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궁
《서궁》은 1995년 7월 3일부터 1995년 12월 26일까지 방영된 한국방송공사 월화드라마이다.
![]() | |
장르 | 드라마 |
---|---|
방송 국가 | ![]() |
방송 채널 | KBS 2TV |
방송 기간 | 1995년 7월 3일 ~ 1995년 12월 26일 |
방송 횟수 | 52부작 |
기획 | 김재현 |
연출 | 김재형 |
조연출 | 신창석, 홍석구, 김유철 외 |
각본 | 박찬성 |
출연자 | 이영애 김규철 이보희 김보성 양금석 장서희 임혁주 태민영 임병기 김종결 임혁 김인문 박준금 엄유신 이한나 한인수 김성원 김성옥 신구 서인석 |
여는 곡 | 전미경 《서궁》 |
HD 방송 여부 | SD 제작 · 방송 |
등장 인물편집
조선의 국왕ㆍ세자편집
조선의 왕비ㆍ후궁편집
조선의 왕자ㆍ대군편집
조선의 공주ㆍ궁주편집
- 박루시아 : 정명공주 역
조선의 추존 군주편집
조선의 문신편집
- 서인석 : 이이첨 역
- 한인수 : 김제남 역
- 안대용 : 강홍립 역
- 문창길 : 유근 역
- 김종결 : 허균 역
- 서학 : 기자헌 역
- 신구 : 이원익 역
- 박웅 : 정철 역
- 박칠용 : 이산해 역
- 태민영 : 유희분 역
- 임병기 : 박승종 역
- 김시원 : 한음 이덕형 역
- 박영목 : 이항복 역
- 이정웅 : 이귀 역
- 박승규 : 이괄 역
- 김성찬 : 김자점 역
- 김창봉 : 이광정 역
- 김성원 : 김유 역
- 이두섭 : 김육 역
- 선동혁 : 최명길 역
- 이한위 : 반정군 장수 역
- 유병한 : 하삼 역
- 최동준 : 죽천 이덕형(1566년) 역
- 이경영 : 박자홍 역
- 허현호 : 귀천군 이수 역
- 강인덕 : 서양갑 역
- 김경응 : 심우영 역
- 서영진 : 박응서 역
- 안광진 : 박치의 역
- 김정훈 : 임숙영 역
- 박건식 : 한희길 역
- 이한승 : 윤방 역
- 이용진 : 권필 역
- 조재훈 : 정항 역
- 진운성 : 이정표 역
- 기정수 : 한효순 역
- 박용식 : 이흥립 역
- 허정규 : 이안진 역
- 장기용 : 김경서 역
- 박해상 : 신경진 역
- 선동혁 : 최명길 역
- 김동완 : 최권 역
- 최헌철 : 엄일괴 역
- 이춘식 : 춘보 역
- 박병호 : 사명대사 역
- 김보성 : 원표 역 (아역 : 정태우)
- 서상익 : 정인홍 역
- 박정웅 : 어의역
- 박용기 : 무불 스님 역
- 이효정
- 서영애
- 문수인
- 유병환
- 권오현
김제남의 가족편집
- 엄유신 : 노씨 부인 역
이이첨의 가족편집
조선의 내관ㆍ상궁편집
김개시의 가족편집
- 양금석 : 강씨(김개시 생모) 역
원표의 양아버지편집
- 고희준 : 원표 양아버지 역
참고 사항편집
- 김개시 역의 이영애는 해당 작품을 통해 처음 사극 출연을 했는데 이 작품과 맞선 드라마 중의 하나인 SBS <장희빈>으로 사극 데뷔를 할 뻔 했지만 SBS <아스팔트 사나이>에 캐스팅된 데 이어 "선이 강한 연기가 부족하지 않느냐"는 지적 탓인지 무산된 바 있었다.[1]
- 이영애(김개시 역)는 KBS 1TV <태조 왕건>의 여주인공에 한때 거론되었지만 SBS <불꽃> 캐스팅으로 고사했으며[2] <태조 왕건>은 해당 드라마의 담당 PD 김재형이 연출자로 낙점되었으나 불미스러운 일로 하차해야 했다.[3]
- 극중 죽천 이덕형 역을 맡았던 최동준은 해당 작품으로 처음 드라마 출연을 했다.[4]
- 한동안 고전을 면치 못했으나 SBS <장희빈>이 끝난 뒤 본격적으로 인기몰이를 하기 시작하였다.[5]
- 광해군의 애첩 김개시의 역할을 강조하고 그의 연인인 가상인물 원표를 만들어 세 사람 사이의 애정갈등을 조장했다는 지적이 있었다.[6]
- 가수 전미경이 김재현 제작위원이 책임PD로 참여한 전작 KBS 2TV 《장녹수》 주제가를 불렀음에도 김재현 제작위원 등의 요청을 뿌리치지 못한 채 전작에 이어 후속작 《서궁》 주제가를 불렀다.[7] 전미경은 이를 계기로 김재현 책임PD의 일선 복귀작이자 과거 TBC 화제작의 리메이크 드라마인 같은 채널 《아씨》 주제가를 불렀다.
각주편집
- ↑ 이후남 (1994년 12월 6일). “신세대 장희빈 선보인다-SBS,신은경 캐스팅 추진”. 중앙일보. 2015년 12월 22일에 확인함.
- ↑ 정세라 (2000년 2월 12일). “[이야기TV] 별따기보다 더한 `사극' 스타 모시기”. 한겨레신문. 2016년 9월 16일에 확인함.[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김기철 (1999년 8월 6일). “[김재형 PD] `왕건 연출 도중하차”. 조선일보. 2016년 9월 26일에 확인함.
- ↑ 윤고은 (2011년 11월 14일). “최동준 "개연수, 악역이지만 근사했다"”. 연합뉴스. 2016년 12월 4일에 확인함.
- ↑ 박원재 (1995년 10월 10일). “「西宮(서궁)」본격 인기몰이”. 동아일보. 2016년 12월 1일에 확인함.
- ↑ 김관명 (1995년 9월 21일). “TV 사극/멜로물 전락 개선 급하다”. 한국일보. 2018년 5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5월 23일에 확인함.
- ↑ 오광수 우철훈 (1995년 11월 29일). “사극 단골가수 전미경 허스키하고 애조 띤 목소리 '서궁'타이틀 5집앨범 펴내”. 경향신문. 2020년 8월 18일에 확인함.
한국방송공사 월화드라마 | ||
---|---|---|
이전 작품 | 작품명 | 다음 작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