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태순대
강원도와 함경도의 향토 음식
명태순대(明太--)는 명태의 속에 소를 넣어 찐 음식이다. 생태로 만들지만 겨울철에 얼려 두었다 먹었기 때문에 동태순대(凍太--)라고도 한다.[1][2] 함경도와 강원도 등 동해안 북부 지역의 향토음식이다.[2]
다른 이름 | 동태순대 |
---|---|
종류 | 순대 |
원산지 | 한국 |
지역이나 주 | |
관련 나라별 요리 | 한국 요리 |
주 재료 |
만들기
편집소금에 절인 생태의 내장을 들어내고, 속에 소를 넣어 찜통에 쪄 만든다.[2] 소는 삶아 다진 돼지고기, 데쳐서 물기를 뺀 배추와 숙주나물, 명태알과 이리, 애, 두부, 나물, 고지, 쌀 등을 넣어 만든다.[1][2] 소는 명태의 입을 통해 집어 넣으며, 소를 채우고 아가리를 꿰맨 명태는 광에 매달아 얼려 두고 먹을 만큼씩 꺼내어 썼다.[2][3] 먹을 때는 솥에 채반을 놓고 찐 다음 썰어 초장에 찍어 먹는다.[2]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이 글은 한국 요리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