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미생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 (2012년 4월) |
그녀는 1938년에서부터 1939년까지 1년간 충칭 주재 영국 대사관 직원으로 근무하다가 1939년 이후 대한민국 임시정부에서 활동하였으며 1940년 김구(金九)의 장남 김인(金仁)과 결혼했다.
안미생
安美生 | |
---|---|
대한민국 방문 중 경교장을 찾아온 조지 애시모어 피치 박사 부부와 함께 (1946년) (사진 뒷줄 가운데가 안미생 , 앞줄 가운데는 김구, 앞줄 왼쪽은 피치 박사 부부, 앞줄 오른쪽은 조완구, 프란체스카 도너 순, 뒷줄 왼쪽 첫 번째는 엄항섭, 세 번째는 이기붕, 네 번째는 안우생, 가운데는 안미생 , 오른쪽 첫 번째는 선우진, 네 번째는 서영해) | |
미군정청의 비상국민회의 부총재 비서실 차장 | |
임기 | 1946년 2월 1일 ~ 1948년 8월 15일 |
의장 | 이승만 비상국민회의 총재 |
부의장 | 김구 비상국민회의 부총재 |
장관 | 안재홍 미군정청 민정장관 |
사령관 | 존 리드 하지 미군정청 군정사령관 |
참모장 | 선우진 비상국민회의 부총재 비서실장 |
신상정보 | |
출생일 | 1914년 7월 13일 |
출생지 | 중화민국 허베이성 베이핑 |
거주지 | 미국 뉴욕주 롱아일랜드 대한민국 서울(前) |
사망일 | 2008년 11월 24일 | (94세)
사망지 | 미국 뉴욕주 롱아일랜드 노스포트 |
국적 | 대한민국 |
학력 | 중화민국 칭화 대학교 법학과 |
경력 | 서남연합대 법학과 겸임교수 한국독립당 상임위원 |
정당 | 무소속 |
부모 | 안정근(부), 이정서(모) |
형제자매 | 안원생(오빠) 안진생(남동생) |
배우자 | 김인 |
자녀 | 김효자(딸)
안토마스(아들) |
친인척 | 안공근(숙부) 김신(시동생) |
종교 | 천주교(세례명: 수산나) |
생애
편집생애 초반
편집그녀는 1914년 안정근의 장녀로 중화민국 허베이 성 베이징에서 출생하였고 지난날 한때 러시아 제국 프리모르스키 지방 하바로프스크에서 잠시 유아기를 보낸 적이 있으며 그 후 중화민국 장쑤 성 상하이에서 성장하였다. 이후 가족을 따라 중국 각지를 전전하다가 해외 유학을 하였고 해외 유학을 마친 후 국민정부 시대 중화민국 대륙 본토 칭화 대학에 입학했다.
중국에서의 활동
편집칭화 대학에서 연극반 활동을 했으며 '뇌우(雷雨)' 연극에서 수녀 역으로 특별 출연하기도 했다. 대학을 나온 후 쿤밍 시난 연합대학교 겸임교수 등을 잠시 지내다가 그만두고 쓰촨 성 충칭의 국민정부 대륙 체제 중화민국 본토 충칭 주재 영국대사관에서 근무하다가 김구의 장남 김인을 만나 결혼하였다. 그 뒤 대한민국 임시 정부, 재중경 애국부인회 등에서 활동하였다. 1945년 3월 29일 남편 김인이 사망하자 이후 안미생은 김구의 비서관으로 활동하였고, 1945년 11월 3일 임정 환국 제1진으로 귀국할 때 김구, 김규식 등과 함께 귀국하였다.
광복 이후에도 경교장에서 시부 김구 선생의 비서관으로 활동했다.
뒤에 미국으로 건너가서 2008년에 향년 95세로 사망할 때까지 그곳에서 거주했다.
학력
편집- 1922년 마카우 보스코 웨화 초등학교(前) → 1929년 홍콩 세인트 메리 캐노션 여학교(前) → 1930년 오스트레일리아 빅토리아 캔터베리 여학교(前) → 1933년 홍콩 메리마운트 여학교 졸업
- 1938년 중화민국 칭화 대학교 법학과 학사
명예 졸업
편집- 1958년 홍콩 세인트 메리 캐노션 여학교 명예 졸업장 수여
가족 및 친척 관계
편집문화에 나타난 안미생
편집TV 드라마
편집영화
편집같이 보기
편집이 글은 한국의 독립운동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