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버지와 아들 (1983년 드라마)

아버지와 아들》은 1983년 10월 29일부터 이듬해 5월 6일까지 방영된 문화방송 주말연속극으로, 1930년대 최부자 집을 배경으로 엮은 부의 획득하고 상실을 엮은 경제 드라마이다.[1][2]

아버지와 아들
장르 드라마
방송 국가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방송 채널 MBC
방송 기간 1983년 10월 29일 ~ 1984년 5월 6일
방송 시간 매주 토 · 일요일 저녁 7시 10분 ~ 8시 →
매주 토 · 일요일 밤 8시 10분 ~ 9시
방송 분량 50분
방송 횟수 52부작
연출 최종수
각본 김기팔
출연자 오지명, 최봉, 정애리, 현석

이 드라마는 1983년 10월 23일 가을맞이 특집 창작무용 〈빛의 여로〉가 방영되고 1983년 10월 29일로 첫 방영일이 되었다.

방송 시간

편집
방송 채널 방송 기간 방송 시간
MBC TV 1983년 10월 29일 ~ 1984년 4월 8일 매주 토 · 일요일 저녁 7시 10분 ~ 8시
1984년 4월 14일 ~ 5월 6일 매주 토 · 일요일 밤 8시 10분 ~ 9시

등장 인물

편집

편성 변경

편집
  • 1983년
    • 10월 29일 : MBC 대학가요제 방송으로 앞당겨 저녁 6시 10분부터 방영
    • 11월 12일 : 《쇼 2000》 특집 〈톱존즈쇼〉 방송으로 앞당겨 저녁 6시부터 방영
    • 12월 10일 : 《쇼 2000》 특집방송으로 앞당겨 저녁 6시 40분부터 방영
    • 12월 17일 ~ 12월 18일 : 〈MBC 슈퍼테니스대회〉 중계방송으로 순연되어 저녁 7시 40분부터 방영
    • 12월 24일 : 《쇼 2000》 특집방송으로 앞당겨 저녁 6시 30분부터 방영
    • 12월 25일 : 〈미스월드선발대회〉 중계방송으로 앞당겨 저녁 6시 50분부터 방영
    • 12월 31일 : 송년 특집 〈코미디언 총집합〉 방송으로 결방
  • 1984년
    • 1월 1일 : 신년 특집 〈명사들과 함께〉하고 《폭소전망대》 방송으로 결방
    • 2월 25일 : 《쇼 2000》 특집 〈제주편〉 방송으로 앞당겨 저녁 6시 40분부터 방영
    • 3월 3일 ~ 4일 : 3.1절 특집 드라마 《조선총독부》 방송으로 결방
    • 4월 7일 : 〈브루네이 대통령 방한〉 중계방송으로 순연되어 저녁 7시 25분부터 방영
    • 4월 22일 : 특집 MBC 권투 〈유환길 VS 로드 세퀴난〉 중계방송으로 순연되어 《일요일밤의 대행진》이 방영되며 결방
    • 4월 30일 : LA 올림픽 축구 아시아 · 대양주 최종예선 3,4위전 〈한국 VS 이라크〉 중계방송으로 앞당겨 저녁 6시 10분부터 방영

참고 사항

편집
  • 중심무대가 되는 최진사댁의 사랑채하고 외부는 서울 종로구 세검정에 위치한 대원군 별장이 촬영지이다.[2]

각주

편집
  1. “주말극「아버지와아들」 每週(매주) 토·일요일 放映(방영)”. 경향신문. 1983년 10월 24일.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2. “주말극「 아버지와아들」 세검정에서 공개녹화”. 경향신문. 1.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문화방송 주말연속극
이전 작품 작품명 다음 작품
저 별은 나의 별
(1983년 7월 2일 ~ 10월 23일)
아버지와 아들
(1983년 10월 29일 ~ 1984년 5월 6일)
사랑과 진실
(1984년 5월 12일 ~ 1985년 4월 28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