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HC+SAR 대형군
디아포레틱케스군(Diaphoretickes) 또는 식물+HC+SAR 대형군은 진핵생물 생물군의 하나이다.[1]
![]() | ||
---|---|---|
![]() | ||
생물 분류ℹ️ | ||
역: | 진핵생물 | |
(미분류): | 식물+HC+SAR 대형군 (Diaphoretickes) Adl et al. | |
하위 군 | ||
|
다음과 같은 생물 분류군을 포함한다.
- 원시색소체생물 (Archaeplastida)
- 하크로비아 (Hacrobia) : "HC"는 2개의 주요 생물군인 착편모조류(Haptophyta)와 은편모조류(Cryptophyta)를 가리킨다.
- SAR 상군 (SAR supergroup)
또한 원시색소체생물(Archaeplastida)과 리자리아(Rhizaria) 그리고 크로말베올라타(chromalveolates) 생물군의 총합으로 기술되기도 한다.[2] 그러나 이는 단순히, 같은 생물을 분류하는 하나의 다른 방법을 가리킬 뿐이고, 크게는 크로말베올라타가 단계통군이 아니라는 사실의 발견 때문이다. 유글레나식물(Euglenozoa)를 제외한, 광합성을 하는 대부분의 종을 포함하고 있다.
계통 분류편집
다음은 아들(Adl et al. 2012)과 부르키(Burki, 2014/2016) 등의 진핵생물 계통 분류이다.[3][4][5]
|
각주편집
- ↑ Burki, F.; Shalchian-Tabrizi, K.; Pawlowski, J. (2008). “Phylogenomics reveals a new 'megagroup' including most photosynthetic eukaryotes”. 《Biology letters》 4 (4): 366–369. doi:10.1098/rsbl.2008.0224. PMC 2610160. PMID 18522922.
- ↑ Hampl, V.; Hug, L.; Leigh, J.; Dacks, J.; Lang, B.; Simpson, A.; Roger, A. (2009). “Phylogenomic analyses support the monophyly of Excavata and resolve relationships among eukaryotic "supergroups"”.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106 (10): 3859–3864. doi:10.1073/pnas.0807880106. PMC 2656170. PMID 19237557.
- ↑ Burki, F. (2014). “The eukaryotic tree of life from a global phylogenomic perspective”. 《Cold Spring Harbor Perspectives in Biology》 6: 1–17. doi:10.1101/cshperspect.a016147.
- ↑ Burki, Fabien; Kaplan, Maia; Tikhonenkov, Denis V.; Zlatogursky, Vasily; Minh, Bui Quang; Radaykina, Liudmila V.; Smirnov, Alexey; Mylnikov, Alexander P.; Keeling, Patrick J. (2016년 1월 27일). “Untangling the early diversification of eukaryotes: a phylogenomic study of the evolutionary origins of Centrohelida, Haptophyta and Cryptista”. 《Proc. R. Soc. B》 283 (1823): 20152802. doi:10.1098/rspb.2015.2802. PMC 4795036. PMID 26817772.
- ↑ Karnkowska, Anna; Vacek, Vojtěch; Zubáčová, Zuzana; Treitli, Sebastian C.; Petrželková, Romana; Eme, Laura; Novák, Lukáš; Žárský, Vojtěch; Barlow, Lael D. (2016). “A Eukaryote without a Mitochondrial Organelle”. 《Current Biology》 26 (10): 1274–1284. doi:10.1016/j.cub.2016.03.0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