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스타틴

화학 원소의 하나

아스타틴(←영어: Astatine 애스터틴[*])은 화학 원소로 기호는 At(←라틴어: Astatium 아스타티움[*]), 원자 번호는 85이다. 지금까지 발견된 비금속 중에서 가장 무거운 원소이며, 우라늄이나 토륨이 붕괴하면서 생성되는 방사성 원소이다. 매우 불안정하며 30개의 동위원소가 모두 방사성 붕괴를 한다. 가장 안정한 동위 원소는 원자량이 209.987이고, 반감기는 8.3시간이다. 화학적 성질은 아이오딘과 매우 비슷하나, 화학반응 도중 아이오딘보다 전자를 잃기 쉽고, 받기는 어렵다. 과학자들은 아스타틴의 색깔을 검은색으로 짐작하고 있으나, 정확한 것은 아무도 모른다고 한다.

아스타틴(85At)
개요
영어명Astatine
주기율표 정보
수소 헬륨
리튬 베릴륨 붕소 탄소 질소 산소 플루오린 네온
나트륨 마그네슘 알루미늄 규소 염소 아르곤
칼륨 칼슘 스칸듐 타이타늄 바나듐 크로뮴 망가니즈 코발트 니켈 구리 아연 갈륨 저마늄 비소 셀레늄 브로민 크립톤
루비듐 스트론튬 이트륨 지르코늄 나이오븀 몰리브데넘 테크네튬 루테늄 로듐 팔라듐 카드뮴 인듐 주석 안티모니 텔루륨 아이오딘 제논
세슘 바륨 란타넘 세륨 프라세오디뮴 네오디뮴 프로메튬 사마륨 유로퓸 가돌리늄 터븀 디스프로슘 홀뮴 어븀 툴륨 이터븀 루테튬 하프늄 탄탈럼 텅스텐 레늄 오스뮴 이리듐 백금 수은 탈륨 비스무트 폴로늄 아스타틴 라돈
프랑슘 라듐 악티늄 토륨 프로트악티늄 우라늄 넵투늄 플루토늄 아메리슘 퀴륨 버클륨 캘리포늄 아인슈타이늄 페르뮴 멘델레븀 노벨륨 로렌슘 러더포듐 더브늄 시보귬 보륨 하슘 마이트너륨 다름슈타튬 뢴트게늄 코페르니슘 니호늄 플레로븀 모스코븀 리버모륨 테네신 오가네손
I

At

Ts
PoAtRn
원자 번호 (Z)85
17족
주기6주기
구역p-구역
화학 계열비금속
전자 배열[Xe] 4f14 5d10 6s2 6p5
준위전자2, 8, 18, 32, 18, 7
아스타틴의 전자껍질 (2, 8, 18, 32, 18, 7)
아스타틴의 전자껍질 (2, 8, 18, 32, 18, 7)
물리적 성질
겉보기검은색 고체
상태 (STP)고체
녹는점575 K
끓는점610 K
기화열40 kJ/mol
증기 압력
압력 (Pa) 1 10 100 1 k 10 k 100 k
온도 (K) 361 392 429 475 531 607
원자의 성질
산화 상태±1, 3, 5, 7
전기 음성도 (폴링 척도)2.2
이온화 에너지
  • 1차: 890±40 kJ/mol
공유 반지름150 pm
판데르발스 반지름202 pm
그 밖의 성질
열전도율1.7 W/(m·K)
CAS 번호7440-68-8
동위체 존재비 반감기 DM DE
(MeV)
DP
210At 100% 8.1 h β+ 3.981 210Po
α 5.631 206Bi
보기  토론  편집 | 출처

아스타틴은 1940년에 미국의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에서 코슨, 매켄지, 세그레가 입자가속기를 써서, 에너지가 높은 알파 입자, 즉 헬륨비스무트에 충돌시켜 만들어냈다. 자연 상태로는 우라늄광석에 적은 양이 들어 있지만, 대부분은 인공적으로 합성한다. 자연상에서는 가장 희귀한 원소중 하나이며 전체 지구지각에서 30그램(1온스)이하 정도만 존재한다.[1] 그리고 매일 같은 양이 존재하지 않는데 그 이유는 반감기가 매우 짧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광대한 양의 우라늄과 토륨의 느린 방사성 붕괴로 인해 계속 새로운 아스타틴이 공급되기 때문이기도 하다. 아스타틴은 암을 위한 방사선 치료법으로 사용하기 위해 연구되고 있기도 하다.[2]

각주

편집
  1. Close, Frank. Particle Physics: A Very Short Introduction. Oxford University Press: New York, 2004. Page 2.
  2. 시어도어 그레이. 《세상의 모든원소 118》. 갈릴레오 총서.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