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언-매콜리 환

가환대수학대수기하학에서 코언-매콜리 환(Cohen-Macaulay環, 영어: Cohen–Macaulay ring)은 국소적으로 어느 곳에서나 차원이 동일한 아핀 스킴의 개념을 형식화한 개념이다.[1]

정의 편집

코언-매콜리 가군과 코언-매콜리 국소환 편집

뇌터 국소 가환환   위의 유한 생성 가군  에 대하여, 항상 다음이 성립한다.

 이다.

여기서  깊이이며,  크룰 차원이다. 만약 이 부등식이 포화된다면,  코언-매콜리 가군(영어: Cohen–Macaulay module)이라고 한다.

임의의 뇌터 국소 가환환  에 대하여, 다음 조건들이 서로 동치이며, 이를 만족시키는 뇌터 국소 가환환을 코언-매콜리 국소환(영어: Cohen–Macaulay local ring)이라고 한다.

  • 스스로 위의 가군으로서 코언-매콜리 가군인 뇌터 국소 가환환이다. 즉,  이다.
  • 모든 매개계정칙열이다.[2]:Remark 2.2
  •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매개계정칙열이다.[2]:Remark 2.2

여기서  깊이이며,  아이디얼의 높이이며,  크룰 차원이다. 만약 이 부등식이 포화된다면,  코언-매콜리 국소환이라고 한다.

코언-매콜리 환과 코언-매콜리 스킴 편집

뇌터 가환환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이며, 이를 만족시키는 뇌터 가환환을 코언-매콜리 환이라고 한다.[3]:452, Proposition 18.8

  • 모든 극대 아이디얼  에 대하여, 국소화  은 코언-매콜리 국소환이다.[3]:452, Proposition 18.8
  • 모든 소 아이디얼  에 대하여, 국소화  는 코언-매콜리 국소환이다.
  • 임의의 아이디얼   연관 소 아이디얼  에 대하여,  의 여차원(높이)과  의 여차원이 같다. 즉,  이다.

마지막 조건은 차원이 국소적으로 일정하다는 조건의 매우 강한 형태이다. 즉, 아이디얼   닫힌 부분 스킴  을 정의한다. 이는 으뜸 분해로 인하여 기약 성분들로 분해되며, 각 성분은 연관 소 아이디얼  에 대응한다. 따라서, 위 조건은 임의의 닫힌 부분 스킴에 대하여, 그 기약 성분들의 차원이 모두 같음을 뜻한다.

마찬가지로, 국소 뇌터 스킴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이며, 이를 만족시키는 국소 뇌터 스킴코언-매콜리 스킴이라고 한다.

  • 임의의 점  에 대하여, 구조층의 줄기  가 코언-매콜리 국소환이다.
  • 임의의 점  에 대하여, 구조층의 줄기  가 코언-매콜리 국소환이다.

성질 편집

함의 관계 편집

다음과 같은 포함 관계가 성립한다.

정칙환완비교차환(영어: complete intersection ring) ⊊ 고런스틴 환 ⊊ 코언-매콜리 환

특히, 모든 정칙 스킴은 코언-매콜리 스킴이다.

코언-매콜리 환이 될 충분 조건으로는 다음이 있다.

연산에 대한 닫힘 편집

뇌터 가환환  에 대하여, 다음 조건들이 서로 동치이다.

  •  는 코언-매콜리 환이다.
  • 다항식환  는 코언-매콜리 환이다.[3]:452, Proposition 18.9

뇌터 국소환  에 대하여, 다음 조건들이 서로 동치이다.[3]:452, Proposition 18.8[4]:136, Theorem 17.5

  •  는 코언-매콜리 국소환이다.
  •  에 대응하는 완비 국소환은 코언-매콜리 국소환이다.

코언-매콜리 조건의 필요 충분 조건 편집

다음이 주어졌다고 하자.

그렇다면, 다음 세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

  •  가 코언-매콜리 국소환이다.
  •   -평탄 가군이다.
  •   -자유 가군이다.

이 사실을 히로나카 기적적 평탄성(영어: Hironaka’s miracle flatness)이라고 한다.

편집

고런스틴 환이 아닌 코언-매콜리 환 편집

 에 대하여, 다항식환  의 부분환  를 생각하자. 이는 코언-매콜리 환이지만 고런스틴 환이 아니다. 구체적으로, 극대 아이디얼  에서의 국소화는 고런스틴 국소환이 아닌 코언-매콜리 국소환이다.

코언-매콜리 환이 아닌 환 편집

 에 대하여 가환환

 

를 생각하자.[5]:896, Example B 기하학적으로,  이므로, 이는 ‘두꺼운’ 원점  을 갖는 직선  이다. 원점에서 0차원과 1차원의 공존으로 인해 이는 코언-매콜리 환이 될 수 없다. (반면, ‘두꺼운 점’만이 존재하는 경우인  는 코언-매콜리 환이다.[5]:896, Example B)

구체적으로, 원점에 해당하는 극대 아이디얼  에서의 국소 가환환  을 취하자. 이 경우,  에 속하는 임의의 원소  에 대하여,  이므로,  극대 아이디얼에 포함되는 모든 원소는 영인자이며, 특히 극대 아이디얼에 포함되는 모든 정칙렬의 길이는 0이다. 따라서  의,  에서의 깊이는 0이다. 그러나

 

이므로  크룰 차원( 높이)은 1이다.

따라서  은 코언-매콜리 국소환이 아니며,  는 코언-매콜리 환이 아니다.

차원이 일정하지만 코언-매콜리 환이 아닌 환 편집

 에 대하여,

 

를 생각하자. 기하학적으로, 이는 4차원 아핀 공간 속의,   평면과   평면의 합집합이다. 이 환은 어디서나 같은 차원(즉, 2차원)을 갖는다 (즉, 극대 아이디얼국소 가환환크룰 차원이 항상 2이다). 그러나 이는 (원점에서) 코언-매콜리 환이 아니다.[3]:455, Figure 18.2

역사 편집

프랜시스 소어비 매콜리(영어: Francis Sowerby Macaulay)는 1916년에 다항식환이 (현대적인 용어로) 코언-매콜리 환임을 증명하였고,[6] 어빈 솔 코언은 1946년에 형식적 멱급수환도 마찬가지 성질을 가짐을 보였다.[7] 이후 매콜리와 코언의 이름을 따서 이름붙여졌다.

코언-매콜리 환의 개념에 대하여 멜빈 혹스터(영어: Melvin Hochster)는 다음과 같이 적었다.

삶을 살기에 진짜로 좋은 곳은 뇌터 환   중에 모든 국소환 속의 매개계 -정칙렬인 것이다. 이러한 환은 코언-매콜리 환이라고 한다 (줄여서 CM환).
Life is really worth living in a Noetherian ring   when all the local rings have the property that every s.o.p. [system of parameters] is an  -sequence. Such a ring is called Cohen-Macaulay (C-M for short).

 
[5]

참고 문헌 편집

  1. Höchster, Melvin (1980). 〈Cohen–Macaulay rings and modules〉 (PDF).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Congress of Mathematicians, Helsinki, Finland, vol. 1》 (영어). Academia Scientiarum Fennica. 291-298쪽. 2013년 9월 1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8월 9일에 확인함. 
  2. Huneke, Craig (2002년 9월 16일). “Hyman Bass and ubiquity: Gorenstein rings” (영어). arXiv:math/0209199. 
  3. Eisenbud, David (1995). 《Commutative algebra with a view toward algebraic geometry》. Graduate Texts in Mathematics (영어) 150. Springer-Verlag. doi:10.1007/978-1-4612-5350-1. ISBN 978-0-387-94269-8. ISSN 0072-5285. MR 1322960. Zbl 0819.13001. 
  4. Matsumura, Hideyuki (1989년 6월). 《Commutative ring theory》. Cambridge Studies in Advanced Mathematics (영어) 8. Miles Reid 역 2판. Cambridge University Press. doi:10.1017/CBO9781139171762. ISBN 978-0-521-36764-6. MR 1011461. 
  5. Hochster, Melvin (1978). “Some applications of the Frobenius in characteristic 0”. 《Bulletin of the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영어) 84: 886–912. doi:10.1090/S0002-9904-1978-14531-5. MR 485848. Zbl 0421.14001. 
  6. Macaulay, Francis Sowerby (1916). 《The algebraic theory of modular systems》 (영어).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1-4297-0441-1. 
  7. Cohen, Irvin Sol (1946). “On the structure and ideal theory of complete local rings”. 《Transactions of the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영어) 59: 54–106. doi:10.1090/S0002-9947-1946-0016094-3. ISSN 0002-9947. JSTOR 1990313. MR 0016094.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