 있다.[141] 2000년대 말까지 남성용 브래지어는 온라인 구매 품목으로 일본 남성들에게 잠시 인기를 끌었다.[142][143]
남성 유방 발달의 대부분은 남성의 유방 발달을 유발하는 내분비 질환인 여성형유방증에 기인한다.[144][145][146][147] 이 장애가 심리적 고통을 유발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148] 일부 남성은 가슴골을 들어올리기보다는 납작하게 만들기 위해 남성용 브래지어[146][149][150]를 착용한다.[151] 남성의 가슴을 줄이는 데는 유산소 운동과 근력 트레이닝 같은 운동도 권장된다.[152] 더 심각한 경우에는 의학적 치료에 외과적 개입이 포함될 수 있다.[153] 영국미용성형외과의사협회(BAAPS)에 따르면 2008년 영국에서 유방 축소 수술을 받은 남성은 323명으로 2007년에 비해 44% 증가했다.[144]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2024년 1월 10일에 확인함.
- ↑ James S. Olson (2005). 《Bathsheba's Breast: Women, Cancer, and History》. JHU Press. 324쪽. ISBN 978-0801880643.
- ↑ Alessandro Bongioanni; Maria Sole Croce (2003). 《The Treasures of Ancient Egypt from the Egyptian Museum in Cairo》. Rizzoli. 79쪽. ISBN 978-0789309860.
Nofret is wrapped in a shawl that resembles archaic models and leaves visible the shoulders of her dress. Her pale yellow face is framed by a heavy two-part wig softened by a charming floral diadem. The prominent forms of the woman emerge voluptuously but discreetly from behind the light material that covers her and create a pleasant contrast with the lean, flaunted physique of her husband; the contrast is further emphasized by the elaborate necklace that adorns her décolleté compared to Rahotep's sober choker.
- ↑ Rodney Castleden (2002). 《Minoans: Life in Bronze Age Crete》. Routledge. 13쪽. ISBN 978-1134880645.
- ↑ Barbara Sher Tinsley (2006). 《Reconstructing Western Civilization: Irreverent Essays on Antiquity》. Susquehanna University Press. 111쪽. ISBN 978-1575910956.
- ↑ Mary Ellen Snodgrass (2015). 《World Clothing and Fashion》. Routledge. 284쪽. ISBN 978-1317451679.
- ↑ Daniel Delis Hill (2007). 《As Seen in Vogue: A Century of American Fashion in Advertising》. Texas Tech University Press. 144쪽. ISBN 978-0896726161.
- ↑ Arthur Cotterell (1980). 《The Minoan World》. Scribner. 163쪽. ISBN 978-0684166674.
- ↑ Gordon L. Fain (2010). 《Ancient Greek Epigram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13쪽. ISBN 978-0520265790.
- ↑ Lloyd Llewellyn-Jones; Glenys Davies (2007). 《Greek and Roman Dress from A to Z》. Routledge. 23쪽. ISBN 978-1134589166.
- ↑ Elodie Piveteau; Philippe Vaurès (2005). 《Underdressed》. Silverback Books. 2 104, 110쪽. ISBN 978-2752801500.
- ↑ Peter Wald (1996). 《Yemen》. Pallas Athene. 283쪽. ISBN 978-1873429112.
- ↑ Leonard J. Swidler (1976). 《Women in Judaism: The Status of Women in Formative Judaism》. Scarecrow Press. 160쪽. ISBN 978-0810809048.
- ↑ Cho-yun Hsu (2012). 《China: A New Cultural History》. Columbia University Press. 220쪽. ISBN 978-0231528184.
- ↑ Bret Hinsch (2019). 《Women in Tang China》. Rowman & Littlefield. 149쪽. ISBN 978-1538134900.
- ↑ Pooja Khurana (2007). 《Introduction to Fashion Technology》. Firewall Media. 12쪽. ISBN 978-8131801901.
- ↑ Marybelle S. Bigelow; Kay Kushino (1979). 《Fashion in History: Western Dress, Prehistoric to Present》. Burgess Publishing Company. 147쪽. ISBN 978-0808728009.
- ↑ Carl Fors (2006). 《Hens: Why Women Are Different》. Infinity Publishing. 308쪽. ISBN 978-0741429544.
- ↑ Monique Canellas-Zimmer (2005). 《Histoires de mode》. Les Dossiers d'Aquitaine. ISBN 978-2846221191.
- ↑ 〈Dress〉. 《The New Encyclopaedia Britannica》. 《Encyclopaedia Britannica》. 3 5. 1980. 1027쪽. ISBN 978-0852293607.
- ↑ Fred Harding (2006). 《Breast Cancer: Cause, Prevention, Cure》. Tekline Publishing. 109쪽. ISBN 978-0955422102.
- ↑ Elodie Piveteau; Philippe Vaurès (2005). 《Underdressed》. Silverback Books. 124쪽. ISBN 978-2752801500.
- ↑ Suzi Parker (2013년 2월 13일). “With CBS breast ban, the Grammy Awards take a leap back in time”. 《The Washington Post》.
- ↑ Grace Sparapani (2015년 9월 24일). “The Small Town Banning the Underboob, but Totally Chill With Public Boners”. 《Vice》.
- ↑ “Thailand warns women who post 'underboob' photos face five years in jail”. 《The Guardian》. Reuters. 2015년 3월 16일.
- ↑ Gernsheim, Alison (1981). 《Victorian and Edwardian Fashion. A Photographic Survey》 Reprint of 1963판. Mineola: Dover Publications. 25–26, 43, 53, 63쪽. ISBN 0486242056.
- ↑ Desmond Morris (2004). 《The Naked Woman. A Study of the Female Body》. New York: Thomas Dunne Books. 156쪽. ISBN 0312338538.
- ↑ C. Willett; Phillis Cunnington (1981). 《The History of Underclothes》. London: Faber & Faber. 34쪽. ISBN 978-0486271248.
- ↑ Terry Breverton (2014). 《Everything You Ever Wanted to know about the Tudors but were afraid to ask》. Amberley Publishing Limited. 186쪽. ISBN 978-1445638454.
- ↑ “French Caricature”. University of Virginia Health System. 2010년 6월 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1월 13일에 확인함.
- ↑ Gent, Lucy; Llewellyn, Nigel, 편집. (1990). 《Renaissance Bodies: The Human Figure in English Culture c. 1540–1660》. London: Reaktion Books.
- ↑ Jonathan Dewald (2004). 《Europe 1450 to 1789》. Charles Scribner's Sons. 546쪽. ISBN 978-0684312057.
- ↑ Charlotte A. Jirousek (2019). 《Ottoman Dress and Design in the West》. Indiana University Press. 179쪽. ISBN 978-0253042194.
- ↑ Jennifer M. Scarce (2014). 《Women's Costume of the Near and Middle East》. Routledge. 60쪽. ISBN 978-1136783852.
- ↑ Margaret Clark Keatinge (1955). 《Costumes of the Levant》. Khayat's College Book Cooperative. 7쪽.
- ↑ Lois May Burger (1963). 《A Study of Change in Dress as Related to Social and Political Conditions in an Area of North India》. Cornell University. 41쪽.
- ↑ “Indian History Congress Proceedings”. Indian History Congress. 1967. 274쪽.
- ↑ Abraham Eraly (2007). 《The Mughal World: Life in India's Last Golden Age》. Penguin Books India. 141쪽. ISBN 978-0143102625.
- ↑ J.M. Rogers (1978). 《Myth and ceremony in Islamic painting》. British Museum. 30쪽.
- ↑ Joachim Bautze (1987). 《Indian Miniature Paintings, C. 1590-c. 1850》. Little Arts. 8쪽. ISBN 978-9072085023.
- ↑ Joyce E. Salisbury (2004). 《The Greenwood Encyclopedia of Daily Life: 15th and 16th centuries》. Greenwood Press. 229–230쪽. ISBN 978-0313325441.
- ↑ “Historian Reveals Janet Jackson's 'Accidental' Exposing of Her Breast was the Height of Fashion in the 1600s” (보도 자료). University of Warwick. 2004년 5월 5일. 2004년 8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 Jill, Condra (2008). 《The Greenwood Encyclopedia of Clothing Through World History》. Greenwood Publishing Group. 152쪽. ISBN 978-0313336645.
- ↑ Fury, Alexander (2016년 11월 25일). “Can a Corset Be Feminist?”. 《The New York Times》.
- ↑ James S. Olson (2005). 《Bathsheba's Breast: Women, Cancer, and History》. JHU Press. 24쪽. ISBN 978-0801880643.
- ↑ Fred Harding (2006). 《Breast Cancer: Cause, Prevention, Cure》. Tekline Publishing. 110쪽. ISBN 978-0955422102.
- ↑ Norah Waugh (2015). 《Corsets and Crinolines》. Routledge. 19–21쪽. ISBN 978-1135874025.
- ↑ Rosana Pistolese (1983). 《History of Fashions Through Art》. Crochet. 146쪽. ASIN B0007B33KG.
- ↑ J. Anderson Black; Madge Garland (1975). 《A History of Fashion》. Morrow. 380쪽. ISBN 978-0688028930.
- ↑ Elizabeth J. Lewandowski (2011). 《The Complete Costume Dictionary》. Scarecrow Press. 299쪽. ISBN 978-0810840041.
- ↑ Marie-Louise d'Otrange Mastai (1981). 《Jewelry》. Cooper-Hewitt Museum. 85쪽.
- ↑ S Ashdown (2007). 《Sizing in Clothing》. Elsevier. 313쪽. ISBN 978-1845692582.
- ↑ Marybelle S. Bigelow; Kay Kushino (1979). 《Fashion in History: Western Dress, Prehistoric to Present》. Burgess Publishing Company. 179쪽. ISBN 978-0808728009.
- ↑ Miller, Anna M. (2012). 《Illustrated Guide to Jewelry Appraising: Antique, Period, and Modern》. Springer Science+Business Media. 70쪽. ISBN 978-1461597179.
- ↑ Pillai, S. Devadas (1997). 《Indian Sociology Through Ghurye, a Dictionary》 (영어). Popular Prakashan. ISBN 978-8171548071.
- ↑ Bigelow, Marybelle S.; Kushino, Kay (1979). 《Fashion in History: Western Dress, Prehistoric to Present》. Burgess Publishing Company. 239쪽. ISBN 978-0808728009.
- ↑ Tracy E. Robey (2017년 12월 21일). “There Was Never a Time When Western Society Wasn't Weird About Cleavage”. 《Racked》.
- ↑ Gernsheim, Alison (1981). 《Victorian and Edwardian Fashion. A Photographic Survey》 Reprint of 1963판. Mineola, NY: Dover Publications. 43쪽. ISBN 0486242056.
- ↑ Jeffrey Weinzweig (2010). 《Plastic Surgery Secrets》. Elsevier Health Sciences. 441쪽. ISBN 978-0323085908.
- ↑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Guide》 63. Metropolitan Museum of Art. 2012. 347쪽. ISBN 978-1588394552.
- ↑ Spooner, Catherine (2004). 《Fashioning Gothic Bodies》. Manchester University Press. 28쪽. ISBN 0719064015.
- ↑ Blanche Payne; Geitel Winakor; Jane Farrell-Beck (1992). 《The History of Costume: From Ancient Mesopotamia Through the Twentieth Century》. HarperCollins. 491쪽. ISBN 978-0060471415.
- ↑ Elizabeth Ewing (2010). 《Fashion in Underwear: From Babylon to Bikini Briefs》. Courier Corporation. 61쪽. ISBN 978-0486476490.
- ↑ Greg King (2009). 《A Season of Splendor: The Court of Mrs. Astor in Gilded Age New York》. Wiley. 229쪽. ISBN 978-0470185698.
- ↑ “Neck-line Bertha: The Glamorous Fashion Style for Victorian Women”. 《Vintage News Daily》. 2021년 4월 23일. 2022년 7월 1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6월 3일에 확인함.
- ↑ “Bertha”. 《Collins Dictionary》. 2023년 6월 3일에 확인함.
- ↑ Nancy J. Armstrong (1976). 《Victorian Jewelry》. Macmillan. 135쪽. ISBN 978-0025032200.
- ↑ AO (2020년 5월 31일). “The Iconic Women's Fashion of the Victorian Times”. 《History Things》.
- ↑ Kathleen Mabel La Barre (2003). 《Reference Book of Women's Vintage Clothing, 1900–1909》. La Barre Books. 34쪽. ISBN 978-0967703503.
- ↑ Gernsheim, Alison (1981). 《Victorian and Edwardian Fashion. A Photographic Survey》 Reprint of 1963판. Mineola, NY: Dover Publications. 94쪽. ISBN 0486242056.
- ↑ Elizabeth Ewing (2010). 《Fashion in Underwear: From Babylon to Bikini Briefs》. Courier Corporation. 79쪽. ISBN 978-0486476490.
- ↑ Sherrie A. Inness (1998). 《Delinquents and Debutantes: Twentieth-century American Girls' Cultures》. New York University Press. 117쪽. ISBN 978-0814737651.
- ↑ Marlen Komar (2016년 1월 20일). “The Evolution Of Cleavage "Ideals"”. 《Bustle》.
- ↑ Jihan Forbes (2013년 11월 13일). “A Brief History Of The Bra”. 《Elle》.
- ↑ Jill Fields (2007). 《An Intimate Affair: Women, Lingerie, and Sexualit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75쪽. ISBN 978-0520223691.
- ↑ Sandra Coney (1993). 《Standing in the Sunshine: A History of New Zealand Women Since They Won the Vote》. Viking Press. 115쪽. ISBN 978-0670846283.
- ↑ Nora Jacobson (2000). 《Cleavage: Technology, Controversy, and the Ironies of the Man-made Breast》. Rutgers University Press. 56쪽. ISBN 978-0813527154.
- ↑ Paul Fryer; Olga Usova (2014). 《Lina Cavalieri: The Life of Opera's Greatest Beauty, 1874–1944》. McFarland & Company. 79쪽. ISBN 978-0786480654.
- ↑ “Marilyn Monroe voted cleavage queen”. 《Hindustan Times》. Asian News International. 2012년 6월 26일.
- ↑ Staff Reporter (2014년 11월 4일). “100 years of everyone's favourite undergarment”. 《Deccan Chronicle》.
- ↑ Misha Ketchell (2014년 11월 5일). “The story of … the bra”. 《The Conversation》.
- ↑ Kevin Hillstrom; Mary K. Ruby (1994). 《Encyclopedia of American Industries: Manufacturing industries》. Gale Research. 258쪽. ISBN 978-0810389984.
- ↑ Jill Fields (2007). 《An Intimate Affair: Women, Lingerie, and Sexualit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71쪽. ISBN 978-0520223691.
- ↑ Johnson, Kim K.P.; Torntore, Susan J.; Eicher, Joanne Bubolz (2003). 《Fashion foundations》. Berg Publishers. 716쪽. ISBN 185973619X.
- ↑ Debbie Wells (2011). 《1940's Style Guide》. CreateSpace. 33쪽. ISBN 978-1460916889.[개인 출판 출처]
- ↑ Robert Sickels; Robert J. Sickels (2004). 《The 1940s》. Greenwood Publishing Group. 88쪽. ISBN 978-0313312991.
- ↑ Rowan Pelling (2013년 10월 6일). “100 years of the bra – a girl's best friend”. 《The Daily Telegraph》. 2020년 8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12월 15일에 확인함.
- ↑ Caroline Cox (2006). 《Seduction: A Celebration of Sensual Style》 10. Mitchell Beazley. 119쪽. ISBN 978-1845332143.
- ↑ Alison Carter (1992). 《Underwear, the Fashion History》. Drama Book Publishers. 113쪽. ISBN 978-0896761209.
- ↑ Ann Ferguson; Mechthild Nagel (2009). 《Dancing with Iris》. Oxford University Press. 43쪽. ISBN 978-0199738298.
- ↑ Riordan, Teresa (2002년 10월 28일). “Patents; In bra technology, an incremental improvement can translate into comfort”. 《The New York Times》. 2009년 4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4월 21일에 확인함.
- ↑ US patent 494397, Marie Tucek, "Breast Supporter", issued 1893-03-28
- ↑ Nan McNab (2001). 《Body Bizarre, Body Beautiful》. Simon & Schuster. 90쪽. ISBN 978-0743213042.
- ↑ Jill Fields (2007). 《An Intimate Affair: Women, Lingerie, and Sexualit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81쪽. ISBN 978-0520223691.
- ↑ Bettijane Eisenpreis (1999). 《Coping: A Young Woman's Guide to Breast Cancer Prevention》. Rosen Publishing Group. 51쪽. ISBN 978-0823929672.
- ↑ Jane Farrell-Beck; Colleen Gau (2002). 《Uplift: The Bra in America》.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73쪽. ISBN 978-0812218350.
- ↑ Victoria Pitts-Taylor (2008). 《Cultural Encyclopedia of the Body》 1. ABC-CLIO. 49쪽. ISBN 978-1567206913.
- ↑ Carol Odero (2019년 11월 9일). “How well do you know your breasts?”. 《Daily Nation》.
- ↑ Napoleon, Anthony (2003). 〈Wardrobe〉. 《Awakening Beauty: An Illustrated Look at Mankind's Love and Hatred of Beauty》 Illurat판. Virtual Bookworm Publishing. 31, 130–131쪽. ISBN 978-1589393783. 2009년 4월 21일에 확인함.
- ↑ Kanner, Bernice (1983년 12월 12일). “The Bra's not for Burning”. 《New York》. 16권 49호 (New York Media). 26–30쪽. ISSN 0028-7369. 2009년 4월 21일에 확인함.
In 1938, strapless and under-wire bras were invented, but neither hit it big until the 1950s, when exaggerated, pointed bras—with cups that bore more resemblance to those from paper-cup dispensers or Brünnhilde's breastplate than to the human body—were also popular.
- ↑ Seigel, Jessica (2004년 2월 13일). “The Cups Runneth Over”. 《The New York Times》. 2013년 5월 9일에 확인함.
The new lift and separation evolved into the torpedo shape of the 1940s, which went nuclear with underwire in the 1950s, when the war's end freed metal for domestic use [...] The struggle to buttress what is naturally low-lying has produced its own mythology, like the legend that in the 1940s Howard Hughes used airplane technology to build a better bra for Jane Russell in The Outlaw.
- ↑ Kehaulani, Sara (2004년 12월 10일). “Functional Fashion Helps Some Through Airport Checkpoints”. 《The Washington Post》. 2면. 2009년 4월 24일에 확인함.
- ↑ Madaras, Lynda (2007). 《The "what's happening to my body?" book for girls》 Thi판. Newmarket Press. 48–50쪽. ISBN 978-1557047649. 2009년 4월 21일에 확인함.
- ↑ Legato, Marianne J.; Colman, Carol (April 2014). 《What Women Need to Know》. E-Reads. 33–34쪽. ISBN 978-0759254442. 2021년 10월 4일에 확인함.
- ↑ Amy Wallace. “California or Bust”. 《Los Angeles》. 47권 1호. 43쪽. ISSN 1522-9149.
- ↑ Jené Luciani (2009). 《The Bra Book: The Fashion Formula to Finding the Perfect Bra》. BenBella Books. 32쪽. ISBN 978-1933771946.
- ↑ 가 나 다 Pratima Ati (2020년 1월 20일). “30 Types of Bras Every Woman Should Know – A Complete Guide”. 《Stylecraze》.
- ↑ Aleesha Harris (2017년 1월 28일). “The Fit Fight”. 《Montreal Gazette》 – PressReader 경유.
- ↑ 가 나 Cora Harrington (2018). 《In Intimate Detail: How to Choose, Wear, and Love Lingerie》. Rodale. 64쪽. ISBN 978-0399580642.
- ↑ Kathryn Kemp-Griffin (2017). 《Paris Undressed: The Secrets of French Lingerie》. Atlantic Books. 34쪽. ISBN 978-1952535901.
- ↑ Jené Luciani (2009). 《The Bra Book: The Fashion Formula to Finding the Perfect Bra》. BenBella Books. 34쪽. ISBN 978-1933771946.
- ↑ Jane Farrell-Beck; Colleen Gau (2002). 《Uplift: The Bra in America》.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141쪽. ISBN 978-0812218350.
- ↑ Jené Luciani (2009). 《The Bra Book: The Fashion Formula to Finding the Perfect Bra》. BenBella Books. 35쪽. ISBN 978-1933771946.
- ↑ 가 나 Sam Stall; Lou Harry; Julia Spalding (2004). 《The Encyclopedia of Guilty Pleasures》. Quirk Books. 308쪽. ISBN 978-1931686549.
- ↑ Jane Farrell-Beck; Colleen Gau (2002). 《Uplift: The Bra in America》.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167쪽. ISBN 978-0812218350.
- ↑ Toffelmire, Amy. “Why do breasts sag?”. MedBroadcast.com. 2012년 2월 3일에 확인함.
- ↑ Scurr, Joanna C.; White, Jennifer L.; Hedger, Wendy (2010). “The effect of breast support on the kinematics of the breast during the running gait cycle”. 《Journal of Sports Sciences》 28 (10): 1103–9. doi:10.1080/02640414.2010.497542. PMID 20686995. S2CID 24387606.
- “Bouncing Breasts Spark New Bra Challenge”. 《ScienceDaily》 (보도 자료). 2007년 9월 23일.
- ↑ 가 나 Taffy Brodesser-Akner (2011년 8월 9일). “Fighting Cleavage Wrinkles”. 《The New York Times》.
- ↑ Amanda Krause (2019년 9월 21일). “A brand is selling a 'pillow bra' that's designed to prevent 'skin creases and cleavage wrinkles'”. 《Insider》.
- ↑ Merkin, Daphne (2005년 8월 28일). “The Great Divide”. 《The New York Times》.
- ↑ Hannah Hempenstall (2018년 11월 15일). “Anti-Ageing Secrets for the Décolletage”. 《Who》.
- ↑
- Mark Wilson (2009년 5월 15일). “Bra Boosts Cleavage When Women Desire Intercourse”. 《Gizmodo》. 2021년 1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8월 21일에 확인함.
- Russell, Chrissie (2009년 6월 19일). “Hotwired – the smart memory bra!”. 《Irish Independent》. 2021년 10월 17일에 확인함.
- “Bra boosts cleavage when aroused”. 《Stuff》. 2009년 5월 26일. 2021년 10월 17일에 확인함.
- ↑ Thango Ntwasa (2020년 8월 2일). “Bye bye bra? Times are changing as lingerie liberation trends in lockdown”. 《Sunday Times》.
- ↑ Daniel Delis Hill (2007). 《As Seen in Vogue: A Century of American Fashion in Advertising》. Texas Tech University Press. 110쪽. ISBN 978-0896726161.
- ↑ Sam Binkley (2007). 《Getting Loose: Lifestyle Consumption in the 1970s》. Duke University Press. 69쪽. ISBN 978-0822389514.
- ↑ Amy T. Peterson; Ann T. Kellogg (2008). 《The Greenwood Encyclopedia of Clothing Through American History 1900 to the Present》. Greenwood Press. 209쪽. ISBN 978-0313334177.
- ↑ 가 나 다 Smith, Ray A. (2009년 12월 4일). “More Men Have Something They Want to Get Off Their Chests – Their Shirts”. 《The Wall Street Journal》.
- ↑ 가 나 다 Satenstein, Liana (2017년 6월 28일). “Man Cleavage Is Back—And It's a Blessing”. 《Vogue》.
- ↑ 가 나 다 Odell, Amy (2009년 12월 3일). “Hey, Men, Get Your Boobs Out!”. 《The Cut》 (미국 영어).
- ↑ Bondi, Victor (1995). 《American Decades: 1970–1979》. Gale Research. 199쪽. ISBN 978-0810388826.
- ↑ Carlisle, Rodney P. (2009). 《Handbook to Life in America》 9. Infobase Publishing. 24쪽. ISBN 978-1438127002.
- ↑ Steele, Valerie (2005). 《Encyclopedia of Clothing and Fashion》 3. Charles Scribner's Sons. 213쪽. ISBN 978-0684313979.
- ↑ 가 나 Sabharwal, Rahul (2010년 9월 3일). “Men flaunt it too!”. 《Hindustan Times》.
- ↑ Chatterjee, Elizabeth (2013). 《Delhi: Mostly Harmless》. Random House India. 39쪽. ISBN 978-8184005103.
- ↑ Dé, Shobhaa (2014). 《Shobhaa: Never a Dull Dé》. Hay House, Inc. 28쪽. ISBN 978-9381398609.
- ↑ Kaplan, Michael (2017년 7월 28일). “Male cleavage is a thing now”. 《New York Post》.
- ↑ Silverman, Justin Rocket (2014년 5월 28일). “Heavage is big: Showing cleavage becomes an option for guys, too”. 《New York Daily News》.
- ↑ Brewer, Taliyah (2020년 2월 7일). “The ultimate guide to manscaping everybody part”. 《The Trend Spotter》.
- ↑ Coleman, Vernon (1996). 《Men in Dresses: A Study of Transvestism/crossdressing》. European Medical Journal. 37쪽. ISBN 978-1898947998.
- ↑ Bolich, Gregory G. (2006). 《Crossdressing in Context: Dress, Gender, Transgender, and Crossdressing》. Pscyhe's Press. 177쪽. ISBN 978-0615156330.
- ↑ Desk (2018년 8월 29일). “Latest fashion… men's bras”. 《IMLebanon》.
- ↑ 조선일보 (2020년 7월 26일). “日에서 남성용 브래지어 인기…“주고객은 중년 직장인들””. 2024년 1월 12일에 확인함.
- ↑
- “Bra for the boys an online bestseller in Japan”. Reuters. 2008년 11월 21일.
- “Men's bras getting a lot of support”. 《Japan Today》. 2008년 12월 12일.
- Ashcraft, Brian (2013년 7월 18일). “Japanese Male Bras Are Back? Huh?”. 《Kotaku》.
- ↑ 가 나 Rohrer, Finlo (2009년 1월 28일). “Just what is it about moobs?”. 《BBC News》.
- ↑ Harinatha, Sreekar (2020). 《The Male Breast: What You Should Know about Gynecomastia》. Notion Press. 22–24쪽. ISBN 978-1648508509.[개인 출판 출처]
- ↑ 가 나 Cox, Therese Smith (2020년 8월 1일). “Men who develop breasts more numerous than people realize”. 《Charleston Daily Mail》. 1D면.
- ↑ Niewoehner, CB; Schorer, AE (March 2008). “Gynaecomastia and breast cancer in men”. 《BMJ》 336 (7646): 709–713. doi:10.1136/bmj.39511.493391.BE. PMC 2276281. PMID 18369226.
- ↑ “Facts About Gynecomastia”. 《Tricity Institute of Plastic Surgery》. 2019년 2월 16일에 확인함.
- ↑ Read, Genevieve (2007년 7월 15일). “The curves men hate”. 《Mercury》. 16면.
- ↑ Tober, Bruce (August 2004). “Boys With Breasts”. BBC Four. 2005년 3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9월 22일에 확인함.
- ↑ McGivern, Mark; Main, Jill (2002년 1월 23일). “Men Are from Mars...”. 《Daily Record》 (Scotland). 2018년 4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7월 7일에 확인함.
- ↑
- Schultz, Rachael (2016년 10월 20일). “What Are Man Boobs, and How Do You Get Rid of Them?”. 《Men's Journal》. 2021년 3월 13일에 확인함.
- Edgley, Ross (2016년 1월 5일). “Get rid of man boobs with our workout”. 《GQ》.
- Savacool, Julia (2020년 3월 10일). “This Upper Chest Workout Will Help You Lose Your Man Boobs for Good”. 《Fatherly》.
- ↑ Cuhaci N, Polat SB, Evranos B, Ersoy R, Cakir B (2014년 3월 19일). “Gynecomastia: Clinical evaluation and management”. 《Indian J Endocrinol Metab》 18 (2): 150–58. doi:10.4103/2230-8210.129104. PMC 3987263. PMID 24741509.
외부 링크
편집- “Gender and Electronic Privacy”. Electronic Privacy Information Center.
- "Sargent's Portraits" 보관됨 2011-06-28 - 웨이백 머신, an article including a mention of the scandal caused by the portrayal of cleavage in John Singer Sargent's "Portrait of Madame X".
- "The Great Divide", The New York Times, August 28, 2005
- Sarah E. Reynolds, Boobs Out! A Perspective on Fashion, Sexuality and Equality, ResearchGa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