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실록
고려 왕조에서 편찬한 실록
(고려왕조실록에서 넘어옴)
《고려실록》(高麗實錄)은 《고려왕조실록》(高麗王朝實錄)을 지칭하는 것으로 고려 왕조에서 편찬한 실록이다. 고려의 태조 왕건부터 34대 공양왕까지 474년간(918년~1392년)의 역사적 사실을 기술하였다. 임진왜란 당시 조선 수도에 춘추관의 화재로 완전히 소실되어 현재는 전해지지 않는다.[1]
편찬 과정
편집고려는 국초에 사관을 설치하여 사서편찬의 실무를 관장하였다고 되어 있다. 국초가 언제인지는 불명확하나 광종 26년의 명문에서 감수국사의 직함이 등장하는 것으로 봐서 광종 26년 이전에 설립되었음을 알 수 있다. 사관의 직제는 감수국사, 수국사, 동수국사, 수찬관, 직사관으로 구성되어 있었고, 사관의 기능에 관해서는 “시정을 기록하는 일을 맡는다”고 되어 있다.[2] 고려에서 처음으로 실록을 편찬한 것은 현종대에 칠대실록의 편찬이다.
실록의 행방
편집1440년(세종 22년) 충주의 개천사 사고에 보관된 것까지만 확인이 된다. 이후 《고려사》의 편찬을 위해 한양으로 수송되었는데, 《고려사》 편찬 완료 후 실록의 행방은 알 수가 없다.[3]
목록
편집순서 | 이름 | 편찬 연도 | 편찬 담당자 | 기타 |
---|---|---|---|---|
1 | 칠대실록 | 1034년 (덕종 3년) |
감수국사 최항 동수국사 김심언 예부시랑 주저 내사금인 윤징고 시어사 황주량 우습유 최충 |
총36권. 태조에서 목종까지. 현종 원년(1010년)에 거란의 침입으로 개경이 함락되고 만월대의 연경궁이 전소됨에 따라 궁내에 두었던 역대의 사적도 다 타버렸다. 그래서 현종 4년(1013년)에 편찬을 시작해 이후 20여 년이 지난 덕종 3년에 완성을 본 것이다.[4] |
2 | 현종실록 | 정종 때? | ||
3 | 덕종실록 | 문종 때? | ||
4 | 정종실록 | 위와 같음 | ||
5 | 문종실록 | 선종 때? | ||
6 | 순종실록 | 숙종 때? | ||
7 | 선종실록 | 위와 같음 | ||
8 | 헌종실록 | 위와 같음 | ||
9 | 숙종실록 | 예종 때? | 이덕우 | |
10 | 예종실록 | 인종 때 | 김부일, 김부의 | 중서시랑 평장사 한안인의 건의에 의하여 편찬이 시작됐으나, 한안인 본인은 이자겸과의 대결에서 실각되는 바람에 그를 대신하는 김부일 등이 확정되었다. 전문적인 실록 편수관이 실록을 편찬한 첫 번째 사례. |
11 | 인종실록 | 의종 때? | 김부식, 김신부 | |
12 | 의종실록 | 명종 때 | 최세보, 문극겸 | 무신 집권기에 편찬된 첫 실록. |
13 | 명종실록 | 1227년 (고종 14년) |
감수국사 최보순 수찬 김양경, 임경숙 유승단, 조문발 이규보, 권경중[5] |
|
14 | 신종실록 | 1267년 (원종 8년) |
감수국사 이장용 동수국사 유경 수찬관 김구 허공 |
|
15 | 희종실록 | 위와 같음 | ||
16 | 강종실록 | 위와 같음 | ||
17 | 고종실록 | 1309년 (충선왕 원년) |
감수국사 유경 수국사 원부 동수국사 김구 |
|
18 | 원종실록 | 충혜왕 때? | ||
19 | 충렬왕실록 | 1346년 (충목왕 2년) |
이제현, 안축 | |
20 | 충선왕실록 | 위와 같음 | ||
21 | 충숙왕실록 | 위와 같음 | ||
22 | 충혜왕실록 | 1385년 (우왕 11년) |
이숭인, 정몽주 | |
23 | 충목왕실록 | 위와 같음 | ||
24 | 충정왕실록 | 위와 같음 | ||
25 | 공민왕실록 | 1398년 (조선 태조 7년) |
정총 | |
26 | 우왕실록 | 불명 | ||
27 | 창왕실록 | 위와 같음 | ||
28 | 공양왕실록 | 1398년 (조선 태조 7년) |
정총 |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기록인(IN) 33호 기획연재-1 기록을 남긴 사람들 고문서 속의 옛 이야기 (PDF) 국가기록원 2015년 겨울
- ↑ 신석호, 「학문의 발전과 편찬사업」, 『한국사』11, 국사편찬위원회, 1974, 64쪽
- ↑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 김성준, 「사서의 편찬」, 『한국사』, 17, 국사편찬위원회, 1994, 153~154쪽
- ↑ 이 두 사람은 정식 사관(史官)이 아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