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런스틴 환

(고런스틴 국소환에서 넘어옴)

가환대수학에서 고런스틴 환(Gorenstein環, 영어: Gorenstein ring)은 국소적으로 표준 선다발의 단면의 가군층이 자유 가군층인 가환환이다.[1]:519 즉, 특이점을 가질 수 있지만, 특이점이 비교적으로 "정칙적인" 아핀 스킴에 대응하는 가환환이다.

정의 편집

뇌터 국소환  에 대하여 다음 조건들이 서로 동치이며, 이를 만족시키는 뇌터 국소환을 고런스틴 국소환(영어: Gorenstein local ring)이라고 한다.[2]:141–142, Theorem 18.1

  •  단사 차원이 유한하다.
  •  단사 차원크룰 차원과 같다. (뇌터 국소환의 크룰 차원은 항상 유한하다.)
  •  
  •   가 존재한다.
  • 다음 두 조건이 성립한다.
    • 모든  에 대하여,  
    •  
  •  코언-매콜리 환이며,  

여기서   크룰 차원이며,  Ext 함자이다.

뇌터 가환환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이며, 이를 만족시키는 뇌터 가환환을 고런스틴 환(영어: Gorenstein ring)이라고 한다.[2]:145

마찬가지로, 국소 뇌터 스킴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이며, 이를 만족시키는 국소 뇌터 스킴을 고런스틴 스킴(영어: Gorenstein scheme)이라고 한다.

성질 편집

다음과 같은 포함 관계가 성립한다.

정칙환완비교차환(영어: complete intersection ring) ⊊ 고런스틴 환 ⊊ 코언-매콜리 환

뇌터 국소환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2]:145, Theorem 18.3

  •  가 고런스틴 국소환이다.
  •  의 (극대 아이디얼에서의) 완비화  가 고런스틴 국소환이다.

임의의 체   위의 아르틴 가환 결합 대수(즉,  -벡터 공간으로서 유한 차원인 것)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3]:Theorem 3.15, Theorem 16.23

크룰 차원이 0인 임의의 뇌터 국소환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

  •  는 고런스틴 국소환이다.
  •   -벡터 공간으로서 1차원이다.

세르 쌍대성 편집

다음이 주어졌다고 하자.

  • 고런스틴 스킴  
  •  
  • 유한형 사상  

그렇다면, 세르 쌍대성에서, 쌍대화 복합체는 사실 하나만의 가역층으로 주어진다. (이는 쌍대화 복합체에서 등급  의 성분이다.) 물론, 만약  매끄러운 사상이라면, 이 가역층은  미분 형식가역층표준 선다발이다.

역사 편집

대니얼 고런스틴(영어: Daniel Gorenstein)의 대수 곡선에 대한 논문[4]을 바탕으로, 알렉산더 그로텐디크가 도입하였다.[5] 고런스틴 자신은 "나는 고런스틴 환의 정의조차 이해하지 못한다"고 말하는 것을 좋아했다고 한다.[1]:230

참고 문헌 편집

  1. Eisenbud, David (1995). 《Commutative algebra with a view toward algebraic geometry》. Graduate Texts in Mathematics (영어) 150. Springer-Verlag. doi:10.1007/978-1-4612-5350-1. ISBN 978-0-387-94269-8. ISSN 0072-5285. MR 1322960. Zbl 0819.13001. 
  2. Matsumura, Hideyuki (1989년 6월). 《Commutative ring theory》. Cambridge Studies in Advanced Mathematics (영어) 8. Miles Reid 역 2판. Cambridge University Press. doi:10.1017/CBO9781139171762. ISBN 978-0-521-36764-6. MR 1011461. 
  3. Lam, Tsit-Yuen (1999). 《Lectures on modules and rings》. Graduate Texts in Mathematics (영어) 189. Springer-Verlag. doi:10.1007/978-1-4612-0525-8. ISBN 978-0-387-98428-5. MR 1653294. 
  4. Gorenstein, Daniel (1952). “An arithmetic theory of adjoint plane curves”. 《Transactions of the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영어) 72: 414–436. doi:10.2307/1990710. ISSN 0002-9947. JSTOR 1990710. MR 0049591. 
  5. Grothendieck, Alexander (1957). 〈Exposé 149. Théorèmes de dualité pour les faisceaux algébriques cohérents〉. 《Séminaire Bourbaki. Volume 4: Années 1956/57 – 1957/58. Exposés 137–168》 (프랑스어). Paris: Société Mathématique de France. 169–193쪽. MR 1610898. Zbl 0227.14014. 

외부 링크 편집

같이 보기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