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레인 축구 국가대표팀
바레인 축구 국가대표팀은 바레인을 대표하는 축구 국가대표팀으로 바레인 축구 협회에서 관리하고 있다. 1966년 4월 2일 쿠웨이트와의 국제 A매치 데뷔전에서 4-4로 비겼으며 홈 구장으로는 바레인 국립경기장을 사용하고 있다.
별칭 | The Reds |
---|---|
연맹 | 바레인 축구 협회 |
대륙 | 아시아 축구 연맹 |
감독 | ![]() |
주장 | 압둘와합 알 사피 |
최다 출전자 | 살만 이사 (156) |
최다 득점자 | 이스마일 압둘라티프 (34) |
홈 구장 | 바레인 국립경기장 |
FIFA 코드 | BHR |
FIFA 랭킹 | 이 페이지에서 확인하세요 최고 순위: 44위 (2004년 9월) 최저 순위: 139위 (2000년 3월) |
첫 국제 경기 출전 |
![]() ![]() (이라크, 바그다드; 1966년 4월 2일) |
최다 점수차 승리 |
![]() ![]() (바레인, 마나마; 2012년 2월 29일, 2014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
최다 점수차 패배 |
![]() ![]() (이라크, 바그다드; 1966년 4월 6일) |
유니폼 | |
아시안컵 | |
출전 횟수 | 6회 (1988년에 처음 출전) |
최고 성적 | 4위 (2004년) |
개요편집
200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에서 사상 처음으로 치른 플레이오프에서 트리니다드 토바고와 대결하여 원정에서 1-1로 비겼으나 홈에서 0-1로 석패했고 2010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에서도 오세아니아 지역 예선 1위팀인 뉴질랜드와의 플레이오프에서 홈에서는 0-0으로 비겼으나 원정에서는 또 다시 0-1로 석패하면서 두 대회 모두 본선 진출이 좌절되었다. AFC 아시안컵에서는 2019년 대회 이전까지 5번 본선에 출전해 그 가운데 2004년 대회에서 4위를 기록했는데 이 기록은 바레인의 메이저 대회에서의 역대 최고 성적이다. 그리고 2019년 AFC 아시안컵 3차 예선 E조 1위로 5회 연속이자 통산 6번째 본선 진출을 확정지었으나 대회 본선 16강에서 대한민국에 1-2로 석패했다. 이밖에도 걸프컵에서는 준우승만 4번 차지했고 아랍 네이션스컵에서도 우승 없이 2번의 준우승만 차지했으며 서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에서는 4강에 2번 올랐다. 그리고 팬아랍 게임에서는 2011년 대회에서 모든 국제 대회를 통틀어 처음으로 우승을 차지했다.
FIFA 월드컵 (본선)편집
년도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
1930년 | 독립 이전 | ||||||||
1934년 | |||||||||
1938년 | |||||||||
1950년 | |||||||||
1954년 | |||||||||
1958년 | |||||||||
1962년 | |||||||||
1966년 | |||||||||
1970년 | |||||||||
1974년 | 불참 | ||||||||
1978년 | 예선 탈락 | ||||||||
1982년 | |||||||||
1986년 | |||||||||
1990년 | 기권 | ||||||||
1994년 | 예선 탈락 | ||||||||
1998년 | |||||||||
2002년 | |||||||||
2006년 | |||||||||
2010년 | |||||||||
2014년 | |||||||||
2018년 | |||||||||
합계 |
FIFA 월드컵 (예선)편집
년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
1930년 | 독립 이전 | ||||||
1934년 | |||||||
1938년 | |||||||
1950년 | |||||||
1954년 | |||||||
1958년 | |||||||
1962년 | |||||||
1966년 | |||||||
1970년 | |||||||
1974년 | 불참 | ||||||
1978년 | 4 | 1 | 0 | 3 | 4 | 6 | 3 |
1982년 | 4 | 1 | 0 | 3 | 1 | 6 | 3 |
1986년 | 4 | 1 | 2 | 1 | 8 | 6 | 5 |
1990년 | 기권 | ||||||
1994년 | 8 | 3 | 3 | 2 | 9 | 6 | 12 |
1998년 | 4 | 1 | 0 | 3 | 3 | 9 | 3 |
2002년 | 14 | 7 | 4 | 3 | 17 | 13 | 25 |
2006년[1] | 16 | 5 | 6 | 5 | 21 | 14 | 21 |
2010년[2] | 20 | 7 | 7 | 6 | 19 | 17 | 28 |
2014년[3] | 6 | 2 | 3 | 1 | 13 | 7 | 9 |
2018년 | 8 | 3 | 0 | 5 | 10 | 10 | 9 |
합계 | 88 | 31 | 25 | 32 | 105 | 94 | 118 |
순위 | 월드컵 예선 승점 순위 : 74위 (아시아 14위) |
AFC 아시안컵 (본선)편집
AFC 아시안컵 본선 기록 | |||||||||
---|---|---|---|---|---|---|---|---|---|
년도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1956년 | 독립 이전 | ||||||||
1960년 | |||||||||
1964년 | |||||||||
1968년 | |||||||||
1972년 | 예선 탈락 | ||||||||
1976년 | 기권 | ||||||||
1980년 | 예선 도중 기권 | ||||||||
1984년 | 기권 | ||||||||
1988년 | 조별리그 | 9위 | 4 | 0 | 2 | 2 | 1 | 3 | 2 |
1992년 | 예선 탈락 | ||||||||
1996년 | 기권 | ||||||||
2000년 | 예선 탈락 | ||||||||
2004년 | 4강 | 4위 | 6 | 1 | 3 | 2 | 13 | 14 | 6 |
2007년 | 조별리그 | 13위 | 3 | 1 | 0 | 2 | 3 | 7 | 3 |
2011년 | 조별리그 | 10위 | 3 | 1 | 0 | 2 | 6 | 5 | 3 |
2015년 | 조별리그 | 11위 | 3 | 1 | 0 | 2 | 3 | 5 | 3 |
2019년 | 16강 | 13위 | 4 | 1 | 1 | 2 | 3 | 4 | 4 |
합계 | 6회 진출(6/13[4]) | 4강(1회) | 23 | 5 | 6 | 12 | 29 | 38 | 21 |
순위 | AFC 아시안컵 역대 순위 : 14위 |
AFC 아시안컵 (예선)편집
AFC 아시안컵 예선 기록 | |||||||
---|---|---|---|---|---|---|---|
년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1956년 | 독립 이전 | ||||||
1960년 | |||||||
1964년 | |||||||
1968년 | |||||||
1972년 | 4 | 2 | 0 | 2 | 8 | 4 | 6 |
1976년 | 기권 | ||||||
1980년[5] | 3 | 0 | 0 | 3 | 0 | 5 | 0 |
1984년 | 기권 | ||||||
1988년 | 3 | 2 | 1 | 0 | 4 | 0 | 7 |
1992년 | 2 | 0 | 0 | 2 | 1 | 5 | 0 |
1996년 | 기권 | ||||||
2000년 | 6 | 3 | 0 | 3 | 6 | 6 | 9 |
2004년 | 6 | 4 | 1 | 1 | 14 | 9 | 13 |
2007년[6] | 4 | 1 | 1 | 2 | 3 | 6 | 4 |
2011년 | 6 | 4 | 0 | 2 | 12 | 6 | 12 |
2015년 | 6 | 4 | 2 | 0 | 7 | 1 | 14 |
2019년 | 14 | 6 | 1 | 7 | 25 | 13 | 22 |
합계 | 54 | 27 | 6 | 21 | 80 | 55 | 87 |
아시안 게임편집
아시안 게임 기록 | |||||||||
---|---|---|---|---|---|---|---|---|---|
년도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1951년 | 독립 이전 | ||||||||
1954년 | |||||||||
1958년 | |||||||||
1962년 | |||||||||
1966년 | |||||||||
1970년 | |||||||||
1974년 | 조별리그 | 14위 | 3 | 0 | 0 | 3 | 1 | 15 | 0 |
1978년 | 조별리그 | 14위 | 3 | 0 | 0 | 3 | 1 | 12 | 0 |
1982년 | 불참 | ||||||||
1986년 | 조별리그 | 12위 | 3 | 1 | 1 | 1 | 4 | 5 | 4 |
1990년 | 불참 | ||||||||
1994년 | 조별리그 | 10위 | 4 | 1 | 2 | 1 | 6 | 5 | 5 |
1998년 | 불참 | ||||||||
2002년[7] | 8강 | 7위 | 4 | 2 | 0 | 2 | 10 | 6 | 6 |
2006년[8] | 조별리그 | 9위 | 3 | 2 | 0 | 1 | 7 | 3 | 6 |
2010년[9] | 조별리그 | 18위 | 3 | 0 | 1 | 2 | 2 | 5 | 1 |
2014년[10] | 불참 | ||||||||
합계 | 7회 출전(7/11) | 8강(1회) | 23 | 6 | 4 | 13 | 31 | 51 | 22 |
UAFA 걸프컵편집
걸프컵 기록 | ||||||||||
---|---|---|---|---|---|---|---|---|---|---|
년도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
1970년 | 결선리그 | 준우승 | 3 | 1 | 1 | 1 | 3 | 4 | 4 | |
1972년 | 대회 도중 실격[11] | |||||||||
1974년 | 예선탈락 | 5위 | 2 | 0 | 0 | 2 | 1 | 8 | 0 | |
1976년 | 결선리그 | 4위 | 6 | 3 | 0 | 3 | 9 | 15 | 9 | |
1979년 | 결선리그 | 4위 | 6 | 2 | 2 | 2 | 8 | 9 | 8 | |
1982년 | 결선리그 | 준우승 | 5 | 3 | 1 | 1 | 10 | 7 | 10 | |
1984년 | 결선리그 | 5위 | 6 | 1 | 2 | 3 | 3 | 6 | 5 | |
1986년 | 결선리그 | 4위 | 6 | 1 | 4 | 1 | 4 | 5 | 7 | |
1988년 | 결선리그 | 4위 | 6 | 3 | 0 | 3 | 4 | 4 | 9 | |
1990년 | 결선리그 | 3위 | 5[12] | 1 | 2 | 2 | 1 | 2 | 5 | |
1992년 | 결선리그 | 준우승 | 5 | 3 | 0 | 2 | 6 | 4 | 9 | |
1994년 | 결선리그 | 3위 | 5 | 1 | 3 | 1 | 5 | 6 | 6 | |
1996년 | 결선리그 | 5위 | 5 | 0 | 2 | 3 | 4 | 8 | 2 | |
1998년 | 결선리그 | 5위 | 5 | 0 | 3 | 2 | 3 | 6 | 3 | |
2002년 | 결선리그 | 4위 | 5 | 1 | 2 | 2 | 4 | 6 | 5 | |
2003년 | 결선리그 | 준우승 | 6 | 4 | 1 | 1 | 13 | 3 | 13 | |
2004년 | 4강 | 3위 | 5 | 2 | 2 | 1 | 10 | 6 | 8 | |
2007년 | 4강 | 4위 | 4 | 1 | 1 | 2 | 4 | 5 | 4 | |
2009년 | 예선탈락 | 6위 | 3 | 1 | 0 | 2 | 3 | 4 | 3 | |
2010년 | 예선탈락 | 7위 | 3 | 0 | 1 | 2 | 4 | 7 | 1 | |
2013년 | 4강 | 4위 | 5 | 1 | 2 | 2 | 4 | 9 | 5 | |
2014년 | 예선탈락 | 7위 | 3 | 0 | 2 | 1 | 0 | 3 | 2 | |
합계 | 21회 출전(21/22) | 준우승(4회) | 99 | 29 | 31 | 39 | 103 | 127 | 118 |
WAFF 서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편집
서아시안컵 기록 | |||||||||
---|---|---|---|---|---|---|---|---|---|
년도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2000년 | 불참 | ||||||||
2002년 | |||||||||
2004년 | |||||||||
2007년 | |||||||||
2008년 | 기권 | ||||||||
2010년 | 조별리그 | 5위 | 2 | 1 | 0 | 1 | 2 | 3 | 3 |
2012년 | 4강 | 4위 | 5 | 2 | 2 | 1 | 3 | 2 | 8 |
2014년 | 4강 | 3위 | 4 | 0 | 3 | 1 | 0 | 1 | 3 |
2017년 | 본선 진출 | ||||||||
합계 | 4회 출전(4/9) | 4강(2회) | 11 | 3 | 5 | 3 | 5 | 6 | 14 |
UAFA 아랍 네이션스컵편집
아랍 네이션스컵 기록 | |||||||||
---|---|---|---|---|---|---|---|---|---|
년도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1963년 | 독립 이전 | ||||||||
1964년 | |||||||||
1966년 | 조별리그 | 8위 | 4 | 0 | 1 | 3 | 7 | 22 | 1 |
1985년 | 준우승 | 2위 | 4 | 1 | 2 | 1 | 4 | 3 | 5 |
1988년 | 조별리그 | 9위 | 4 | 0 | 3 | 1 | 2 | 3 | 3 |
1992년 | 불참 | ||||||||
1998년 | 기권 | ||||||||
2002년 | 준우승 | 2위 | 6 | 3 | 1 | 2 | 8 | 5 | 10 |
2012년 | 조별리그 | 11위 | 3 | 0 | 0 | 3 | 1 | 8 | 0 |
합계 | 5회 출전(5/9) | 준우승(2회) | 21 | 4 | 7 | 10 | 22 | 41 | 19 |
판 아랍 게임편집
판 아랍 게임 기록 | |||||||||
---|---|---|---|---|---|---|---|---|---|
년도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1953년 | 독립 이전 | ||||||||
1957년 | |||||||||
1961년 | |||||||||
1965년 | |||||||||
1976년 | 불참 | ||||||||
1985년 | |||||||||
1992년 | |||||||||
1997년 | |||||||||
1999년 | 조별리그 | 11위 | 2 | 0 | 0 | 2 | 0 | 6 | 0 |
2004년 | 축구 종목 제외 | ||||||||
2007년 | 불참 | ||||||||
2011년 | 금메달 | 우승 | 4 | 3 | 1 | 0 | 9 | 3 | 10 |
합계 | 2회 출전(2/7[13]) | 금메달(1회) | 6 | 3 | 1 | 2 | 9 | 9 | 10 |
현재 선수 명단편집
골키퍼:
- 사예드 모하메드 자페르
- 아바스 아메드 하미스
- 후사인 하람
수비수:
- 모하메드 후사인
- 알리 할릴
- 살레 압둘하미드
- 다우드 사드
- 아바스 아야드
- 후사인 알리 바바
- 모하메드 두아이지
- 에브라힘 알미슈하스
미드필더:
- 압둘라 파타디
- 하마드 라케아
- 알리 압둘와하브
- 파우지 아이시
- 마무드 압둘라흐만
- 하산 자밀
- 압둘라 오마르
- 사예드 디야
- 사미 모하메드 사이드
- 파하드 알 하르단
공격수:
- 모하메드 알알라위
- 이스마일 압둘라티프
각주편집
- ↑ 1차예선을 통과하고 최종예선 2조에서 3위를 기록해 1조 3위 우즈베키스탄과 플레이오프를 했다. 원정에서 PK를 놓치고 0:1로 졌지만 그 PK가 오심이었다는 이유로 우즈베키스탄 측이 몰수승(3:0)을 요구했고 FIFA에서는 재경기 판정을 내렸는데 재경기에서 1:1, 바레인 홈에서 0:0으로 비겨 원정 다득점으로 대륙간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만약 이 때 우즈베키스탄이 제소를 걸지 않았으면 바레인이 거의 탈락이나 마찬가지였다. 우여곡절 끝에 최초로 대륙간 플레이오프에 진출해 북중미 4위 트리니다드 토바고와 만났지만 1무 1패로 밀리면서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
- ↑ 1, 3차예선을 통과하고 최종예선 A조에서 3위를 기록해 B조 3위 사우디아라비아와 플레이오프를 했는데, 사우디아라비아가 우세할거란 예측이 지배적이었지만 1차전 홈에서 0:0으로 비긴다. 2차전 사우디 원정에서 1:1로 후반 종료 직전까지 끌고 가 이대로라면 바레인 진출이었는데, 후반 45분 사우디에서 추가골을 넣어 1:2로 밀렸다. 이대로 바레인이 탈락하는가 싶었으나 경기 종료 직전 극적인 동점골을 넣으면서 원정 다득점에 앞서 드라마처럼 대륙간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오세아니아 1위 뉴질랜드와 만났지만 1무 1패로 밀리면서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
- ↑ 3차예선 E조(이란, 카타르, 인도네시아)에서 졸전을 거듭하며 마지막 6라운드를 앞두고 탈락 위기에 놓였다. 1승 3무 1패로 인도네시아와의 홈경기를 앞두고 있었는데 바레인이 무조건 인도네시아에 대승하고 카타르가 대패할 경우 진출 가능성이 있기는 했지만 거의 불가능에 가까운 시나리오였다. 게다가 5경기 3득점, 이란 원정에서 0:6으로 대패하는 등 상당히 안 좋은 경기력을 보였었는데 인도네시아전에서 10:0이라는 가공할 점수차로 승리한다. 이전 경기력과 비교했을 때 믿을 수 없는 결과였다. 인도네시아 또한 믿기 힘들만큼 무너지는 모습을 보이면서 조작 논란에 휩싸였고 FIFA에서 실제로 경기에 관한 조작이나 로비가 있었는지 조사에 들어갔다. 이런저런 소문이 많았지만 결국 확인된 것은 없었고, 두 팀 모두 탈락했다.
- ↑ 본선 진출 횟수 비율. 독립 이후로 계산
- ↑ 1조(시리아, 아랍에미리트, 레바논)에 속해 시리아와의 첫 경기에서 0:1로 패한 직후 나머지 경기를 기권하여 레바논, 아랍에미리트와의 경기는 0:2 몰수패 처리되었다.
- ↑ D조(오스트레일리아, 쿠웨이트, 레바논)에 속했는데 레바논이 쿠웨이트 홈경기를 치른 직후 내전 때문에 기권을 선언하자 나머지 세 팀이 나머지 경기를 치뤘다. 쿠웨이트와 승점이 같았고 골득실에서는 2점이 밀렸지만, 상대전적에서 1승 1무로 우위를 보여 승자승 원칙에 의해 본선에 진출했다.
- ↑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 ↑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 ↑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 ↑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 ↑ 마지막 사우디와의 경기에서 1:2로 끌려가던 도중 바레인 선수들이 편파판정에 이의를 제기하면서 경기를 갑자기 포기했다. 이 때문에 대회에서 실격당하고 이전 경기까지 모두 무효로 처리되었다.
- ↑ 이라크(중도기권) 경기 포함
- ↑ 본선진출 횟수 비율. 독립 이후로 계산
외부 링크편집
- 바레인 축구 국가대표팀 - 공식 웹사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