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방일
불방일(不放逸, 산스크리트어: apramāda, 팔리어: appamada, 영어: carefulness, concern, conscientiousness, conscious awareness)은 설일체유부의 5위 75법에서 심소법(心所法: 46가지) 중 대선지법(大善地法: 10가지) 가운데 하나이며, 유식유가행파와 법상종의 5위 100법에서 심소법(心所法: 51가지) 중 선심소(善心所: 11가지) 가운데 하나이다.
apramāda의 번역 | |
---|---|
한국어 | 불방일 (로마자: bulbangil) |
영어 | carefulness, concern, |
산스크리트어 | apramada, apramāda |
팔리어 | appamada |
중국어 | 不放逸(T) / 不放逸(S) |
티베트어 | བག་ཡོད་པ། (Wylie: bag yod pa; THL: bakyö pa) |
불교 용어 목록 |
설일체유부에 따르면, 불방일은 온갖 선법(善法)을 닦는 것이다. 불방일은 선(善)에 대해 전념[專注]하는 것을 본질로 한다. 설일체유부의 이러한 정의와는 달리 "능히 마음을 수호하는 것"을 불방일이라 정의하는 부파도 있다.[1][2][3]
《아비달마집이문족론(阿毘達磨集異門足論)》에서는 "온갖 선법(善法)에 있어서 방일(放逸)하지 않음, 즉 불방일을 으뜸으로 한다(於一切善法 不放逸為尊)"[4][5]고 말하면서, 불방일을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다.
為斷不善法。為圓滿善法。常習常修堅作恒作。數修不止名不放逸。
불선법(不善法)을 끊고 선법(善法)을 원만하게 성취하기 위하여, 항상 익히고 항상 수행하며 견고하게 짓고 한결같이 지으며 자주자주 수행하면서 그만두지 않는 것을 불방일(不放逸)이라 한다. — 《아비달마집이문족론(阿毘達磨集異門足論)》 제1권. 한역본 (369쪽) 및 한글역본 (15쪽)
같이 보기편집
참고 문헌편집
- 운허. 동국역경원 편집, 편집. 《불교 사전》.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사리자 설,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 《아비달마집이문족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아비달마구사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舍利子說, 玄奘譯. 《阿毘達磨集異門足論(아비달마집이문족론)》 大正新脩大藏經 第二十六冊 No. 1536. CBETA판.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星雲.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 3판.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각주편집
- ↑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165 / 1397쪽.
- ↑ 운허, "不放逸(불방일)". 2012년 9월 3일에 확인.
- ↑ 星雲, "不放逸". 2012년 9월 3일에 확인.
- ↑ 사리자 설,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 4 / 463쪽.
- ↑ 舍利子說, 玄奘譯, T26n1536_p0367c05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