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륨

화학 원소의 하나

보륨(←영어: bohrium 보리엄[*], 독일어: Bohrium 보리움[*])은 화학 원소로 기호는 Bh(←라틴어: bohrium 보리움[*][2]), 원자 번호는 107이다. 보륨은 가속기 속에서 크로뮴이 원자핵 반응함으로써 생긴다. 체계적 원소 이름으로는 운닐셉튬(Unnilseptium, 기호 Uns)이었다. 덴마크의 물리학자 닐스 보어(Niels Bohr)를 기리기 위해 붙여졌다. 보륨의 동위원소들은 주로 분을 넘기지 못한다. 그러나 보륨274나 273은 반감기가 90분 정도로 매우 긴 편이다. 또한 보륨은 휘발성이 있는 인공원소이며, 옥시클로라이드 화합물을 생성한다. 금속의 성질은 레늄과 유사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밀도는 37g/cm3이다.

보륨(107Bh)
개요
영어명Bohrium
주기율표 정보
수소 헬륨
리튬 베릴륨 붕소 탄소 질소 산소 플루오린 네온
나트륨 마그네슘 알루미늄 규소 염소 아르곤
칼륨 칼슘 스칸듐 타이타늄 바나듐 크로뮴 망가니즈 코발트 니켈 구리 아연 갈륨 저마늄 비소 셀레늄 브로민 크립톤
루비듐 스트론튬 이트륨 지르코늄 나이오븀 몰리브데넘 테크네튬 루테늄 로듐 팔라듐 카드뮴 인듐 주석 안티모니 텔루륨 아이오딘 제논
세슘 바륨 란타넘 세륨 프라세오디뮴 네오디뮴 프로메튬 사마륨 유로퓸 가돌리늄 터븀 디스프로슘 홀뮴 어븀 툴륨 이터븀 루테튬 하프늄 탄탈럼 텅스텐 레늄 오스뮴 이리듐 백금 수은 탈륨 비스무트 폴로늄 아스타틴 라돈
프랑슘 라듐 악티늄 토륨 프로트악티늄 우라늄 넵투늄 플루토늄 아메리슘 퀴륨 버클륨 캘리포늄 아인슈타이늄 페르뮴 멘델레븀 노벨륨 로렌슘 러더포듐 더브늄 시보귬 보륨 하슘 마이트너륨 다름슈타튬 뢴트게늄 코페르니슘 니호늄 플레로븀 모스코븀 리버모륨 테네신 오가네손
Re

Bh

Ups
SgBhHs
원자 번호 (Z)107
7족
주기7주기
구역d-구역
화학 계열전이 금속
전자 배열Rn] 5f14 6d5 7s2
준위전자2, 8, 18, 32, 32, 13, 2
보륨의 전자껍질 (2, 8, 18, 32, 32, 13, 2)
보륨의 전자껍질 (2, 8, 18, 32, 32, 13, 2)
물리적 성질
겉보기불명
밀도 (상온 근처)37 g/cm3
원자의 성질
산화 상태7, (5), (4), (3)
그 밖의 성질
결정 구조
(추정)
조밀 육방 격자 (hcp) [1]
CAS 번호54037-14-8
동위체 존재비 반감기 DM DE
(MeV)
DP
260Bh 인공 35 ms α 10.16 256Db
261Bh 인공 11.8 ms α 10.03, 10.10, 10.40 257Db
262gBh 인공 84 s α 9.66, 9.4, 9.82, 9.94, 10.08 258Db
262mBh 인공 9.6 ms α 10.24, 10.37 258Db
264Bh 인공 0.97초 α 9.48, 9.62 260Db
265Bh 인공 0.9초 α 9.24 261Db
266Bh 인공 0.9초 α 9.04, 9.77 262Db
267Bh 인공 17초 α 8.83 263Db
270Bh 인공 61초 α 8.93 266Db
271Bh 인공 α 267Db
272Bh 인공 9.8 α 9.02 268Db
보기  토론  편집 | 출처

각주

편집
  1. Östlin, A.; Vitos, L. (2011). “First-principles calculation of the structural stability of 6d transition metals”. 《Physical Review B》 84 (11). Bibcode:2011PhRvB..84k3104O. doi:10.1103/PhysRevB.84.113104. 
  2. 5번 원소와 같은 발음이다.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