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t 함자는 세 가지로 정의할 수 있다.
대수학 에서 가장 중요한 경우인 환 위의 가군 범주의 경우 단사 대상을 충분히 가지는 범주 이자 사영 대상을 충분히 가지는 범주 이므로, 유도 함자 정의를 사용할 수 있다.
임의의 아벨 범주
A
{\displaystyle {\mathcal {A}}}
에 대하여, 0차 Ext 함자 는 다음과 같은 사상군 함자이다.
Ext
A
0
(
−
,
−
)
=
hom
A
(
−
,
−
)
:
A
op
×
A
→
Ab
{\displaystyle \operatorname {Ext} _{\mathcal {A}}^{0}(-,-)=\hom _{\mathcal {A}}(-,-)\colon {\mathcal {A}}^{\operatorname {op} }\times {\mathcal {A}}\to \operatorname {Ab} }
임의 아벨 범주
A
{\displaystyle {\mathcal {A}}}
의 대상
A
,
B
∈
A
{\displaystyle A,B\in {\mathcal {A}}}
에 대하여,
A
{\displaystyle A}
의
B
{\displaystyle B}
에 대한 확대 (영어 : extension of
A
{\displaystyle A}
by
B
{\displaystyle B}
)는 다음과 같은 짧은 완전열 이다.
0
→
B
→
X
→
A
→
0
{\displaystyle 0\to B\to X\to A\to 0}
두 확대 사이에 다음 그림을 가환하게 만드는 사상
X
→
X
′
{\displaystyle X\to X'}
이 존재한다면, 두 확대가 서로 동치 라고 한다.
0
→
B
→
X
→
A
→
0
‖
↓
≀
‖
0
→
B
→
X
′
→
A
→
0
{\displaystyle {\begin{matrix}0\to &B&\to &X&\to &A&\to 0\\&\|&&\downarrow \scriptstyle \wr &&\|\\0\to &B&\to &X'&\to &A&\to 0\end{matrix}}}
(이 사상
X
→
X
′
{\displaystyle X\to X'}
은 짧은 5항 보조정리 에 따라서 항상 동형 사상 이다.) 이는 확대에 대한 동치 관계 를 이룬다.
확대의 동치류들은 베어 합 (영어 : Baer sum )이라는 연산 아래 아벨 군 을 이룬다.[ 2] :78, Definition 3.4.4
두 확대
0
→
B
→
ι
X
→
π
A
→
0
{\displaystyle 0\to B{\xrightarrow {\iota }}X{\xrightarrow {\pi }}A\to 0}
,
0
→
B
→
ι
′
X
′
→
π
′
A
→
0
{\displaystyle 0\to B{\xrightarrow {\iota '}}X'{\xrightarrow {\pi '}}A\to 0}
가 주어졌을 때,
Y
{\displaystyle Y}
를
X
{\displaystyle X}
와
X
′
{\displaystyle X'}
의
A
{\displaystyle A}
에 대한 당김 이라고 하자. 미첼 매장 정리 를 사용하면, 이는 다음과 같다.
X
⊕
X
⊇
Y
=
{
(
x
,
x
′
)
∈
X
⊕
X
′
:
π
(
x
)
=
π
′
(
x
)
}
⊇
ι
(
B
)
⊕
ι
′
(
B
)
{\displaystyle X\oplus X\supseteq Y=\{(x,x')\in X\oplus X'\colon \pi (x)=\pi '(x)\}\supseteq \iota (B)\oplus \iota '(B)}
즉,
Y
{\displaystyle Y}
는
B
{\displaystyle B}
를 두 번 부분 대상으로 포함한다.
대각 사상
diag
B
:
B
→
B
⊕
B
{\displaystyle \operatorname {diag} _{B}\colon B\to B\oplus B}
사용하여,
Y
{\displaystyle Y}
의 몫대상
X
″
=
Y
(
(
ι
,
−
ι
′
)
∘
diag
B
)
(
B
)
{\displaystyle X''={\frac {Y}{\left((\iota ,-\iota ')\circ \operatorname {diag} _{B}\right)(B)}}}
을 정의할 수 있다. 이는
Y
{\displaystyle Y}
속에 존재하는 두 개의
B
{\displaystyle B}
를 하나로 합치는 것이다. 그렇다면
0
→
B
→
X
″
→
A
→
0
{\displaystyle 0\to B\to X''\to A\to 0}
는 짧은 완전열 을 이룬다.
0
→
X
→
X
″
→
A
→
0
{\displaystyle 0\to X\to X''\to A\to 0}
의 동치류 를
0
→
B
→
ι
X
→
π
A
→
0
{\displaystyle 0\to B{\xrightarrow {\iota }}X{\xrightarrow {\pi }}A\to 0}
,
0
→
B
→
ι
′
X
′
→
π
′
A
→
0
{\displaystyle 0\to B{\xrightarrow {\iota '}}X'{\xrightarrow {\pi '}}A\to 0}
의 동치류 의 베어 합 (영어 : Baer sum )이라고 한다. 확대의 동치류 들은 베어 합 아래 아벨 군 을 이룬다. 베어 합의 항등원은 분할 완전열
0
→
B
→
A
⊕
B
→
A
→
0
{\displaystyle 0\to B\to A\oplus B\to A\to 0}
이며, 확대
0
→
B
→
ι
X
→
π
A
→
0
{\displaystyle 0\to B{\xrightarrow {\iota }}X{\xrightarrow {\pi }}A\to 0}
의 베어 합에 대한 역원은
0
→
B
→
−
ι
X
→
π
A
→
0
{\displaystyle 0\to B{\xrightarrow {-\iota }}X{\xrightarrow {\pi }}A\to 0}
또는
0
→
B
→
ι
X
→
−
π
A
→
0
{\displaystyle 0\to B{\xrightarrow {\iota }}X{\xrightarrow {-\pi }}A\to 0}
이다. (이 둘은 서로 동치이다.)
A
{\displaystyle {\mathcal {A}}}
속의 대상
A
,
B
∈
A
{\displaystyle A,B\in {\mathcal {A}}}
에 대하여, 1차 Ext 함자
Ext
A
1
(
A
,
B
)
{\displaystyle \operatorname {Ext} _{\mathcal {A}}^{1}(A,B)}
는
A
{\displaystyle A}
의
B
{\displaystyle B}
에 대한 확대들의 동치류 집합이다. 이는 베어 합 아래 아벨 군 을 이루며, 함자
Ext
A
1
(
−
,
−
)
:
A
op
×
A
→
Ab
{\displaystyle \operatorname {Ext} _{\mathcal {A}}^{1}(-,-)\colon {\mathcal {A}}^{\operatorname {op} }\times {\mathcal {A}}\to \operatorname {Ab} }
를 정의한다. 또한, 각
A
∈
A
{\displaystyle A\in {\mathcal {A}}}
에 대하여
Ext
A
1
(
A
,
−
)
:
A
op
→
Ab
{\displaystyle \operatorname {Ext} _{\mathcal {A}}^{1}(A,-)\colon {\mathcal {A}}^{\operatorname {op} }\to \operatorname {Ab} }
Ext
A
1
(
−
,
A
)
:
A
op
→
Ab
{\displaystyle \operatorname {Ext} _{\mathcal {A}}^{1}(-,A)\colon {\mathcal {A}}^{\operatorname {op} }\to \operatorname {Ab} }
는 둘 다 가법 함자 를 이룬다.
위 정의에서, 집합론 적 문제를 무시하였다. 사실, (국소적으로 작은 ) 아벨 범주 의 경우 1차 Ext 함자의 값이 고유 모임 일 수 있다.[ 3] :131, Exercise 6.A 물론, 작은 아벨 범주 에 대해서는 이러한 문제가 생기지 않는다. 또한, 단사 대상을 충분히 가지는 범주 나 사영 대상을 충분히 가지는 범주 에서는 유도 함자 를 통한 정의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집합론적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2차 이상의 Ext 함자는 임의의 아벨 범주 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 1] [ 4] [ 2] :79–80, Vista 3.4.6 [ 5] :82–87, §III.5
아벨 범주
A
{\displaystyle {\mathcal {A}}}
가 주어졌다고 하자.
A
{\displaystyle {\mathcal {A}}}
속의 대상
A
{\displaystyle A}
,
B
{\displaystyle B}
에 대하여,
A
{\displaystyle A}
의
B
{\displaystyle B}
에 대한
n
{\displaystyle n}
차 확대 (영어 :
n
{\displaystyle n}
-fold extension of
A
{\displaystyle A}
by
B
{\displaystyle B}
)는 다음과 같은 완전열 이다.
0
→
B
→
X
n
→
X
n
−
1
→
⋯
→
X
1
→
A
→
0
{\displaystyle 0\to B\to X_{n}\to X_{n-1}\to \cdots \to X_{1}\to A\to 0}
두
n
{\displaystyle n}
차 확대
(
B
,
X
∙
,
A
)
{\displaystyle (B,X_{\bullet },A)}
,
(
B
′
,
X
∙
′
,
A
′
)
{\displaystyle (B',X_{\bullet }',A')}
사이에 다음과 같은 가환 그림이 존재한다면,
(
B
,
X
∙
,
A
)
{\displaystyle (B,X_{\bullet },A)}
가
(
B
′
,
X
∙
′
,
A
′
)
{\displaystyle (B',X_{\bullet }',A')}
의 닮은 확대 (영어 : similar extension )라고 한다.
0
→
B
→
X
n
→
⋯
→
X
1
→
A
→
0
‖
↓
⋯
↓
‖
0
→
B
′
→
X
n
′
→
⋯
→
X
1
′
→
A
′
→
0
{\displaystyle {\begin{matrix}0\to &B&\to &X_{n}&\to &\cdots &\to &X_{1}&\to &A&\to 0\\&\|&&\downarrow &&\cdots &&\downarrow &&\|\\0\to &B'&\to &X_{n}'&\to &\cdots &\to &X_{1}'&\to &A'&\to 0\end{matrix}}}
닮음 관계를
(
B
,
X
∙
,
A
)
≺
(
B
′
,
X
∙
′
,
A
′
)
{\displaystyle (B,X_{\bullet },A)\prec (B',X_{\bullet }',A')}
로 표기하자.
닮음 관계는 추이적 관계 이지만 대칭 관계 가 아니다. 닮음 관계로 생성되는 동치 관계 를 생각하자. 즉, 두
n
{\displaystyle n}
차 확대
(
B
,
X
∙
,
A
)
{\displaystyle (B,X_{\bullet },A)}
,
(
B
′
,
X
∙
′
,
A
′
)
{\displaystyle (B',X_{\bullet }',A')}
사이에 다음과 같은
n
{\displaystyle n}
차 확대들의 열
(
B
,
X
∙
,
A
)
=
(
B
(
0
)
,
X
∙
(
0
)
,
A
(
0
)
)
,
(
B
(
1
)
,
X
∙
(
1
)
,
A
(
1
)
)
,
…
,
(
B
(
k
)
,
X
∙
(
k
)
,
A
(
k
)
)
=
(
B
′
,
X
∙
′
,
A
′
)
{\displaystyle (B,X_{\bullet },A)=(B^{(0)},X_{\bullet }^{(0)},A^{(0)}),(B^{(1)},X_{\bullet }^{(1)},A^{(1)}),\dots ,(B^{(k)},X_{\bullet }^{(k)},A^{(k)})=(B',X_{\bullet }',A')}
이 존재하며, 이 열이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면,
(
B
,
X
∙
,
A
)
{\displaystyle (B,X_{\bullet },A)}
와
(
B
′
,
X
∙
′
,
A
′
)
{\displaystyle (B',X_{\bullet }',A')}
가 서로 동치 라고 하자.
모든
i
=
1
,
2
,
…
,
k
{\displaystyle i=1,2,\dots ,k}
에 대하여,
(
B
(
i
−
1
)
,
X
∙
(
i
−
1
)
,
A
(
i
−
1
)
)
≺
(
B
(
i
)
,
X
∙
(
i
)
,
A
(
i
)
)
{\displaystyle (B^{(i-1)},X_{\bullet }^{(i-1)},A^{(i-1)})\prec (B^{(i)},X_{\bullet }^{(i)},A^{(i)})}
이거나 또는
(
B
(
i
)
,
X
∙
(
i
)
,
A
(
i
)
)
≺
(
B
(
i
−
1
)
,
X
∙
(
i
−
1
)
,
A
(
i
−
1
)
)
{\displaystyle (B^{(i)},X_{\bullet }^{(i)},A^{(i)})\prec (B^{(i-1)},X_{\bullet }^{(i-1)},A^{(i-1)})}
이다.
사실, 이 동치는 두 단계로 족하다. 즉, 다음 세 조건이 서로 동치 이다.[ 6]
(
B
,
X
∙
,
A
)
{\displaystyle (B,X_{\bullet },A)}
와
(
B
′
,
X
∙
′
,
A
′
)
{\displaystyle (B',X_{\bullet }',A')}
가 서로 동치이다.
(
B
,
X
∙
,
A
)
≺
(
B
″
,
X
∙
″
,
A
″
)
≻
(
B
′
,
X
∙
′
,
A
′
)
{\displaystyle (B,X_{\bullet },A)\prec (B'',X_{\bullet }'',A'')\succ (B',X_{\bullet }',A')}
인
n
{\displaystyle n}
차 확대
(
B
″
,
X
∙
″
,
A
″
)
{\displaystyle (B'',X_{\bullet }'',A'')}
가 존재한다.
(
B
,
X
∙
,
A
)
≻
(
B
″
,
X
∙
″
,
A
″
)
≺
(
B
′
,
X
∙
′
,
A
′
)
{\displaystyle (B,X_{\bullet },A)\succ (B'',X_{\bullet }'',A'')\prec (B',X_{\bullet }',A')}
인
n
{\displaystyle n}
차 확대
(
B
″
,
X
∙
″
,
A
″
)
{\displaystyle (B'',X_{\bullet }'',A'')}
가 존재한다.
그렇다면,
n
{\displaystyle n}
차 Ext 함자
Ext
A
n
(
A
,
B
)
{\displaystyle \operatorname {Ext} _{\mathcal {A}}^{n}(A,B)}
는
A
{\displaystyle A}
의
B
{\displaystyle B}
에 대한
n
{\displaystyle n}
차 확대들의 동치류 집합이다.
두
n
{\displaystyle n}
차 확대
(
B
,
X
∙
,
A
)
{\displaystyle (B,X_{\bullet },A)}
,
(
B
′
,
X
∙
′
,
A
′
)
{\displaystyle (B',X_{\bullet }',A')}
가 주어졌을 때,
Y
i
{\displaystyle Y_{i}}
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자.
i
=
1
{\displaystyle i=1}
일 때,
Y
1
{\displaystyle Y_{1}}
은
X
1
{\displaystyle X_{1}}
과
X
1
′
{\displaystyle X_{1}'}
의
A
{\displaystyle A}
에 대한 당김 이다.
1
<
i
<
n
{\displaystyle 1<i<n}
일 때,
Y
i
=
X
1
⊕
X
1
′
{\displaystyle Y_{i}=X_{1}\oplus X_{1}'}
이다.
i
=
n
{\displaystyle i=n}
일 때,
X
n
→
f
Y
~
←
f
′
X
n
′
{\displaystyle X_{n}{\xrightarrow {f}}{\tilde {Y}}{\xleftarrow {f'}}X_{n}'}
를
B
→
ι
X
n
{\displaystyle B{\xrightarrow {\iota }}X_{n}}
과
B
→
ι
′
X
n
{\displaystyle B{\xrightarrow {\iota '}}X_{n}}
의
B
{\displaystyle B}
에 대한 밂 이라고 하자. 그렇다면 대각 사상
diag
B
:
B
→
B
⊕
B
{\displaystyle \operatorname {diag} _{B}\colon B\to B\oplus B}
를 사용하여,
(
f
∘
ι
,
−
f
′
∘
ι
′
)
∘
diag
B
:
B
→
Y
~
{\displaystyle (f\circ \iota ,-f'\circ \iota ')\circ \operatorname {diag} _{B}\colon B\to {\tilde {Y}}}
를 정의할 수 있다. 그렇다면,
Y
n
=
Y
~
/
(
(
f
∘
ι
,
−
f
′
∘
ι
′
)
∘
diag
B
)
(
B
)
{\displaystyle Y_{n}={\tilde {Y}}/((f\circ \iota ,-f'\circ \iota ')\circ \operatorname {diag} _{B})(B)}
이다.
그렇다면
(
B
,
Y
∙
′
,
A
)
{\displaystyle (B,Y_{\bullet }',A)}
는
n
{\displaystyle n}
차 확대를 이룬다.
(
B
,
X
∙
,
A
)
{\displaystyle (B,X_{\bullet },A)}
의 동치류 와
(
B
′
,
X
∙
′
,
A
′
)
{\displaystyle (B',X_{\bullet }',A')}
의 동치류 의 합을
(
B
,
Y
∙
′
,
A
)
{\displaystyle (B,Y_{\bullet }',A)}
의 동치류 로 정의하자.
[
(
B
,
X
∙
,
A
)
]
+
[
(
B
′
,
X
∙
′
,
A
′
)
]
=
[
(
B
,
Y
∙
′
,
A
)
]
{\displaystyle [(B,X_{\bullet },A)]+[(B',X_{\bullet }',A')]=[(B,Y_{\bullet }',A)]}
그렇다면, 이 합에 대하여
Ext
A
n
(
A
,
B
)
{\displaystyle \operatorname {Ext} _{\mathcal {A}}^{n}(A,B)}
는 아벨 군 을 이룬다. 또한, 이는 함자
Ext
A
n
(
−
,
−
)
:
A
op
×
A
→
Ab
{\displaystyle \operatorname {Ext} _{\mathcal {A}}^{n}(-,-)\colon {\mathcal {A}}^{\operatorname {op} }\times {\mathcal {A}}\to \operatorname {Ab} }
를 이루며, 각
A
∈
C
{\displaystyle A\in {\mathcal {C}}}
에 대하여
Ext
A
n
(
A
,
−
)
:
A
→
Ab
{\displaystyle \operatorname {Ext} _{\mathcal {A}}^{n}(A,-)\colon {\mathcal {A}}\to \operatorname {Ab} }
Ext
A
n
(
−
,
A
)
:
A
op
→
Ab
{\displaystyle \operatorname {Ext} _{\mathcal {A}}^{n}(-,A)\colon {\mathcal {A}}^{\operatorname {op} }\to \operatorname {Ab} }
둘 다 가법 함자 를 이룬다.
Ext는 가법 함자 를 이루므로, 아벨 범주
A
{\displaystyle {\mathcal {A}}}
의 대상
A
,
B
,
C
∈
A
{\displaystyle A,B,C\in {\mathcal {A}}}
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두 군 준동형 이 존재한다. (여기서
⊗
{\displaystyle \otimes }
는 아벨 군 의 텐서곱 이다.)
Ext
A
n
(
A
,
B
)
⊗
hom
A
(
B
,
C
)
→
Ext
A
n
(
A
,
C
)
{\displaystyle \operatorname {Ext} _{\mathcal {A}}^{n}(A,B)\otimes \hom _{\mathcal {A}}(B,C)\to \operatorname {Ext} _{\mathcal {A}}^{n}(A,C)}
hom
A
(
A
,
B
)
⊗
Ext
A
n
(
B
,
C
)
→
Ext
A
n
(
A
,
C
)
{\displaystyle \hom _{\mathcal {A}}(A,B)\otimes \operatorname {Ext} _{\mathcal {A}}^{n}(B,C)\to \operatorname {Ext} _{\mathcal {A}}^{n}(A,C)}
이는
Ext
A
0
=
hom
A
{\displaystyle \operatorname {Ext} _{\mathcal {A}}^{0}=\hom _{\mathcal {A}}}
와
Ext
A
n
{\displaystyle \operatorname {Ext} _{\mathcal {A}}^{n}}
를 곱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보다 일반적으로, 임의의 자연수
m
,
n
∈
N
{\displaystyle m,n\in \mathbb {N} }
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요네다 합성 (영어 : Yoneda composition )이라는 군 준동형 들이 존재한다.[ 5] :82–87, §III.5
Ext
A
m
(
A
,
B
)
⊗
Ext
A
n
(
B
,
C
)
→
Ext
A
m
+
n
(
A
,
C
)
{\displaystyle \operatorname {Ext} _{\mathcal {A}}^{m}(A,B)\otimes \operatorname {Ext} _{\mathcal {A}}^{n}(B,C)\to \operatorname {Ext} _{\mathcal {A}}^{m+n}(A,C)}
이는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다. 두 완전열
0
→
A
→
X
1
→
⋯
→
X
m
→
π
B
→
0
(
m
≥
1
)
{\displaystyle 0\to A\to X_{1}\to \cdots \to X_{m}{\xrightarrow {\pi }}B\to 0\qquad (m\geq 1)}
0
→
B
→
ι
Y
1
→
⋯
→
Y
n
→
C
→
0
(
m
≥
1
)
{\displaystyle 0\to B{\xrightarrow {\iota }}Y_{1}\to \cdots \to Y_{n}\to C\to 0\qquad (m\geq 1)}
이 주어졌을 때, 이들을 이어 다음과 같은 더 긴 완전열 을 정의할 수 있다.
0
→
A
→
X
1
→
⋯
→
X
m
→
ι
∘
π
Y
1
→
⋯
→
Y
n
→
C
→
0
{\displaystyle 0\to A\to X_{1}\to \cdots \to X_{m}{\xrightarrow {\iota \circ \pi }}Y_{1}\to \cdots \to Y_{n}\to C\to 0}
그렇다면
(
A
,
X
∙
,
B
)
{\displaystyle (A,X_{\bullet },B)}
의 동치류와
(
B
,
Y
∙
,
C
)
{\displaystyle (B,Y_{\bullet },C)}
의 동치류의 요네다 합성 은
(
A
,
X
∙
,
Y
∙
,
C
)
{\displaystyle (A,X_{\bullet },Y_{\bullet },C)}
의 동치류이다.
요네다 합성을 사용하여, 자연수 등급 아벨 군 의 범주
GrAb
N
{\displaystyle \operatorname {GrAb} _{\mathbb {N} }}
위의 풍성한 범주
Ext
A
{\displaystyle \operatorname {Ext} {\mathcal {A}}}
를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
Ext
A
{\displaystyle \operatorname {Ext} {\mathcal {A}}}
의 대상은
A
{\displaystyle {\mathcal {A}}}
의 대상과 같다.
Ext
A
{\displaystyle \operatorname {Ext} {\mathcal {A}}}
의 사상군은 다음과 같은 자연수 등급 아벨 군이다.
hom
Ext
A
(
A
,
B
)
=
⨁
n
Ext
A
n
(
A
,
B
)
{\displaystyle \hom _{\operatorname {Ext} {\mathcal {A}}}(A,B)=\bigoplus _{n}\operatorname {Ext} _{\mathcal {A}}^{n}(A,B)}
Ext
(
A
{\displaystyle \operatorname {Ext} ({\mathcal {A}}}
에서 사상의 합성은 요네다 합성에 의하여 주어진다.
Ext
A
{\displaystyle \operatorname {Ext} {\mathcal {A}}}
에서 항등 사상은
A
{\displaystyle {\mathcal {A}}}
에서의 항등 사상과 같다.
Ext
A
{\displaystyle \operatorname {Ext} {\mathcal {A}}}
에서, 각 사상군에서 양의 정수 등급 성분을 망각한다면,
Ext
A
0
=
hom
A
{\displaystyle \operatorname {Ext} _{\mathcal {A}}^{0}=\hom _{\mathcal {A}}}
만 남으므로 원래 범주
A
{\displaystyle {\mathcal {A}}}
를 얻는다.
특히, 대상
A
∈
A
{\displaystyle A\in {\mathcal {A}}}
에 대하여,
Ext
A
{\displaystyle \operatorname {Ext} {\mathcal {A}}}
에서의 자기 사상 등급 아벨 군
hom
Ext
A
(
A
,
A
)
=
⨁
n
Ext
A
n
(
A
,
A
)
{\displaystyle \hom _{\operatorname {Ext} {\mathcal {A}}}(A,A)=\bigoplus _{n}\operatorname {Ext} _{\mathcal {A}}^{n}(A,A)}
은 자연수 등급환 을 이룬다.
아벨 범주
A
{\displaystyle {\mathcal {A}}}
속의 대상
A
∈
A
{\displaystyle A\in {\mathcal {A}}}
에 대하여,
hom
A
(
A
,
−
)
:
A
→
Ab
{\displaystyle \hom _{\mathcal {A}}(A,-)\colon {\mathcal {A}}\to \operatorname {Ab} }
는 왼쪽 완전 함자 이며,
hom
A
(
−
,
A
)
:
A
op
→
Ab
{\displaystyle \hom _{\mathcal {A}}(-,A)\colon {\mathcal {A}}^{\operatorname {op} }\to \operatorname {Ab} }
는 오른쪽 완전 함자 이다. 따라서, 만약
A
{\displaystyle {\mathcal {A}}}
가 단사 대상을 충분히 가지는 범주 라면
hom
A
(
A
,
−
)
{\displaystyle \hom _{\mathcal {A}}(A,-)}
의 오른쪽 유도 함자 를 Ext 함자 라고 한다.
Ext
C
n
(
A
,
−
)
=
R
n
hom
C
(
A
,
−
)
{\displaystyle \operatorname {Ext} _{\mathcal {C}}^{n}(A,-)=\operatorname {R} ^{n}\hom _{\mathcal {C}}(A,-)}
만약
A
{\displaystyle {\mathcal {A}}}
가 사영 대상을 충분히 가지는 범주 라면
hom
A
(
−
,
A
)
{\displaystyle \hom _{\mathcal {A}}(-,A)}
의 왼쪽 유도 함자 를 Ext 함자 라고 한다.
Ext
C
n
(
−
,
A
)
=
L
n
hom
C
(
−
,
A
)
{\displaystyle \operatorname {Ext} _{\mathcal {C}}^{n}(-,A)=\operatorname {L} ^{n}\hom _{\mathcal {C}}(-,A)}
이 정의들은 (만약 존재한다면) 위의 일반적인 정의와 일치한다. 그러나 아벨 범주 는 단사 대상 이나 사영 대상 을 충분히 가지지 않을 수 있으므로, 이 정의는 덜 일반적이다.
특히, 환
R
{\displaystyle R}
위의 왼쪽 가군 들의 아벨 범주
R
-Mod
{\displaystyle R{\text{-Mod}}}
는 단사 대상을 충분히 가지는 범주 이자 사영 대상을 충분히 가지는 범주 이다. 이 경우 Ext 함자를
Ext
R
n
(
−
,
−
)
{\displaystyle \operatorname {Ext} _{R}^{n}(-,-)}
로 표기한다.
Ext 함자는 유도 범주 의 개념을 사용하여 간단하게 정의할 수 있다.
아벨 범주
A
{\displaystyle {\mathcal {A}}}
가 주어졌다고 하자.
A
{\displaystyle {\mathcal {A}}}
의 대상을 하나의 성분만이 영 대상 이 아닌 사슬 복합체 로 간주한다면,
A
{\displaystyle {\mathcal {A}}}
는 사슬 복합체 범주
Ch
(
A
)
{\displaystyle \operatorname {Ch} ({\mathcal {A}})}
의 충만한 부분 범주 를 이룬다.
A
{\displaystyle {\mathcal {A}}}
속의 사슬 복합체
A
{\displaystyle A}
에 대하여,
A
[
i
]
∙
=
X
∙
+
i
{\displaystyle A[i]^{\bullet }=X^{\bullet +i}}
d
A
[
i
]
=
(
−
1
)
n
d
|
A
{\displaystyle d_{A[i]}=(-1)^{n}d|_{A}}
로 정의하자. (여기서 모든 사슬 복합체의 경계 사상의 차수는
deg
d
=
+
1
{\displaystyle \deg d=+1}
이다.) 또한,
A
{\displaystyle {\mathcal {A}}}
의 유도 범주 가 국소적으로 작은 범주 라고 하자. 그렇다면,
A
{\displaystyle {\mathcal {A}}}
의 두 대상
A
,
B
∈
A
{\displaystyle A,B\in {\mathcal {A}}}
에 대한
n
{\displaystyle n}
차 Ext 함자 는 유도 범주
D
(
A
)
{\displaystyle \operatorname {D} ({\mathcal {A}})}
의 다음과 같은 사상군이다.
Ext
A
n
(
A
,
B
)
=
hom
D
(
A
)
(
A
,
B
[
i
]
)
{\displaystyle \operatorname {Ext} _{\mathcal {A}}^{n}(A,B)=\hom _{\operatorname {D} ({\mathcal {A}})}(A,B[i])}
(이 경우, 집합론 적 문제는 원래 아벨 범주 가 국소적으로 작은 범주 라고 해도, 그 유도 범주 는 일반적으로 국소적으로 작은 범주 가 아닐 수 있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