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사슬 복합체 의 짧은 완전열 이 주어졌다고 하자.
0
→
C
∙
→
ι
D
∙
→
π
E
∙
→
0
{\displaystyle 0\to C^{\bullet }{\xrightarrow {\iota }}D^{\bullet }{\xrightarrow {\pi }}E^{\bullet }\to 0}
그렇다면, 지그재그 보조정리 를 사용해 다음과 같은 코호몰로지 긴 완전열 을 만들 수 있다.
Σ
H
∙
(
E
)
→
β
H
∙
(
C
)
→
ι
∗
H
∙
(
D
)
→
π
∗
H
∙
(
E
)
{\displaystyle \Sigma \operatorname {H} _{\bullet }(E){\xrightarrow {\beta }}\operatorname {H} ^{\bullet }(C){\xrightarrow {\iota _{*}}}\operatorname {H} ^{\bullet }(D){\xrightarrow {\pi _{*}}}\operatorname {H} _{\bullet }(E)}
연결 사상
β
{\displaystyle \beta }
을 복시테인 준동형 이라고 한다. 여기서
(
Σ
C
)
∙
=
C
∙
−
1
{\displaystyle (\Sigma C)_{\bullet }=C_{\bullet -1}}
는 사슬 복합체의 현수이다.
사슬 복합체 의 호몰로지 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복시테인 준동형이 존재한다. 일반적으로, 원래 (공)사슬 복합체의 등급이
deg
d
{\displaystyle \deg d}
라면, 복시테인 준동형의 등급 역시
deg
d
{\displaystyle \deg d}
이다.
공사슬 복합체
C
∙
{\displaystyle C_{\bullet }}
의, 등급
n
{\displaystyle n}
의 단사 자기 사상
f
:
Σ
n
C
∙
→
C
∙
{\displaystyle f\colon \Sigma ^{n}C^{\bullet }\to C^{\bullet }}
이 주어졌다고 하자. 그렇다면, 다음과 같이 짧은 완전열 을 적을 수 있다.
0
→
Σ
n
C
∙
→
f
C
∙
→
q
coker
f
→
0
{\displaystyle 0\to \Sigma ^{n}C^{\bullet }{\xrightarrow {f}}C^{\bullet }{\xrightarrow {q}}\operatorname {coker} f\to 0}
그렇다면, 이에 대한 코호몰로지 를 취하면 다음과 같은 완전쌍 을 얻는다.
Σ
n
H
∙
(
C
)
→
f
∗
H
∙
(
C
)
→
q
∗
H
∙
(
coker
f
)
→
β
Σ
−
1
H
∙
(
coker
f
)
{\displaystyle \Sigma ^{n}\operatorname {H} ^{\bullet }(C){\xrightarrow {f_{*}}}\operatorname {H} ^{\bullet }(C){\xrightarrow {q_{*}}}\operatorname {H} _{\bullet }(\operatorname {coker} f){\xrightarrow {\beta }}\Sigma ^{-1}\operatorname {H} _{\bullet }(\operatorname {coker} f)}
이에 대하여 유도되는 스펙트럼 열 을 복시테인 스펙트럼 열 (Бокштейн spectrum列, 영어 : Bockstein spectral sequence )이라고 하며, 그 첫 쪽은 다음과 같다.[ 1] :Theorem 3.8(a)
E
1
p
,
q
=
{
H
p
(
1
−
n
)
+
q
(
coker
f
)
p
≥
0
0
p
<
0
{\displaystyle E_{1}^{p,q}={\begin{cases}\operatorname {H} ^{p(1-n)+q}(\operatorname {coker} f)&p\geq 0\\0&p<0\end{cases}}}
d
n
=
q
∗
∘
β
{\displaystyle d^{n}=q_{*}\circ \beta }
deg
d
n
=
(
r
,
1
−
r
)
{\displaystyle \deg d^{n}=(r,1-r)}
만약
n
>
0
{\displaystyle n>0}
이며
H
∙
(
coker
f
)
{\displaystyle \operatorname {H} ^{\bullet }(\operatorname {coker} f)}
가 하계 를 갖는다면 (즉,
{
n
∈
Z
:
H
n
(
coker
f
)
≠
0
}
{\displaystyle \{n\in \mathbb {Z} \colon \operatorname {H} ^{n}(\operatorname {coker} f)\neq 0\}}
가 하계 를 갖는다면), 이는 다음으로 수렴한다.[ 1] :Theorem 3.8(b)
E
n
p
,
q
⇒
H
p
+
q
(
C
)
{\displaystyle E_{n}^{p,q}\Rightarrow \operatorname {H} ^{p+q}(C)}
마찬가지로 호몰로지의 경우에도 복시테인 스펙트럼 열을 적을 수 있다.
가장 흔히 쓰이는 복시테인 준동형은 다음 짧은 완전열 로부터 유도한, 코호몰로지 에 대한 준동형들이다.
0
→
Z
/
n
→
Z
/
n
2
→
Z
/
n
→
0
{\displaystyle 0\to \mathbb {Z} /n\to \mathbb {Z} /n^{2}\to \mathbb {Z} /n\to 0}
그렇다면, 위상 공간
X
{\displaystyle X}
위의 특이 사슬 복합체 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짧은 완전열 이 존재한다.
0
→
C
(
X
)
⊗
Z
/
n
→
C
(
X
)
⊗
Z
/
n
2
→
C
(
X
)
⊗
Z
/
n
→
0
{\displaystyle 0\to C(X)\otimes \mathbb {Z} /n\to C(X)\otimes \mathbb {Z} /n^{2}\to C(X)\otimes \mathbb {Z} /n\to 0}
이로부터 다음과 같은 복시테인 준동형을 유도한다.
β
:
H
n
(
X
,
Z
/
n
)
→
H
n
+
1
(
X
,
Z
/
n
)
{\displaystyle \beta \colon H^{n}(X,\mathbb {Z} /n)\to H^{n+1}(X,\mathbb {Z} /n)}
이는 다음과 같은 성질들을 만족시킨다.
β
2
=
0
{\displaystyle \beta ^{2}=0}
(
n
{\displaystyle n}
은 3 이상의 소수 )
β
(
a
⌣
b
)
=
β
(
a
)
⌣
b
+
(
−
)
deg
a
a
⌣
β
(
b
)
{\displaystyle \beta (a\smile b)=\beta (a)\smile b+(-)^{\deg a}a\smile \beta (b)}
따라서, 이 복시테인 준동형은 (등급 달린) 라이프니츠 법칙 을 만족시키는 (등급) 미분 을 이룬다.
이와 비슷하게, 짧은 완전열
0
→
Z
/
n
→
Z
→
Z
→
0
{\displaystyle 0\to \mathbb {Z} /n\to \mathbb {Z} \to \mathbb {Z} \to 0}
에 대한 복시테인 준동형
β
:
H
n
(
X
,
Z
/
n
)
→
H
n
+
1
(
X
,
Z
)
{\displaystyle \beta \colon H^{n}(X,\mathbb {Z} /n)\to H^{n+1}(X,\mathbb {Z} )}
또한 쓰인다. 예를 들어, 정수 슈티펠-휘트니 특성류
W
n
(
X
)
∈
H
n
(
X
,
Z
)
{\displaystyle W^{n}(X)\in H^{n}(X,\mathbb {Z} )}
는 (일반) 슈티펠-휘트니 특성류
w
n
−
1
(
X
)
∈
H
n
−
1
(
X
,
Z
/
2
)
{\displaystyle w^{n-1}(X)\in H^{n-1}(X,\mathbb {Z} /2)}
에 복시테인 준동형을 가하여 얻는다.
메예르 펠릭소비치 복시테인(러시아어 : Ме́ер Фе́ликсович Бокште́йн , 1913~1990)이 도입하였다.[ 2] [ 3] [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