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환대수학에서, 매개계(媒介界, 영어: system of parameters 시스템 오브 파라미터즈[*], 약자 영어: s.o.p)는 국소 가환환 위의 ‘국소 좌표계’의 일종이다.[1]:104–116, §14[2]:234–236, §10.1 구체적으로, 매개계는 국소 가환환의 유일한 극대 아이디얼의 (충분히 큰 차수의) 거듭제곱을 생성하는 유한 부분 집합이며, 그 크기는 국소 가환환크룰 차원과 같다. 이 정의에서 극대 아이디얼 대신 그 거듭제곱을 생각하는 이유는 국소 가환환이 특이점의 근방을 나타내는 경우일 수 있기 때문이며, 정칙 국소환의 경우 극대 아이디얼 자체를 생성하는 매개계가 존재한다.

정의

편집

다음이 주어졌다고 하자.

이 경우,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

  •  
  • 충분히 큰 양의 정수  에 대하여,  이다.

여기서  가군의 길이이다.

그렇다면, 임의의 유한 집합부분 집합  에 대하여, 만약

 

이 된다면  가 된다. 이를 포화시키는 부분 집합, 즉

 
  (즉,  )

인 부분 집합   매개계라고 한다.

특히,  인 경우를 생각하자. 즉, 임의의 유한 집합부분 집합  에 대하여, 만약

  (즉,  )

라면,

 

이다. 이를 포화시키는 부분 집합, 즉

 
 

인 부분 집합   매개계라고 한다. 위 조건에서 만약  으로 놓을 수 있다면,  정칙 매개계(正則媒介界, 영어: regular system of parameters)라고 한다.

성질

편집

뇌터 국소 가환환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

뇌터 국소 가환환  에 대하여 다음 세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3]:Remark 2.2

정칙 국소환

편집

 차원 정칙 국소환  의 부분 집합  에 대하여 다음 조건들이 서로 동치이다.[1]:105, Theorem 14.2

  •  인 정칙 매개계  가 존재한다.
  •   차원 정칙 국소환이다.
  •   -벡터 공간자리스키 공변접공간   속에서 선형 독립이다.

독립성

편집

 차원 정칙 국소환  의 매개계  가 주어졌다고 하자. 임의의  계수  동차 다항식

 

에 대하여, 만약

 

이라면,  의 모든 계수는  에 속한다.[1]:107, Theorem 14.5 (즉,    속의 상이 0이다.)

아르틴(즉, 0차원) 국소 가환환  의 경우, 매개계는 공집합이다. 이 경우 극대 아이디얼  멱영 아이디얼이다. (예를 들어, 소수  에 대하여 국소 가환환  가 이에 해당한다.) 이 경우,  정칙 국소환인지 여부는  인지 여부와 동치이다. (의 경우  이므로, 공집합이 정칙 매개계를 이룬다.)

  위의 아핀 평면  의 원점에서의 국소환  을 생각하자. 이는 2차원 정칙 국소환이다. 이 경우

 

는 정칙 매개계이다. 보다 일반적으로, 임의의

 

에 대하여

 

역시 정칙 매개계이다.

반면,

 

는 정칙 매개계가 아닌 매개계이다.[2]:235, Figure 10.2 이 경우

 
 

이다.

정수환의 소수  에서의 국소화  를 생각하자. 이는 1차원 국소 가환환이며, 그 극대 아이디얼은  로 생성되는 주 아이디얼이다. 따라서  는 정칙 매개계를 이룬다. 보다 일반적으로,  서로소인 임의의 0이 아닌 정수  에 대하여   의 정칙 매개계이다. 또한, 2 이상의 양의 정수  에 대하여   의 정칙 매개계이지만, 이는 매개계가 아니다.

역사

편집

국소환의 개념을 볼프강 크룰이 1938년에 도입한 뒤, 이미 1943년에 클로드 슈발레가 매개계의 개념을 사용하였다.[4]:701, Definition Ⅲ.2

매개계의 개념에 대하여 데이비드 아이젠버드는 다음과 같이 적었다.

기하학적으로, 만약  대수다양체  의 점  국소환이라면,   위의 매개계는 일종의   근처의 국소 좌표계이다. 즉, [매개계의 원소인] 함수  들의 값들은   근처의 점을 거의 결정하며, 같은  들의 값을 갖는 점들은 유한하다.
Geometrically, if   is the local ring of a point   on an algebraic variety  , a system of parameters in   is a sort of local coordinate system for   around  , in the sense that the values of the functions   determine points near   up to a finite ambiguity […]

 
[2]:235, §10.1

참고 문헌

편집
  1. Matsumura, Hideyuki (1989년 6월). 《Commutative ring theory》. Cambridge Studies in Advanced Mathematics (영어) 8. 번역 Reid, Miles 2판. Cambridge University Press. doi:10.1017/CBO9781139171762. ISBN 978-0-521-36764-6. MR 1011461. 
  2. Eisenbud, David (1995). 《Commutative algebra with a view toward algebraic geometry》. Graduate Texts in Mathematics (영어) 150. Springer-Verlag. doi:10.1007/978-1-4612-5350-1. ISBN 978-0-387-94269-8. ISSN 0072-5285. MR 1322960. Zbl 0819.13001. 
  3. Huneke, Craig. “Hyman Bass and ubiquity: Gorenstein rings” (영어). arXiv:math/0209199. 
  4. Chevalley, Claude (1943년 10월). “On the theory of local rings”. 《Annals of Mathematics》 (영어) 44 (4): 690–708. doi:10.2307/1969105. JSTOR 1969105.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